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0 0

즉흥무용 시 무용수의 부정적 심리요인과 대처에 관한 심층 분석

Title
즉흥무용 시 무용수의 부정적 심리요인과 대처에 관한 심층 분석
Other Titles
The In-depth Analysis on Coping Strategies and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of Dancers During Impromptu Dancing
Author
강경모
Alternative Author(s)
Kang, Kyung-Mo
Advisor(s)
김복희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즉흥무용 시 무용수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심리상태와 대처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부정적 심리요인과 대처방안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양적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를 2008년 현재 즉흥무용에 참여하는 무용전공 대학생 및 전문무용수 194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 모형의 설득력과 근거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 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용수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된 양적 측정도구는 특성불안 검사지, 상태불안 검사지, 스트레스 검사지, 대처 검사지이며, 질적 측정도구는 개방형질문지와 면담지침서이다. 양적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5.0과 AMOS 7.0을 통해 분석되었고, 질적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전사를 통한 범주화 작업을 통해 원자료 세부영역,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의 개인적 특성 변인과 불안, 스트레스 및 대처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성불안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특성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에서는 전문무용수들이 무용전공 대학생들보다 인지불안 및 신체적 불안이 낮고 상태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인지불안 및 신체적 불안이 낮고 상태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무용수행 능력 수준별에서는 수행능력 하로 지각한 집단이 인지적 불안이 가장 높았고, 반면에 인지된 무용수행 능력을 상으로 지각한 집단이 자신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무용수들이 무용전공 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무용수들이 무용전공 대학생들보다 문제중심대처와 초연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에서는 한국무용이 발레나 현대무용보다 문제중심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즉흥무용 시 무용수들이 경험하는 불안,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론적 근거에 의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연구모형은 다양한 적합도 지수를 통해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연구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특성불안이 스트레스,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정서중심대처와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태자신감과는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인지적 불안과 문제중심적대처와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피대처에는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수들의 부정적인 심리 상태는 내적 부정적 심리상태가 194개(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적 부정적 심리 상태는 78개(28.6%)로 나타났다. 내적 부정적 심리상태는 2개의 하위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는데, 높은 빈도수에 따라 서술하면 즉흥무용관련 심리 상태 141개(51.8%), 자신관련 심리 상태 57개(20.9%)로 나타났다. 외적 부정적 심리 상태는 2개의 하위일반영역으로 지도자 심리 상태 49개(18.0%), 동료 무용수 관련 심리상태 29개(10.6%)로 나타났으며, 지도자 관련 세부영역으로는 과제에 대한 두려움, 즉흥무용 방식에 대한 불만, 이해심 부족 등이 탐색되었고, 동료 무용수 관련 세부영역으로는 동료 무용수들의 비하, 동료들의 이해심 부족 등이 탐색되었다. 넷째, 즉흥무용 시 부정적 심리상태에 대한 대처 방안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적극적 대처, 문제중심대처, 자기조절, 사회적지지, 긍정적 재평가, 회피와 같이 총 6개의 대처요인을 추출하였으며, 반응 빈도가 높은 순으로 서술하면 문제중심대처가 441개(32.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회피 309개(22.6%), 적극적 대처 262개(19.1%), 사회적 지지 167개(12.2%), 자기조절 159개(11.6%)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즉흥무용 시 부정적 심리에 대한 대처방안으로는 문제중심대처와 회피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무용수들은 즉흥무용 시 부정적 심리상태를 경험하고 있고, 그것에 대해 비교적 효율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즉흥무용 전, 후에 부정적 심리상태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egative feelings and to cope strategies dancers experience during impromptu dancing and to investigate the furth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In the quantitative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negative feelings and coping strategies during impromptu dancing, collegiate and professional dancers (N=194) who currently participate in impromptu dancing were recruited.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study, open-end questionaries(N=200) and in-depth interview (N=5) were also conducted. Th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were trait anxiety inventory, state anxiety inventory, stress inventory, open ended(open-end) questionaries and interview guideline were administer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and AMOS 7.0 while the qualitative data were classified into raw data, category, and dimension by transcrip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omparing anxiet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personal traits, the result indicated that female dancers had higher anxiety levels than male dancers. In terms of state anxiety, professional dancers showed lower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and higher state of confidence than collegiate dancers, and so did male dancers. Moreover, it appeared in gender that male dancers show low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than women while showing higher state of confidence. In terms of the level of performance group who did not come up with good performance had the highest cognitive anxiety while group who came up with good performance had the highest confidence. In terms of stress, the stress level of professional dancers was higher than collegiate dancers and they more frequently handled problem focused coping and choyoun coping than their counterparts to cope with their stress. Finally, problem focused coping was more used by traditional Korean dancers than modern dancers. Secondly, to analyze relationship among anxiety,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 study model was set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trait anxiety is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cognitive anxiety, somatic anxiety, and emotion focused on coping while state of anxie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t. Furthermore, stress is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ve anxiety and problem focused coping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avoidance coping. Thirdly, the results of negative feeling among dancers indicted two categories- intrinsic negative feeling (194, 71.3%) and extrinsic negative feeling (78, 28.6%). The intrinsic negative feeling was divided into psychological state on imprompt dancing (141, 51.8%) and psychological state on self (57, 20.9%). The extrinsic negative feeling wa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state of lecturer (49, 18.0%) and psychological state on company (29, 10.6%). Specific dimension on leader consisted of fear of the task, complaint on impromptu dancing, lack of understanding while specific dimension on company were composed of blaming on company, lack of understanding of company. Finally, the results of coping strategies with the negative feelings were active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self control, social support, positive reevaluation, avoidance. The responding frequency was in order of problem focused coping 441(32.2%), avoidance 309(22.6%), active coping 262(19.1%), social support 167(12.2%), self control 159(11.6%). In fact, problem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coping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is research, although dancers had a negative feeling about impromptu dancing, they did not have 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As a result, the need of a psychological program that helps them to cope with such negative feelings were suggest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7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