634 0

무봉제 니트 원피스 드레스의 편성방법

Title
무봉제 니트 원피스 드레스의 편성방법
Other Titles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amless knit one-piece dress : Focused on the knitting method of waist dart and sleeve
Author
이미숙
Alternative Author(s)
Lee, Mi Sook
Advisor(s)
서미아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 무봉제 니트웨어의 개발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니트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재단이나 봉제 없이 니트 제품이 생산되므로 생산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별 대기시간 단축, 봉제에 소요되는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웨이스트 다트의 편성방법과 동작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소매의 편성방법을 연구함으로써 20대 여성 소비자의 체형에 적합하고 심미성과 착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무봉제 니트원피스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무봉제 니트 원피스와 봉제 니트 원피스의 외관과 착용감을 비교 분석하여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무봉제 니트의류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웨이스트 다트의 편성 방법을 달리한 4종류의 무봉제 니트원피스를 제작하여 외관과 동작 적합성에 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편성 방법에 따라 밑단처짐 분량과 밑단의 외곽선 형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겨드랑 부위의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 및 위치를 달리한 9종류의 무봉제 니트 원피스를 제작하여 동작 적합성에 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동작별 부위별로 옷이 달려 올라가는 이동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무봉제 니트 원피스와 봉제 니트원피스의 외관과 동작 적합성에 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웨이스트 다트 편성 방법을 다르게 하여 제작한 4가지 실험복의 외관평가 결과 Outside에서 코줄임과 늘임을 한 실험복의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나 허리에서의 Shaping시 옆선에서만 코늘임과 줄임을 하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Inside에서 코줄임과 늘임을 한 실험복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아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허리에서의 Shaping은 웨이스트 다트에서만 코줄임과 늘임을 하는 편성방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착의 평가 결과 웨이스트 다트 편성 방법이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외관에만 영향을 미치고 동작적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겨드랑 부위의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에 따라서는 바인드 오프 처리를 몸판에만 한 실험복 4개와 몸판과 소매에 한 실험복 4개에 대한 동작 적합성 검사 결과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이 많은 실험복보다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이 적은 실험복의 착장감이 좋게 나타났다. 동작시 옷이 딸려 올라가는 수치를 비교한 실험에서도 허리, 밑단, 소매끝의 세 부위 모두 겨드랑 부위의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이 많은 실험복보다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이 적은 실험복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인드 오프 처리분량이 2cm인 경우 소매의 기능성 향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겨드랑 부위의 바인드 오프 처리위치가 다른 3개의 실험복에 대한 동작 적합성 검사 결과와 동작시 옷이 딸려 올라가는 수치를 비교한 실험에서 바인드 오프 처리를 몸판에만 한 실험복과 몸판과 소매에 한 실험복이 바인드 오프 처리를 하지 않은 실험복보다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몸판에만 바인드 오프 처리를 2cm를 한 실험복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아 소매의 동작 적합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편성방법으로 분석되었다. 3. 무봉제 니트 원피스와 봉제 니트 원피스의 외관 평가에서는 무봉제 니트 원피스가 봉제 니트 원피스보다 전면의 허리둘레부위의 군주름이 더 적은 것으로 평가 받았고, 그 외 곡선처리 부분에서는 무봉제 니트 원피스보다 봉제 니트 원피스가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 착의 평가 결과 12G 니트 원피스에서 봉제의 유무는 외관에만 영향을 미치고 동작적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무봉제 니트의류가 생산성을 높이고 원사의 로스를 없애는 등 시간과 코스트 면에서 탁월한 미래의 니트 생산방식인 것은 분명하나, 패턴의 수정 및 편성이 자유롭지 못하여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무봉제 니트 편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외관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허리에서의 Shaping은 Inside에서 코줄임과 늘임을 하며, 밑단의 처짐분량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옆선은 이중 도목으로 처리하여 늘어짐을 방지하고, 앞처짐 분량은 1cm로 설정하는 것이 좋음을 알수 있었다. 다음으로 겨드랑 부위의 바인드 오프 처리는 몸판에만 2cm분량으로 설정하여 편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압축패턴과 전개패턴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 무봉제 니트 원피스의 편성방법을 제안하여 심미성과 착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고부가가치 무봉제 니트의류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심미성이 높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무봉제 니트의류 개발 및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템을 무봉제 니트 원피스에 제한하여 연구가 이루어졌고, 게이지와 소재를 한정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무봉제 니트 의류 제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게이지와 소재의 무봉제 편성 방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seamless knit wear made it is possible that the production of competitive knit wear. In addition to that,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shortening of the latency time and the reduction of the man hour for the production can be obtained because the cutting and the sewing processes are not necessary. The knitting method of waist dart and that of the sleeves for improvement of movement adaptability were studi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a knitting method that is suitable for the bodies of women in their 20’s and can enhance aesthetic aspect and wearing satisfaction. An additional purpose is supplying th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value-added seamless knit wear by analyzing the appearance and the wearing satisfaction of seamless knit one-piece and sewed knit one-piece. Four kinds of seamless knit one-pieces were implemented by different knitting method each other. The inspection of the exterior, the sensory test of movement adaptability and the analysis of the sag and the appearance of hem lin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dditionally, 9 kinds of seamless knit one-pieces that have different bind-off length and/or position at the axilla were produced.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ir movement suitability and the analysis of their slid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human motions were executed. Finally, sensory test and comparison of the appearance and the movement adaptability of the seamless knit one-piece and the sewed knit one-piece were under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sted below. 1. Exterior evaluation of the four samples having different waist dart knitting method results that the sample with outside narrowing and widening get low grade. Thus, we can see that the method having only outside narrowing and widening for waist shaping can cause problems. In addition to that, the sample with inside narrowing and widening get highest grade for almost all test items. So, the knitting method that has only waist dart narrowing and widening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waist shaping. The dressing evaluation results that the knitting method of waist dart affect only on the exterior but not on the movement adaptability of the seamless knit one-piece. 2. To see the effect of the bind-off length at the axilla, a movement adaptability test was undertaken for 4 samples that have bind-off at bodices and for 4 samples that have bind-off at bodices and sleeves. Its result was that the samples with small bind-off lengths represent better wearing satisfaction than the samples which have large bind-off lengths. The comparison of the sliding distances at the hem, waist and sleeves with respect to the tester’s motions also shows that the sample having small bind-off makes better result than the sample with large bind-off. It was observed that the optimal length of bind-off was 2 cm for the improvement of the sleeve functionality. The result of the movement adaptability test for the 3 samples with different bind-off at the axilla respectively and the comparison of the sliding distance with respect to motion represent that the samples having the bind-off only at the bodice or at the bodice and the sleeves got the better grade than the case of no bind-off. Since the sample with bind-off of 2 cm at bodice got the best result in the test, this knitting method was analyzed to be the most suitable one for the improvement of sleeve motion adaptability and its functionality. 3. The exterior inspection of the seamless knit one-piece and the sewed knit one-piece presents that the seamless knit one-piece made fewer wrinkles at the front part of the waist but the sewed one-piece got the better results than the seamless one for the other curved parts. The dressing evaluation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seamless or the sewed knitting method effect only on the appearance but not on the movement adaptability for 12G knit one-piece. It is no doubt that seamless knit wear is very productive in time and material aspect and its future is very promising. It is evident that the development of seamless knit program which can complement the weak points is remarkably needed, because the flexibility of pattern modification and the diversity of the knitting method of seamless knit wear are limited. 4. The followings are the knit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the wearing satisfaction of seamless knit one-piece proposed in this study. Shaping at the waist should use inside narrowing and widening. From the analysis of the sag measurement data, the side-seam should be treated with double stitch to prevent sag and the front sag length should be set 1 cm. Finally, the bind off treatment for the axilla should be located only at the bodice and the length should be 2 cm. The compressed pattern and the development pattern are proposed as the suggestions. As notified in above, a knitting method for seamless knit one-piece that can improve aesthetic aspect and wearing satisfaction was proposed and th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value-added seamless knit wear was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 seamless knit wear and can improve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amless knit wea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5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