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 0

소록도 한센인 추모지 계획안

Title
소록도 한센인 추모지 계획안
Other Titles
Sorokdo Memorial : A study on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method
Author
정유진
Alternative Author(s)
Jung, Yu Jin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대지에 구축되는 물리적 산물로서 건축은 장소의 특성을 드러내고 그 형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에 정신을 담고 감정을 불어넣는 공간화 작업은 그 대지와 주변 요소와의 맥락화 하는 것에서 분리 될 수 없으며 이러한 건축의 적극적인 형태로써 기념비 건축은 장소와 건축, 기념대상의 관계를 살핌에 있어 서로의 시간적, 공간적 프로세스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장소는 눈에 보이는 요소들뿐 아니라 지역적인 요소 즉, 역사, 문화, 사회적인 의미의 수반이며 축적된 기억들과 시간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집단의 공통된 기억, 이미지, 의미부여의 기념비건축의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그 구축의 순수함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전라남도 고흥군의 소록도는 국립 소록도 병원으로 섬 전체가 명명되고 있으며 현재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고 있는 한센인 병력자의 치료와 정착촌이 있는 섬이다. 연간 적지 않은 관광객이 아름다운 자연과 일제 시대의 한센 강제 격리 정책으로 남겨진 지정문화재들의 잔재들을 보기 위해 찾아 들고 있으며 그 숫자는 계속 늘고 있다. 한센병의 소멸로 인한 섬 자체의 프로그램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관련지방 자치 단체에서 역사테마파크 사업과 기념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관광지화의 일환으로 기념의 본질을 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아직도 한센인의 1세대가 살고 있는 현재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장소는 자체의 혼을 갖는다. 자연의 섬에서 격리의 섬으로 그 의미를 달리한 소록도라는 장소(Site)는 섬이라는 물리적 의미와 한센병이라는 편견으로 둘러싸인 의미의 섬으로 특이성을 내포한다. 이 두 가지를 가지고 현재의 장소로서 소록도를 해석한다. 장소의 의미상실이 아니라 장소의 의미지속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건축의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이번 졸업 작품을 통해 장소(Site)의 내재적 요소와 외재적 요소가 건축공간에 관계맺음을 시각화 되는 과정을 소록도가 갖는 장소성과 기념대상의 관계 분석을 통해 구축되는 추모지 계획을 제안 해보고자 한다.; A building that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as a product of artificial technology unveil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in which it is located, and that makes up the form of the site. A spatialization means to instill spirits and feelings into th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and environments of the site. A monument, one of architecture of that approach, represents the relationship of the site, architecture and what's commemorated in the best manner. A site could be said as a representation of natural elements and local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components, and that could be defined as an assembly of accumulated memories and traces of time as well.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 that is characterized by shared memories, shared images and shared meaning among locals is worthwhile in that it gives a new sense of place to the site on which it is built. The entire region of Sorokdo that is located in Goheung-gun, south Jeolla province, is called Sorokdo National Hospital. That is an island on which people with leprosy settle down and receive treatment, and people in general aren't allowed to have access to that. At first, that was just one of common and usual islands, but is now an unusual and isolated island. In physical perspective, that site is an island as part of nature, and from social standpoint, that is an island of leprosy against which people have a bias. Thus, Sorokdo could be interpreted from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 this study, how to construct a building on a particular site in a way to recover the unique identity of the site was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nse of place of Sorokdo to the object of a monument, which was going to be set up,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of the sit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