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2 0

엘리베이터의 Operating System에 관한 디자인 연구

Title
엘리베이터의 Operating System에 관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for Operating System of the Elevator
Author
서용석
Alternative Author(s)
Seo, Yong Suk
Advisor(s)
박경진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로 인해 건물 내에서 층과 층간의 이동이 잦아지면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서 기다리는 시간과 이동속도가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빌딩내의 유동인구와 엘리베이터의 교통량을 파악하여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제품들이 증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 소모량을 줄여 빌딩의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Needs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요구하는 추세로 바뀌어 가고 있다. 엘리베이터 디자인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은 마케팅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질 것이다. 초고층 빌딩과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많아지면서 엘리베이터 승객들은 탑승 시 많은 버튼 중에서 자기가 가고자 하는 층을 찾는 어려움과 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한 공간의 협소감과 불쾌감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에 거주하는 고급형 아파트의 새로운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촉진제 역할 뿐만 아니라 주거 문화의 리더로서 역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공간구성이나 사용자적 측면의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의 소재 개발과 새로운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환경이 크기와 범위 면에서 증가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역시 매우 중요하고 새로운 이해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기능적, 공간적, 미적 요소들은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의 각 부분들을 차지하고 각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그 발전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와 유비쿼터스의 환경에서 건축의 변화와 엘리베이터의 트렌드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제어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의 Operating System의 구성요소와 각 회사별 디자인과 종류를 살펴본 후에 조작반의 인터페이스에 관해 분석을 하고, 그 다음으로 설문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사용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일반 조작 시스템과 터치스크린 조작 시스템의 사용성과 교통량, 전력 소모량에 대해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 시스템 간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엘리베이터에서 Operating System은 모든 사람이 사용하는 부분으로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 기존의 방식과 달리 터치스크린 방식의 조작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지만 인터페이스의 개선을 통해서 점점 활성화 되고 있다. 사회적인 약자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조작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It takes more waiting time and moving speed to get in an elevator as frequent movement between floors is needed because buildings today get of high-rising and larger.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operate an elevator effectively by analyzing elevator traffic and floating population inside a building. Now we have more products applied with a touch screen to reduce an operation time and power consumption of an elevator for improving building values. In addition, as consumers need new value-added, elevator design and internal communication factor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marketing. When skyscrapers and high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are constructed more and more, elevator passengers appeal narrow space and unpleasantness by closed space and a difficulty to find out a floor they head to among lots of buttons. In a new perspective of advance apartments and skyscraping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user interface needs to reflect spatial composition and user-focused aspectsin developing an elevator to lead and improve residential culture. Also, quality and design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as well as domestic material development are in need. As building environment is enlarged in terms of a size and a scope, it is also required to understand and develop an elevator in a new perspective. Furthermore, functional, spatial and aesthetic factors are getting more important in development of space as each part of it with its own potential. This study analyzes changes of buildings and trends of elevators in the digital era and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n suggests how to improve interface of a control system and elevator operation. First of all, it describes components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nd their designs and types by manufacturer. Then, it analyzes interface of an operating panel and then use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through a survey. Comparative analysis of usage, traffic and power consumption between a conventional operating system and a touch-screened system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merits and demerits of each system. As the operating system of an elevator is used by all passengers, the interface is very important. Unlike previous methods, a touch-screened operating system is getting more popular through interface improvement, although ordinary users do not feel comfortable with it. Therefore, an operating system that everyone including the social disadvantaged can use easily should be develop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DESIGN[E](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