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0

연출가 동인 <혜화동1번지>의 활동 연구

Title
연출가 동인 <혜화동1번지>의 활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irectors’ group 's activity : from 1st term to 3rd term(1993-2005)
Author
유용석
Alternative Author(s)
Yoo, Yong Seok
Advisor(s)
신일수, 김미혜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연출가 동인 <혜화동1번지>(이하 혜화동1번지)의 1993년부터 2005년까지의 활동을 각 기수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혜화동1번지가 현대 한국 연극에서 이뤄낸 성과를 살핌과 동시에 앞으로의 전망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연출가 중심의 동인제’와 ‘소극장 운동의 계승’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혜화동1번지의 창립 배경을 분석했고, 각 기수별 기획 페스티벌을 대상으로 하여 혜화동1번지의 성과를 밝히려 했다. 또한 각 기수별로 ‘실험극’의 의미가 변화함에 따라 그들의 소극장운동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밝히고, 소극장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의 운영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려 했다. 혜화동1번지는 ‘국내 유일의 연출가 동인’이라는 특수성과 ‘실험극의 산실’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김유미, 이윤택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했으며, 과거 소극장운동들에 관해서는 유민영, 차범석, 정호순 등의 연구를 참고했다. 선행연구들에서 부족한 부분은 학술지, 인터뷰 기사, 언론 보도, 공연 프로그램 등을 통해 보완했으며, 무대 구조, 각 기수별 운영 방법, 공연 활동 등을 주된 관심사로 삼았다. 1990년대 초반 대중문화화, 소비상품화된 연극 환경 속에서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혜화동1번지가 결성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1기 동인들에게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는 실험공간임과 동시에 1970년대 소극장 운동을 계승하고자 하는 주요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페스티벌은 일종의 ‘오프(off)-대학로’적 성격을 띠었다. 또한 그것은 실험극을 표방하는 젊은 연출가들의 공동 모색의 장으로서 실험극 페스티벌의 단초를 제시했다. 혜화동1번지의 연극사적 의미는 2기 동인들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30대 연출가들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향의 연극 흐름을 창출해냈다. 대체로 비언어적, 비재현적, 희극적인 2기들의 작품세계는 그 변별성에 의문을 갖게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안적 연극문법(창작극의 인큐베이팅, 전통적인 극 구성의 해체 등)을 꾸준히 모색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ⅲ - 3기 동인들은 양적 측면에서 가장 왕성한 페스티벌을 기획했으며, <공연과 이론을 위한 모임>(이하 공이모)와의 협업을 통해 공연과 현장의 연결을 시도했다는 점이 신선했다. <연출가 데뷔전>의 경우 무료로 극장을 빌려주며 공연을 유치하는 등, 극장 실험을 감행하는 과감한 활동이 두드러졌다. 반면 그들의 페스티벌이 동인 개개인의 쇼케이스 차원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에서는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젊은 연극인들이 하나의 공간을 중심으로 동인제식 작업을 통해 끊임없이 활동했다는 점이야말로 혜화동1번지가 지니는 중요한 의미이다. 그러나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는 운영상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서서히 동인 차원의 소극장 운동 부재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는 변화된 주변 환경과 부합하는 유연한 의미에서의 소극장 운동의 정체성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즉, 혜화동1번지가 ‘동인’, ‘실험’이라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강박관념에 얽매이기보다 스스로 그 존재의 당위를 입증해내는 철학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새로이 도출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혜화동1번지를 통해 새로운 의미의 소극장 운동이 이뤄질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개인 공연과 동인 활동을 병행하는 혜화동1번지의 관습이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이어질지에 따라, 연극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지원 마인드와 정책 변화에 따라, 동인 안에서 각 개인들의 연극관이 어떻게 조화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천차만별일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 그러했듯 혜화동1번지 동인들은 여전히 많은 이들이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에서 공연되는 작품을 기대하고 있음을 기억하고, 그 기대에 부응하며 나름의 독창성을 이어나가려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 ⅳ - 선행 연구가 없는 주제를 다루다보니 본 논문이 완성도의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아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국내 유일의 연출가 동인’이라는 특수성을 지닌 혜화동1번지에 관한 후속 연구의 계기로 작용하기를 희망한다. 아울러 혜화동1번지의 활발한 활동과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를 비롯한 한국의 소극장들의 내실 있는 발전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the directors' group (hereinafter "Hyehwadong 1 bunji") from 1993 to 2005, by each term, analyzing its accomplishments in the Korean modern theater and its futu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Hyehwadong 1 bunji, focusing on two aspects: "director-oriented group system" and "succession to the little theater movement." The festivals organized during each term were also examined to better understand the achievements of Hyehwadong 1 bunji.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s of the Hyehwadong 1 bunji activities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group's directors' perception of experimental theater from one term to another. Attention was also given to the problems regarding the operation of Hyehwadong 1 bunji. Hyehwadong 1 bunji has a unique status in the Korean theater as "Korea's one and only directors' group" and "a test bed for experimental theatre." Articles about Hyehwadong 1 bunji written by Kim Yu-Mi and Lee Yoon-Taek were referred to in this study, and as for the little theater movement in the past, studies from Yu Min-Young, Cha Bum-Seok, and Jeong Ho-Sun were referred to. Besides, journals, interview articles, press releases, and theater programs were used to supplement this study. The main focuses of this study include stage structures, operation methods for each term, and performances. This study found that Hyehwadong 1 bunji was formed amidst the explorations against the trends toward pop-cultu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ater in the early 1990s. For the first-term directors, Hyehwadong 1 bunji was both a space for experimentation and a major tool with which to succeed the little theater movement of the 1970s. Their festivals took on off-Daehakro characteristics. As a place for young directors pursuing experimental theater, Hyehwadong 1 bunji and its works laid the groundwork for experimental theater festivals to follow. The meaning of Hyehwadong 1 bunji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re became more explicit by the second-term directors. The second-term directors, who were mostly in their 30s, created a new trend in theater. Their work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ir non-verbal, non-representative, and comedic qualities. Despite some questions about the distinctiveness of those works, they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theatrical world with their consistent pursuit of alternative theatrical grammar. The third-term directors were the most vibrant and prolific organizers of festivals. They tried to link performance and the actual theatrical field through collaboration with , and actively engaged in hosting performances via free theater rental. However, there were also criticisms that their festivals were no more than showcases for each director's works. Hyehwadong 1 bunji wa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space for a group of young directors so that they can consistently put on performances. Due to its financial and operational problems, however, Hyehwadong 1 bunji had to face a gradual decrease in the little theater movement at the directors' group level. This meant that a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little theater movement was required to cope with the new environment. In other words, Hyehwadong 1 bunji needs to break away from its defining qualities in the past such as "directors' group" or "experimentation" in search of new philosophy and specific methodology that can justify its existence in a new theatrical environmen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Hyehwadong 1 bunji will lead to a new little theater movement. The result will de dependent on many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current practices of Hyehwadong 1 bunji of putting on both individual works and directors' group works, the attitudes of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toward theater sponsorship, and the harmonization of the artistic views among the group members. Still, the members of the group should keep in mind that "many people are looking forward to watching new performances of Hyehwadong 1 bunji,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eet the people's expectations and to retain Hyehwadong 1 bunji's uniqueness in the theatrical landscape in Korea. This study ha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s since there are no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is subject matter. Nonetheless, it is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ill encourage further research on Hyehwadong 1 bunji. The researcher also expects to see energetic activities of Hyehwadong 1 bunji and constructive development of Korea's other little theat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8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