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 0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Older People's Leisure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uthor
이정희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Hee
Advisor(s)
이희선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산업화에 따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노령화 사회가 확산되어 가는 한 시점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노인문제는 빈곤, 건강, 고독, 역할상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사회적 은퇴로부터 시작되는 역할상실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이것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이냐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결과적으로 노인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에 의거 경기도 과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인구통계학적 속성과 일반적인 사항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사항의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점수를 산출하여 회귀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여가활동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각 요인별 회귀분석을 한 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녀간에는 별 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은 여가생활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육정도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에서 차이를 보였고, 교육정도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배우자 유무는 생활만족도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는 여가생활,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수입정도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생활만족도가 높은 노인이 자아존중감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노인들이 느끼는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노인의 특성을 변화시켜 주는 대책이 필요하고, 노년기에 있거나 노년기를 앞두고 있는 노인들에게 여가활동 고취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노후의 경제적 준비 뿐 아니라 노후 여가활동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데 정부나 노인복지시설 등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global society is being rapidly aged, while the world economy grows continuously owing to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Korea is not an exception of this trend. The elderly problems may well be characterized by poverty, poor health, alienation and loss of roles, among of which the loss of roles after retirement emerges as most serious problem. In other word, the challenge facing the elderly people is how to overcome this problem as their leisure time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would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and thereby, explore the way to help them use their leisure time in a more desirable and effective way and ultimately help them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quota sampling to select 137 elderly peopled aged 60 or older and living in Gwacheon, Gyeonggi-do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2.0 for multi-faceted analyses: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for difference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effect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n their self-este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life affected their self-este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factor-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ir leisure activities affecte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ir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as not significant, while their leisure activiti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age. In addition,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differed depending on their marital status, while their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health conditions.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religion, while all independent variabl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income level. As discussed above,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ffecte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positively, and those satisfied with life more had higher self-esteem. Sinc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self-esteem differ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howe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change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encourage the elderly people or those being ag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leisure activities.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e government 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should take measures for their active leisure life as well as their financial preparation for their old-age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2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