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 0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와 스텔라 애들러(Stella Adler)의 연기 방법론 비교 연구

Title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와 스텔라 애들러(Stella Adler)의 연기 방법론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 acting methods of Lee Strasberg and Stella Adler
Author
조한준
Alternative Author(s)
Cho, Han Jun
Advisor(s)
신일수, 최형인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System)의 적용에서 차이를 보인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 1901-1982)와 스텔라 애들러(Stella Adler, 1901-1992)의 연기 방법론을 비교함으로써 미국의 현대 연기 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사실주의 연기이론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접근인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오해를 받아왔다. 특히 연극적 전통의 기반이 약한 미국에서는 ‘시스템’의 수용에 대한 욕구가 열광적이었던 것만큼 그에 대한 역효과도 컸다. 그룹 씨어터(The Group Theatre)는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과 러시아 연극에 대한 관심을 미국 내에 정착시키는 발판이 되었다. 특히 그룹 씨어터 내에서 연출과 연기지도를 담당했던 스트라스버그는 자신이 이해한 초기 ‘시스템’을 적용하며 자신만의 방법론을 구축해 나갔다. 이러한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The Method)는 미국 내에서 1961년 스타니슬라브스키의 후기 저서인 『역할창조』(Creating a Role)가 출판되고, 소니아 무어(Sonia Moore) 등 러시아에서 연기 교육을 받은 이론가들이 등장하기 전까지 상당 기간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시스템’으로 오해를 받아왔다. 그러나 스텔라 애들러는 그룹 씨어터 시절 이미 ‘신체적 행동의 방법’(The Method of Physical Action)에 대한 이론을 스타니슬라브스키에게 직접 전수 받고 스트라스버그의 방법론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였다. ‘이완’(relaxation)과 ‘집중’(concentration), ‘정서적 기억’(affective memory)을 통해 배우의 내적 메커니즘 개발에 중심을 둔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와 ‘상상력’(imagination), ‘신체적 행동’(physical action)을 통해 보다 ‘시스템’에 근접하려했던 애들러의 방법론은 배우의 ‘느낌’(feeling)과 ‘행동’(action)이라고 하는 상호 보완적인 성질의 것들을 각기 다른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방법론은 그룹 씨어터 이후 미국의 현대 연기 방법론의 정립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들의 실제적인 훈련 방법들은 오늘날 우리나라 배우들에게도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시스템’의 수용에 있어서 발생한 문제들이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연기 방법론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심리 중심적인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와는 달리 ‘시스템’의 후기 이론을 접목한 애들러의 방법론에 대해서는 간과한 채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가 미국의 현대 연기 방법론을 정착시킨 대표적인 연기 이론으로 오인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자는 미국 내에서 본격적인 연기 방법론 연구의 시발점이 된 그룹 씨어터의 연기 메소드(methods) 중, 초기 ‘시스템’의 영향으로 심리 중심적인 성향을 보이는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와 미국에서 후기 ‘시스템’을 처음으로 받아들여 행동 중심적 성향을 보이는 스텔라 애들러의 방법론을 비교하여 초기 미국식 사실주의 연기 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장에서는 그룹 씨어터가 결성되기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의 수용과 관련해서 스트라스버그 ‘메소드’와 애들러의 방법론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논하였다. 3장에서는 스트라스버그와 애들러의 방법론을 ‘심리’와 ‘신체 행동’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비교하였으며, 4장에서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 훈련 방법을 비교하여 단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메소드’(methods)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들 ‘메소드’(methods)의 한계에 대해서 논하고, 그룹 씨어터 이후 대안적인 연기 방법론의 출현 원인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right understanding on the modern acting methods of America by way of comparing the acting methods of the two most influential theorists and practitioners, Lee Strasberg(1901-1981) and Stella Adler(1901-1992). These two had different view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Stanislavski's 'System'. The Stanislavski's 'System', which was the first scientific approach to the realistic acting theory, has been misunderstood in many aspects. Especially, in America where the theatrical heritage was very poor, as the System was received very enthusiastically, also the reverse effects caused by it were enormous. The Group Theat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ttling the 'System' and generating some interests in Russian theatre in America. In particular, Lee Strasberg who took charge of directing and acting coaching in the Group Theatre worked on establishing his own method using the earlier stage of the 'System'. This Strasberg's 'Method' had been misunderstood as the same as Stanislavski's 'System' for long time until the 『Creating a Role』, Stanislavski's later period work was published in 1961 and some theorists who had studied in Russia like Sonia Moore appeared in American theatre scene. However, Stella Adler, also a member of the Group Theatre, had already studied 'the Method of Physical Action' under Stanislavski and refuted Strasberg's 'Method'. The Strasberg's 'Method' focused on developing inner mechanism of actors through 'relaxation', 'concentration' and 'affective memory'. On the other hand, Stella Adler attempted a closer approach to the 'System' utilizing 'imagination' and 'physical action'. These two approaches tried in each own way to deal with the mutually complementary elements - 'feeling' and 'action', and as a result, both theorie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modern acting methods in America. In Korean theatre scene, the practical training methods designed by these two persons have already been being used familiarly. But it has not been discussed properly yet what kind of effects those problems derived in the process of adoption of the 'System' in America have exerted on today's acting methods. Furthermore, compared with Strasberg's psychological 'Method', Stella Adler's method influenced by the later stage of the 'System'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As a result, the Strasberg's 'Method' has been misconceived as the only representative modern acting theory of America. In this context, I aimed at promoting the right understanding on the early American realistic acting methods by way of comparing these two methods: Lee Strasberg's which has its focus o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Stella Adler's which has its focus on the aspect of physical action. Both theories are representative among the acting methods of the Group Theatre which initiated the active studies of acting methods in America. The developing process of this subject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formation of the Group Theatre have been discussed, and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rasberg's 'Method' and Adler's theor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the Stanislavski's 'System' has been discussed. Secondly, Strasberg's 'Method' and Adler's method have been compared by separately focusing on the 'phycology' and the 'physical action'. Thirdly, to promote practical understanding on these methods, the actual training methods of these two theories have been discuss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Finally, the limits of these methods and the reason other alternative acting methods appeared after the Group Theatre have been discuss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