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0

장애아출산에 대한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아출산에 대한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octor`s responsibility for birth of child with disabilities
Author
박철호
Alternative Author(s)
Park, Cheol Ho
Advisor(s)
이덕환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에 전통적인 의료과오소송과 다른 형태의 의료과오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즉 임신 전 장애아 출산가능성에 대한 검사나 그에 따른 의사의 진단상의 오류 또는 임신 후 출산 이전까지 태아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나 그 결과에 대한 의사의 판단착오로 인하여 정상아가 태어날 것으로 고지되었지만 장애아가 태어나는 경우에 제기되는 소송이 바로 그것이다. 이 경우 장애아의 부모가 과실 있는 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원인을 원치 않은 출산이라고 하고, 장애아 자신이 청구하는 소송원인을 원치 않은 삶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1950년대 후반에 이러한 유형의 소송이 제기된 이래 세계 각국에서 장애아에 대한 손해배상 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아이의 출생과 관련된 이러한 유형의 소송에서는 법이념을 뛰어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내재되어 있어서 장애아 자체를 손해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아의 부양비 등에 대한 손해배상을 인정하더라도 청구권자를 부모에게 한정할 것인지 혹은 장애아 자신에게까지 확대하여 인정할 것인지가 논쟁의 초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각국에서는 원치 않은 출산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에서 일반적으로 장애아에 대한 부모의 손해배상청구를 인정하고 있으나 원치 않은 삶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에서의 장애아 자신의 손해배상청구는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에 장애아출산소송이 제기되면서 판례와 학설에서 장애아에 대한 손해배상을 둘러싸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대법원 판례에서는 장애아의 부모에 대한 위자료만 인정하고 있을뿐, 재산적 손해는 아직 인정하지 않고 있다. 생각건대 의사의 과실로 인하여 부모는 원치 않은 장애아의 부양비 상당의 손해를 입은 것이 틀림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장애아의 진정한 의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고 아이의 최대의 복리를 지향하는 현대가족법상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양비 등의 손해는 배상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애아출산소송에 있어서 부모의 정신적 손해는 물론이고 장애아의 부양비 전부를 포함하는 재산적 손해배상도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나이가 장애아 자신의 손해배상도 자신을 부양해줄 보호자가 없어지는 성년기 이후를 고려하여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장애아의 충분한 배상을 보장하고, 의사의 과중한 비용부담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이나 의사책임보험제도의 도입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the past, parents gave birth to children, unaware of possible disabilities or diseases, and took full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despite their handicaps. The benefits that society has accrued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health-care field have led physicians to become the targets of birth-related tort claims such as wrongful birth and life. This area of tort law has expanded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the ability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pregnancy prior to conception, harmful medical procedures that injure both mother and child, and the discovery of harmful drugs or exposure to toxic substances that lead to deformities in the child. Wrongful birth describes a cause of action or claim by parents of a deformed or defective child who allege that negligent advice as to the risk of genetic or birth defects or negligent treatment, or failure to abort a fetus, by the doctor deprived them of the choice of avoiding the child's conception or of terminating the pregnancy. In these cases, parents of child with disability allege that because the defendant doctor breached the duty owed to the patient, they were denied the opportunity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This claim lies on the basis that had it not been for the doctor's negligence, the imperfect child would not have been born. In contrast to wrongful birth claims, wrongful life claims vary from preconception tort claims in that the plaintiff child alleges the defendant caused his/her existence but not necessarily his/her impairment. Therefore, in wrongful life cases, the child alleges that although he/she would have been born, he/she would have been born without a defect had it not been for the defendant's negligence. As of today, there is no unified system of birth-related tort recognition in the world. The U.S. became the first country to recognize a cause of action for wrongful birth and life. After this, in other country, Germany, Great Britain and France, etc., had recognized wrongful birth to ensure a claim for patients when their physicians have breached their duty of care. But most countries do not have recognized wrongful life except for the United States. In Korea, in the lower court, wrongful birth actions have been brought by parents alleging that the physician's negligence of their child caused the injury in 1990s. The Supreme Court agreed with the lower court to allow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 to recover damages for the mental anguish. But it had rejected wrongful life based on the human dignity and worth and on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damages. Many courts have rejected wrongful birth and life based on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damages. But it should have recognized that the human dignity and worth and the difficulty of calculating damages should not preclude the cause of action. The right to life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same right, however, has not yet been granted for quality of life at birth. So in wrongful birth action, it must be allowed full recovery without benefit offsets, including compensation for childrearing and even emotional distress, to parents if the child was disabled. And in wrongful life, a disabled child must be allowed full recovery without benefit offsets, including compensation for childrearing and education expenses that are incurred during infancy and that the child may recover those expenses during his major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