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4 0

중국, 한국, 일본 삼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비교와 분석

Title
중국, 한국, 일본 삼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비교와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ring with Characters of Animation i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 From the Centre of the Hero Characters
Author
오예
Alternative Author(s)
Wu, Ye
Advisor(s)
고은영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애니메이션은 예술이자 상품으로써 그 가치를 발휘하는 매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의 대표적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미친 각 삼국, 특유의 사회적,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급속한 미디어의 발달이 초래하는 변화를 이들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인류의 역사 상 가장 획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라 할 수 있는 TV 와 컴퓨터는 삼국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영웅 캐릭터에 변화를 요구하였다. 이 변화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오늘날 우리시대 뉴미디어에 맞는 애니메이션 방법론을 제안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다양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특히 영웅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 영웅 캐릭터는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서 중국, 한국, 일본 3 국의 서로 다른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사회적 배경과 형황을 인해 가각 다른 속성을 포함하다. 새로운 미디어의 발명은 이 삼국의 애니메이션을 근본적인 변화를 추진시켰다. 텔레비전과 컴퓨터의 출현 이후, 애니메이션 문자는 이러한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새 미디어의 발명 때문에 - 텔레비전과 컴퓨터를 사용함으로 사람들도 집에서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게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캐릭터와 청중 사이의 거리는 이전보다 더 가까이 있었다. 그리고 컴퓨터의 발명 및 사용이 생산 애니메이션에서 아주 좋은 영향을 미친다. 본 고에서 살펴본 결과, TV 등장 이후의 삼국의 애니메이션 영웅 캐릭터들은 대부분 외형적으로는 가상적 형상을 주로 채택하고 있으며, 내재적으로는 평화와 발전에 대한 시대적 갈망을 대표하고 있었다. 전쟁의 공포와 불안에서 사람의 마음은 평화로운 삶을 기대하여 고통에서 빠져 시킬 수 있는 영웅에게 희망을 걸고 있다. 이제까지 가장 인기 있는 테마가 강역한 힘을 대표하는 로봇 또는 SF 애니메이션 이였다. 대부분의 영웅 캐릭터는 일본의 건담처럼 로봇과 인간의 조합으로 산업 문명과 욕망을 대표한다.중국 사회주의 제도는 사람들이 자신의 기능을 강조해서 손오공처럼 인간과 가상적인 이미지의 결합은 가장 대표적인 영웅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특유한 특성도 많다면서 로봇 태권 브이의 행동은 주로 화면에서 현실적인 스타일을 복사하고 보여준다. 일본의 기동전사 건담은 첫 번째 시리즈의 캐릭터로서 일본에서 많은 지지자와 팬을 생겨진다. 20C 말, 컴퓨터가 발명된 후에는 영웅 캐릭터는 인간형으로 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내재적 특성으로는 자연스럽고 복고적인 소망을 요구함을 대표하고 있다. 컴퓨터의 발명과 시각적인 인식을 필요로 애니메이션은 한 영상 산업과 비즈니스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애니메이션 중의 영웅 캐릭터는 과거보다 현실 인물의 기반위에 더 많은 적응하기 시작하여 사람은 현실적인 기반에서 더불어 현대적인 요소의 영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당영웅전은 전통 예술과 문화의 스타일에서 빠져나가기 시작하여 컴퓨터 기술을 사용함으로 현대적인 시각 효과에 초점을 맞추려고 했다. 바다의 전설은 실제 역사적 인물 적응에 기초하여 영웅의 개성과 특성을 멋진 액션 장면을 만든 컴퓨터의 협력을 강조하다. 바람의 전설-검심은 영웅의 삶과 심리적인 변화에 통하여 메이지 유신의서 이러난 엄청난 문화와 사회적 변경을 반영된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는 전통 미술의 제약과 주면나라 현대미술의 침투 아래에서 아직 완전히 떨쳐 되지 못한다. 한국은 10 년 동안 계속 애니메이션의 개발하면서 고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캐릭터들이 단순한 애니메이션중의 역화뿐만 아니라 가상 이미지 제품과 네트워크 게임의 캐릭터 등 형식을 발전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공은 하루하루 발전하고 있는 시각예술에서 분리할 없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은 TV 등장 이후, 타국의 문화 예술과 본국의 민족적 특색을 완벽히 결합하는 독특한 전략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중국과 한국은 21C 뉴미디어 시대에 어떠한 전략으로 문화경쟁력을 확보할 것인가? 그 대응 방향을 수립하는데 본 연구가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Various characters of animation i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is one of the cultural phenomenon which respectively contain the different property of these three countries due to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cultures, arts, and social developments. The visual features like colors, actions and expression of the characters-mainly hero characters in Chinese, South Korean and Japanese animations will be analyzed. The scope of this study will be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is after the Second World War with the invention and use of TV; another is after 1990 with the invention and use of computer. China, South Korea and Japan have great commonality of animation. The commonalities bring up the similarities, traditional concept of the aesthetic and artistic forms of expression, which reflected in animations that prefer an oriental color and the relative determination of the action towards realist style in design of characters. Chinese animation emphasizes on compliance with the traditional rules and regulations. Animation industry began to develop continuously as an economic production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contents of animations in Japan prefer to emphasis on the description of people themselves. Because of the invention and using of new medias- TV and computer that made people can see animation at home, and then the distance between characters and audience had been closer than before. And invention and use of the computer during this period has a great influence on producing animation. From the fear and unrest of war, in people’s heart, they were urgently looking forward a hero who can give them a peaceful life, to save them from suffering. The most popular themes during this period were the robot’s or SF animations which represent a strong force. And most hero characters are combinations with the robot and the human to represent the desire to the industrial civilization. Since Chinese socialist system emphasize the ability of people themselves, so the Monkey King is the most representative hero character. There are also many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of Robot Taekwon V. The actions showed on the screen mostly copied the realistic styles. Mobile suit Gundam is the first series characters with many supporters and fans in Japan.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and the need of visual perception then animation became a visual industry that could make the works to present a business practice. Hero characters in animation started to adapt the reality based figures more than the past because the willing to accept a hero who has a realistic basis with modern elements. Heroes in Sui and Tang Dynasties begin to dilute the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traces with computer technologies that wanted to focus on creating modern effects in the visual. The legend of blue is also on the basis of adaptation of real historical figures. Hero'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refer to emphasis on cooperation with a lot of wonderful action scenes made by computer. Rurouni Kenshin described the hero’s life and psychological changes reflected the whole cultural and social status was in the tremendous changing at Meiji dimension. The characters of Chinese animation have not been completely shake off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arts and the infiltration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modern arts. South Korea insisted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imation on the basis of more than 10 years to use the advantage of advanced networks; characters had been transformed into characters of the games and network virtual image products. The success of Japanese animation characters is inseparable from the development of the mellow visual arts up-to-dat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