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이층구조 퇴적층으로부터 측정된 반사손실의 주파수 종속성

Title
이층구조 퇴적층으로부터 측정된 반사손실의 주파수 종속성
Other Titles
Frequency dependence of bottom loss measured from the upper two sediment layers
Author
박치형
Alternative Author(s)
Park, Chi hyung
Advisor(s)
나정열, 최지웅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층구조 퇴적층으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 반사손실을 측정하면 상부층에 존재하는 얇은 층의 영향으로 인해서 주파수에 따라서 종속성을 나타낸다. 수층과 이중 경계면을 고려한 레일리 반사계수 모델(Rayleigh reflection coefficient model)을 이용하여 해저면 상부층에 존재하는 얇은 퇴적층의 두께와 지음향 인자들 중 음속과 밀도 등을 추정해 보았다. 이중 경계면 레일리 반사계수 모델은 매질 사이의 밀도, 음속, 감쇠계수, 상부 퇴적층의 두께를 이용하여 음파의 입사각과 주파수의 함수로서 표현하였다. 모델에 입력할 지음향 인자를 추정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테크닉의 일종인 몬테카를로 법을 사용하였다. 평탄한 경계면으로 이루어진 거제도 해역에서 20~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50Hz 간격으로 반사손실을 측정하였다. 해상실험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와 몬테카를로 법을 사용해서 추정한 지음향 인자들을 입력한 이중경계면 레일리 반사계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주파수 종속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sediment 층의 두께와 sediment 층과 substrate 층의 지음향 인자들 중 음속과 밀도 등을 추정할 수 있었다.; Using two layered Rayleigh reflecetion coefficient model, presumed the sediment thickness, sediment and substrate layer's geoacoustical parameters. Two layered Rayleigh reflection coefficient model expressed function of grazing angle and frequency using density, sound speed, attenuation, sediment thickness. To presume the geoacoustical parameters, we used montecarlo method which a kind of simulation technique. In-situ experiment, we measure the reflection loss frequency range 20~50kHz (interval 50Hz) in Guje sea. we compared the measured reflection loss and two layered rayleigh reflecetion coefficient model inputed assumed geoacoustical parameters. From this, we can presume the sediment thicknes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 frequency dependence and sediment and substrate layer's geoacoustical paramet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08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VIRONMENTAL MARINE SCIENCES(해양환경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