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4 0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네트워크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Title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네트워크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etwork-Wide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toward Sustainable Pedestrian Environment
Author
김태호
Alternative Author(s)
Kim, Tae Ho
Advisor(s)
원제무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movement space for pedestrians is a primary facility for citizens to benefit pleasant walking and pastime. In addition, with the new paradigm, sustainable development', emerged in this 21st century, the spaces for pedestrians are becoming one of consequential planning factors. This dissertation proposes more accurate methods for estimat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in the pedestrian movement space by developing composite indicators that integrat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satisfaction, rather than simply relying on quantitative measures like pedestrian flow rate and pedestrian delay, which has been a major approach to the level of service (LOS) evaluations.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steps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draw study perspectives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 works related with quality of service and by examining aspects which are socially required. The second step is to conduct questionnaire surveys and record image in order to investigate perceived level of service (PLOS), considering the land use pattern of the survey areas. The third step is to setup a new list of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survey results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and to provide an evaluation framework by analyzing the degrees of importance and repetition existing on the criteria.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lso considers pedestrians? complex judgment processe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The fourth step is to select a case study area and apply the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assess the developed evaluation framework, testing its applicability. The fifth step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framework, utilizing the Space Syntax. In this step, the degree of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the pedestrian spaces was measured, supposing that th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and framework, including the structure map, is appli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QOS and perception map that pedestrians perceive, which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considerations of qualitative indicators encompassing safety, pleasure, and environment. Second,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tructure map are associated with land use patterns. In this study, three land use types?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ial areas?are considered. Third, several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such as pedestrian behavior, sidewalk maintenance, landscape,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turns out to b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ervice level. Fourth, the new approach was figuratively proved that it improves the accuracy of evaluation by 8.4%~28.2%, which was evaluated through the Space Syntax. The QOS setup by utilizing new criteria in this dissertation has a large difference with existing LOS. This dissertation will provide many advantages to Policy Decision -Making, planning movement spaces for pedestrians based on qualitative criteria.; 보행자의 이동 공간은 도시민의 쾌적한 통행과 휴식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 시설이다. 또한「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21세기의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보행교통류율, 보행자지체 등의 정량적인 지표만을 고려하고 있는 기존 보행자 이동공간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행자의 이동공간(보도 및 횡단보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을 반영하여 보행자의 실질적인 서비스 질(QOS : Quality of Service)을 측정 할 수 있는 통합적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자의 서비스수준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사회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는 사항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착안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 보행자 이동공간에 대한 서비스수준의 인식정도(PLOS : Perceived Level of Service)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및 영상촬영조사를 병행하였으며, 토지이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유형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셋째. 보행자 인식도 조사에서 나타난 인식정도 및 영향요인들을 근거로 새로운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항목간 중복성 및 중요도 분석을 통해 평가의 틀을 정립하였다. 평가항목 및 구조 정립을 위해서는 계층분석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과 네트워크분석법(ANP : Analytic Network Process)을 활용하여 보행자의 복잡한 판단을 고려하였다. 넷째, 새로이 정립된 보행자 이동공간 평가항목 및 구조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실제 사례지역을 선정하고 적용하여 보았다. 다섯째, 새로이 정립된 보행자 이동공간의 평가항목과 구조를 통한 사전평가가 이루어졌을 경우 보행자 이동공간에 대한 접근성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pace Syntax를 이용한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보행자 이동공간에 대한 서비스수준과 보행자의 인식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행자의 이동공간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성, 쾌적성, 환경성과 관련된 정성적인 지표를 반영치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행자의 이동공간이 위치한 토지이용형태(주거, 상업, 업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항목 및 구조를 정립할 경우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하였다. 셋째. 정성적인 요인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보도이용행태, 보도유지관리, 보행경관 및 환경, 보행정보측면의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이는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넷째. Space Syntax를 이용한 효과분석에서도 개선효과가 8.4%~28.2%로 나타나 개선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정립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정립된 정량적 요인과 정성적 요인간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서비스 질은 기존 보행자 이동공간의 서비스수준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보행자 이동공간 계획시 정성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보행자 이동공간의 다양한 개선방안 수립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SOC AND TRANSPORTATION(SOC·교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