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4 0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디자인교육에서 피드백 제시유형이 학습자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디자인교육에서 피드백 제시유형이 학습자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eedback types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design education via private web community
Author
현은령
Alternative Author(s)
Hyun, Eun Ryung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학습자 만족도과 디자인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디자인교육에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통한 피드백(과제관여, 자아관여) 제시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는 총 3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피드백 제시유형 따른 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파일럿 연구와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파일럿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교수의 디자인교육에 대한 생각들과 한계점을 알아보고 연구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연속선상에서 디자인 산출물에 대한 추론과 해결방법을 학습자 스스로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자 다양한 피드백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학습자 만족도와 디자인문제해결능력은 평가지를 통해 확인하였다. 디자인 문제해결능력을 위한 평가과정에는 2006년 12월 1개월 동안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2명의 디자인전공 교수가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와 제언을 위해 연구에 참여했던 학습자와 디자인교육 현장의 동료 교수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만족도는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과제관여 피드백(Task-involved Feedback)을 제시하는 1차실험과, 자아관여 피드백(Ego-involved Feedback)을 제시하는 2차실험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첫째,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활용한 피드백은 학습자의 흥미도를 높여주고 과제에 대한 애착심을 높여주었다. 둘째,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활용한 피드백은 신속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제공되어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셋째,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활용한 피드백은 학습자간의 친밀감을 강화시켜 학습자간 활 발한 토론과 의견제시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학습자 만족도는 1, 2차 실험결과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피드백을 준 집단의 학습자 만족도가 면대면 피드백을 제시한 집단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통한 개인적인 이메일, 쪽지, 방명록 등을 활용하여 수업내용과 관련된 정보, 진행사항, 과제정보 등의 제공은 면대면 학습에서 부족했던 의사소통의 경로를 마련하여 소극적인 학습자나 복학생, 편입생 등 학습 환경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보다 많은 학습정보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과제와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 영상, 추천 사이트 링크, 테스트제공 등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적인 피드백의 제공은 학습자의 흥미도를 높여주어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그리고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통한 피드백은 학습자의 응답에 즉각적 판정이 가능하므로 개별적인 과제가 많은 디자인학습의 특성상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각자의 수준에 맞는 차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디자인교육은 학습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교육적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었으며, 동기 측면과 인지 측면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자료를 통한 피드백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주었다. 특히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서로 공유하는 과정은 학습 구성원간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주었고, 이는 학습과정이 종료된 이후에도 상호협력적인 유대감을 형성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 디자인 문제해결능력은 1, 2차 실험에서 그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차 실험에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활용한 과제관여 피드백을 제시한 실험집단과 면대면 피드백을 제시한 통제집단 간 창의적 구상력과 디자인종합화 능력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통해 과제관여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 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디자인 문제해결능력도 동반하여 높아졌다고 볼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2차 실험에서는 피드백을 단순히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높여주는 내용보다는, 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디자인문제에 대해 좀 더 심도있게 다가갈 수 있게 하고 동료학습자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보다 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자아관여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학습자 또한 디자인문제에 대한 사전조사와 아이디어의 구체화과정을 논리적인 언어로 개인형 웹 커뮤니티에 기술하게 하여 문예기법을 통한 감상능력을 강화하였다. 그 결과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자아관여 피드백을 제시한 2차 실험에서는 학습자 만족도와 디자인 문제해결능력에서 개선효과가 높았다. 이는 교수가 디자인 문제해결에 대한 보다 더 심도있는 질문·답변하기, 정보 분류 · 전달 · 교환하기 등과 같이 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일련의 피드백과정으로 참여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학습자는 이러한 자아관여 피드백을 통해 보다 더 자신의 아이디어를 명백히 하고,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잘못된 과정이나 요인을 찾아내어 수정하는 리디자인(Redesign)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자아관여 피드백은 교수뿐만 아니라 동료학습자간에도 이루어지게 하였는데, 이는 디자인의 대중성을 적용시켜보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자아관여 피드백과정을 거치면서 학습자는 디자인창조자임과 동시에 감상자로서의 다양한 생각을 교환하고 인정해주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즉, 디자인교육에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피드백은 일반적인 면대면 피드백을 이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만족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1, 2차 실험에서 학습자의 최종 결과물에 대한 전문가의 디자인 문제해결능력 평가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학습자 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그것이 디자인 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지는 것과 상관된다고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디자인교육에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디자인 문제해결능력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라포형성을 도모하는 과제관여 피드백뿐만 아니라 명확하고 체계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디자인 문제에 대해 좀 더 심도있게 다가갈 수 있는 자아관여 피드백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개인형 웹 커뮤니티가 디자인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모든 것을 포트폴리오에 보관, 유지하여 학습의 증거를 제공하게 하는 아트 프로펠(Arts Propel)적 포트폴리오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작업의 연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과정에서는 전체적인 작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개인형 웹 커뮤니티는 이러한 아트 프로펠적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매우 적합한 매체적 특성을 지닌다. 학습자는 자신의 웹 커뮤니티에 컴퓨터로 작업 후 혹은 수작업으로 한 작품을 디지털 카메라나 핸드폰 카메라로 촬영 후 인화하는 과정 없이 바로 자신의 웹 커뮤니티에 작품을 올리고 그 내용에 대해 정리 할 수 있었는데, 이때 개인형 웹 커뮤니티는 학생들의 진보, 아이디어의 생성, 시각화된 사고력, 작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정리, 작품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감상하고 의사소통하는 매체로 사용될 수 있었다. 둘째, 개인형 웹 커뮤니티는 ‘에듀테이먼트’ 적인 특성을 가진다. 마케팅요소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오락적 요소를 가미시킨 아이템들은 무엇보다도 요즘 학습자가 선호하는 오락적 특성과 맞물려 좋은 학습자의 흥미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교수와의 관계를 부드럽게 이어주어 학습 구성원 간 라포형성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개인형 웹 커뮤니티는 학습자 개인 환경에 기반을 둔 자아관여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 디자인 문제해결에 있어 보다 더 유의미한 피드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개인형 웹 커뮤니티는 공동 커뮤니티 보다 사적인 공간이 많이 구성되어있어 학습자의 기분과, 상태, 그동안의 경험과 개인적 환경을 엿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이용한 디자인교육은 자체의 설계나 디자인이 디자인 정보정리 및 분류에 적합하며 사용방법이 단순하여 이용이 편리하였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사용이 용이하여 효과적인 수업매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디자인교육과정에서의 평가(학습의 마무리)는 학습자에 의한 강의평가로 이루어지지만 학습자의 강의평가에 대한 긍정적 결과가 수업의 질을 담보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디자인교육에서는 매체사용기능 훈련만을 강조하거나 학습내용을 새롭고 흥미롭게 제시하는 것 이외에도 종전의 미디어시스템들이 가지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시각매체, 청각매체의 경험을 가지고 그에 대해 담론화 시킬 수 있는 디자인창조자와 동시에 감상자로서의 능력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이용한 디자인교육은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학습이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도가 되었으며, 디자인교과의 특수 상황을 보충하고 보완하는 중요한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 디자인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며 무한대의 세계시장 질서를 재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경제 · 문화적 요소로 그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경쟁력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대비한 전략적인 디자인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feedback(task-involved and ego-involved) presentation via private web community in the sector of design education as a way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and design problem-solving skills of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the past three years. After a pilot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views of learners and educators about design education and the limits to that educ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is study, the focus of the study was placed on testing the effects of feedback presentation type via private web community. It's specifically meant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sorts of feedback in a mov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infer the possible output of their design and come up with workable solution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evaluated by a design professor in December 2006 in terms of design problem-solving skills, and another two professors were asked to team up with the professor to ensure the impartial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interview was held to have a profound discussion with the learners and design educators to make the right sugges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learner satisfaction, the learners expressed the same satisfaction with the primary and secondary experiments that respectively provided task-involved feedback and ego-involved feedback by means of private web communities. The feedback via private web communities served to boost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heir zeal for task performance. The feedback that were promptly offered in various forms through private web communities contributed to raising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that served to fortify their mutual bond and stir up their discussion and exchange of opinion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e group of students who were given feedback through private web communities was more gratified than the other group that was offered face-to-face feedback, according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experiments. A supply of information on learning, progress of lessons and given tasks through e-mail, note or visitor list on private web communities provided a chance for the learners to have enough communication, which wasn't quite possible in face-to-face teaching. Some of the students were inactive, and those who came back to school after taking one or more semester(s) off or were transferred from other schools didn't yet get used to the given learning environments. This approach allowed those students to be given more academic information, and eventually contributed to boosting their class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y got more interested and found it more satisfactory to take lessons when multimedia feedback was provided via private web communities by capitalizing on task-related images or video shots. This sort of feedback made it possible to make an immediate judgment of learner reaction, and that was able to offer differentiated feedback in a manner appropriate at each learner's level and at their conveniences, since there were a lot of individualized tasks in design education sector. The design education via private web communities served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of the learners and consequently produced the best results. That created all the conditions for active feedback by applying a wide variety of materials that could motivate learners and address their cognitive needs. Specifically, all the members got more community-minded in the course of sharing learning information, and there remained a strong bond among them even after the learning process. In terms of design problem-solving skills, the primary and secondary experiments delivered different results. In the primary experiment, there was little gap in creative ideas and design synthe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ask-involved feedback was given via private web communities and the control group given face-to-face feedback. In other words, the improved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who were given task-involved feedback via private web communities didn't necessarily lead to their progress in design problem-solving skills. To remedy the situation, ego-involved feedback was provided in the secondary experiment to encourage the learners to take a deeper approach toward design by using more clear and systematic language and to wake up to their problems by comparing themselves with one another, instead of merely trying to ignite their interest. They were taught to bolster their appreciation skills by taking a literary approach, namely by having them make a logical description of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ir ideas on the personal web communities. As a result, there was a lot of improvement in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problem-solving skills after the secondary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offering ego-involved feedback via the private web communities. Their improvement was indebted to a series of task-related feedback given by the instructor about the classification, delivery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nd their sincere answers to their questions. The ego- involved feedback enabled the learners to describe their ideas more clearly, to find and correct anything wrong with their desig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eventually to design again. At the same time, the learners were encouraged to provide one another with ego-involved feedback. They got to approve of one another as design creators and appreciators who could share opinions during the ego-involved feedback process. The feedback via private web communities made a greater contribution to rai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than the face-to-face feedback. According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experiments, however, higher learner satisfaction didn't necessarily guarantee improved problem-solving skills. As a consequence, not only task-involved feedback, which creates rapport among learners, but ego- involved feedback, which makes it possible to take a deeper approach to design by using more clear and systematic language, are both required to boost the 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learners in design education via private web community. Overall, the benefits of private web community in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could be listed as below: First, a private web community enables students to make up a portfolio by applying arts propel. They could keep everything they have learned in that as proof of their learning. Since design curriculum characterized by the continuity of work should provide a big picture of design work, a private web community is one of the adequate media to construct a portfolio by applying arts propel. After making a work on the computer or manually, learners are able to post it onto their web communities without having to photograph their work with a digital camera or cell-phone camera and print it. At that time, the private web community could function as a medium for them to make progress, come up with ideas, foster their own visual and reflective thinking, appreciate their works with one another and have a mutual communication. Secon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rivate web community was that it was a sort of edutainment. There were different kinds of entertaining components in items provided by private web communities as one of marketing strategies. The intriguing items that had entertaining features preferred by today's learners served to spark the interest of learners,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nstructor and to create rapport among all the learners. Third, a private web community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ego-involved feedback in consideration of the personal environments of learners, and that feedback could function as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could expedite problem solving. There were more private spaces in the private web communities than public ones, which made it easier to grasp the mood, state, experiences and personal environments of the learners. Finally, the use of private web community enabled the learners to arrange and sort out design information and to design in an easier way. The application of private web community to design education was easy to do for everybody irrespective of time and space, and that is one of efficient instructional media. Currently, learners make an evaluation of lectures in the evaluation sector(the final stage of learning) of the existing design curriculum, but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a positive evaluation of lectures by learners couldn't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instruction.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utilize different media and learn in a new and interesting way.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given ample chances to be exposed to what previous media haven't provided in order to grow into a design creator and appreciator who is able to take advantage of one's own rich experiences with audiovisual media. Given the needs of today's society, providing design education via private web commun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and that was a good attempt to ensure sequential learning and make up for the specificity of design class. In the future, design will exert an enormous influence as one of primary economic and cultural elements on the boundless global markets. Under the circumstances, educators should direct their energy into nurturing competitive designers who can properly respond to rapid changes,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offering strategic design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5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