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 0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연구

Title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kutagawa Ryunosuke : The Conflicts between Poetic Self and Personal Self
Author
조성미
Alternative Author(s)
Cho,Sung Mee
Advisor(s)
윤상인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아쿠타가와의 문학은 개인적,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그가 살았던 시대의 전통지향, 내면지향, 타인지향적 가치가 혼재된 상황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본가와 양가라는 두 개의 집과 거기서 파생되는 복잡한 현실상황인 경험적 세계로부터의 도피라고 하는 것이 그의 문학적 출발점의 하나가 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는 창작함에 있어 항상 경험적 세계를 배제하고자 했으며, 시적 자아의 확대를 작가활동의 가장 중요한 전제에 두고 있었다. 결국 그의 문학이 지향하는 대상은 무엇보다도 그 자신의 내적 현실이었으며, 그 자신을 사회(가족 혹은 공동체)속의 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그것과의 갈등 속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의식하는 데에서 출발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의식적 존재로서의 자아는 그것에 대립하는 생활영역과의 사이에 어쩔 수 없는 상극을 초래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경험적 현실을 정면에서 타개해 나가기보다는 예술이라는 피안의 세계를 모색하고 시도하고자 했다. 그의 작품에 반영된 현실은 피상적이고 경험적으로 묘사된 현실이 아니라 정신적 깊은 고뇌와 불안을 반영하는 문학적 현실로 나타나 있기 때문에 그의 작품세계에서 이 두 가지의 상극관계를 깊이 생각해 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 이유는 아쿠타가와 자신의 타고난 가계적 환경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는 자기비하라든가 고독, 불안의식은 그의 창작활동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작품세계는 그러한 그의 경험적 세계가 비유적으로 묘사됨으로써 시적 세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예술적 표현의 극대화를 위해 진귀하고 비일상적 이야기로 이루어진 설화의 세계나 이국(異國)취미, 이계(異界), 이공간(異空間)이라는 일상을 벗어난 시적 자아의 세계를 설정하였다. 즉 아쿠타가와의 문학세계는 실생활의 불합리성과 회의, 또 하나는 그것으로부터의 초극이라는 예술지상주의가 서로 맞물려서 대립하고 갈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를 테면 사소설풍의 일본 자연주의문학과 서구문학의 대립, 전통과 자아, 중류하층계급 출신과 지식인이라는 관계는 시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의 상극이라는 도식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아쿠타가와의 문학세계를 형성한 가계적 환경과 문학적 배경, 서구문학의 영향, 그리고 각각의 작품론에 입각하여 경험적 자아와 시적 자아의 상극이라는 문제를 그의 표현미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가계와 환경에서는 아쿠타가와의 고뇌의 근원이 실생활 속의 가족과 그 제도에 대해 서로 고통을 주는 존재로 인식한 데에 있으며, 가족은 그에게 굴레였고 만년의 그의 죽음을 재촉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Ⅱ장 문학적 배경에 있어서는 그가 예술에 심취하게 된 동기가 ‘일상으로부터의 도피’라고 할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동기는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광기가 유전될 것에 대한 두려움과 삶에 대한 회의, 채울 수 없는 내면의 빈곤을 예술로 승화시키려 했던 것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 동서양의 많은 문학자와 고전에서 삶의 태도를 발견하려고 노력했으며 현실을 초월하려는 구원의 방법으로 예술지상주의를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제Ⅲ장부터 Ⅵ장까지는 가계적 환경과 문학적 배경에서 비롯된 그의 경험적 자아가 시적 자아의 세계로의 모색을 통해 형상화되어가는 양상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품론을 다루었다. 먼저 Ⅲ장에서는 전통적 가족윤리 자체에는 무한한 가치를 두고 경외했던 그가 그 아름다운 가치가 현실 사회 속에서 인간의 에고이즘에 의해 얼마나 변질될 수 있는가를 비현실적 설화의 세계를 통해 묘사한 작품「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그는 작품에 묘사된 에고이즘을 ‘악’의 요소로 보는 동시에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본능적 요소로 보고, 치밀한 관찰력으로 추하고 모순된 인간의 본성을 밝혀내고자 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Ⅳ장의 주인공의 순교를 통해서 예술적 감동과 아가페적 사랑의 갈등을 묘사한「봉교인의 죽음」은 ‘기독교’에서 제재를 구했지만 종교와는 관계없이 순교의 미학에서 삶의 의미를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타인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행위는 아가페적 사랑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병적으로까지 흥미를 느낀 순교의 모습에서 에고이즘을 완전히 초월한 인간의 모습으로 본 것이다. Ⅴ장은 현실 세계를 떠나 ‘갓파 세계’를 통해 갖가지 사회의 제도와 현상에 대한 모순을 비판하고 그 전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기 긍정의 지향이 테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정한 인간세계를 버리고 선인이 되려고 한 ‘두자춘’의 지향은 ‘정신적으로 위대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노력을 한 아쿠타가와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세상의 모든 고통을 초월한 선인이 되기보다는 생사고락을 함께 하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Ⅵ장, 아쿠타가와의 만년의 작품들은 죽음을 대면하면서 우울증과 불면증에 시달리던 자신의 자전적인 이야기 속에서 세기말 의식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의식 속에 탄생한 작품인「현학산방」은 의도적으로 배치된 소외의 공간인 ‘별채’를 중심으로, 노년의 병고와 고독, 가족의 잠재된 이기주의적 실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주인공의 모습에 형상화되어 있는 고독한 ‘인식자’ 의 모습은 다름 아닌 아쿠타가와 자신의 모습으로서 그의 의식 속에는 운명적 존재로서의 자아의 인식과 사회에 대한 회의적인 인식에서 비롯된 고독의식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기루」에서는 의식적인 작가로 출발한 그가 ‘의식의 영역 밖’ 인 무의식의 세계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정체를 알 수 없는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상징적 방법을 선택했는데, 신기루처럼 왜곡되고 어중간하며 실체가 없는 뭔가 막연한 자신의 만년의 불안한 심경을 묘사했다. 육체적, 정신적 한계와 더불어 의식과 무의식을 오가는 섬뜩하고 기분 나쁜 신기루의 심상을 매개로 해서 시적 자아를 표현한 것이고 볼 수 있다. 아쿠타가와의 문학세계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통과 자아, 예술과 현실 등으로 대표되는 대립과 갈등의 구조가 그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이처럼 그의 작품에 나타난 이원적 대립도식은 모두 시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의 상극관계에 의해 의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에 바탕을 둔 서구로의 지향은 인공의 날개처럼 언젠가 추락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경험적 현실이 아닌 예술을 통한 시적 자아의 세계로 시선을 돌리고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아쿠타가와에게 있어서의 시적 자아와 경험적 자아 간의 상극은 네 가지 관점-전통과 자아의 탐구, 순교의 미학, 예술을 통한 현실의 극복, 시적 정신의 형상화-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여기에는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는 대정시대 특유의 미학에 바탕을 두면서 자신의 경험적 현실을 자연주의 리얼리즘 방식으로 재현하기 보다는 경험적 자아와 시적 자아를 대립시켜 묘사함으로써 경험적 세계를 초월하여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고자 했던 아쿠타가와의 문학적 고투가 그대로 들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kutagawa's literary works are produced in close relation with not only his personal environments but also the tendency of his times which shows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values, concerns about inner realities, and concerns about other people. It is well known that through his writing Akutagawa attempted to escape from his world of experience which was complicate due to his peculiar familial background of having two parents, his original parents and foster parents. In his works, he always tried to exclude his world of experience and to enlarge his poetic self. The object which he tried to present in his works is his inner realities. He saw himself not an individual who comfortably belonged to his society, but an individual who was in constant conflicts with his society. Thus his self inevitably suffered the extreme conflicts with everyday life. As a way to solve his own problem, he attempted to find another world of art instead of facing his reality. The reality reflected in his work is not superficial, outer reality but his inner reality of deep agony and anxiety. Self-despise, loneliness, and anxiety of his works which originated in his familial background were essential elements for his writing, and his world of experience was figuratively expressed in his works and transformed into poetic world. Thus we need to examine the contradictory elements operated in his works. Akutagawa created legendary world which was made of extraordinary stories and the world of poetic self which was composed of tastes of foreign worlds, other world and other space. In his works we can find two contradictory structures: one is the doubts of irrational aspect of everyday life and the other is the tendency to transcend this reality through arts' for art's sake. Through the frame of two contradictory structures of poetic self and personal self, we can explain other contradictory relationship: Japanese naturalism found in "I" novels which were written based on the author's own life/ western literature, tradition/an individual, and the low middle class background/the intellig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opposing structure of his personal self and poetic self in terms of his aesthetics on the bases of the understanding of his familial and literary background, the influe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his works. Through the study of his familial background and his environments, I found that his agony originated in his deep doubts of his own family and family as an institution. Actually family was a kind of bondage to him and resulted in his early death.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his literary background. Generally we can say that the reason why he was deeply attracted to art was his desire for escape from his reality. But the more fundamental motivation could be found in more complex aspects; the fear that he might inherit the madness from his own mother which he had experienced in his childhood, the doubts of life, and the feeling of lack which could not be filled. He wanted to transcend those feelings through arts. In oriental and western literary works and classical works, he searched for desirable attitudes for life and finally he chose arts' for arts' sake attitude which he thought gave a way for transcending our reality.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how his personal self which had been shaped from his familial and literary backgrounds led to his poetic self through analysing his works from four view-points. First, the rel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value and the search for a self was found in his work Hana(鼻) which describes how values of traditional family which the writer had respected were distorted by people's egoism in the setting of unrealistic narrative world. In this work, egoism is presented as both evil and an instinctive aspect of people. Through close observation this work disclosed human's ugly, contradictory nature. Second, Hokyoninnosi(奉敎人の死) shows the aesthetics of martyrdom. This work presents the conflicts between mind to be artistically touched and the selfless love for others through the hero's martyrdom. Although this work took its material in Christianity, it does not show any interest in finding religious meaning. Instead it focuses on the aesthetics of martyrdom and tries to find the life's meaning in it. In the act of martyrdom of the hero who sacrifices his own life for saving others' the writer finds the image of person who completely transcends his egoism. Third, the criticism on social institution and social phenomena and the desire for escape from social realities and self affirmation are found in the world of Kappa(河童). The hero of Tosisun(杜子春) who wants to be a supernatural hermit abandoning the harsh reality is seen to be the ideal of the writer who wanted to be a great being with great spirit in this world. In this work, his sympathy is placed on humans who are under life vicissitudes rather on supernational beings who transcend all sufferings of this world. Fourth, in his later works which are autobiographical stories of his later life, when he suffered depression and insomnia facing his death, we can find the spirit of fin-de-si`ecle. Genkakusanbo(玄鶴山房) symbolically expresses the disease and loneliness of an old age, and each family members' egoistic aspects in the setting of the detached place of a house. The lonely person characterized in the hero of this work reflects the writer's own image. Through this image we can find the writer's loneliness resulting from the recognition of his destined self and the doubts of his society. In Sinkiro(蜃氣樓) which shows his interest in unconsciousness, Akutagawa used the technique of symbolism as a way to overcome his inexplicable anxiety. This work expresses vague, shapeless, irresolute, distorted, and insecure feelings which the writer suffered in his old age. Through the weird and inexplicable image of mirage which sometimes discloses the spiritual and physical limits, and sometimes crosses acros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writer expresses his poetic self. As mentioned above, the world of Akutagawa's works shows the contrasting structure of two opposing elements such as tradition/an individual and art/reality. This dual structure originated in the extreme conflicts between his poetic self and his personal self. The conflicted division between these two selves was mostly found in these four aspects: the tradition and the search for a self, the aesthetics of martyrdom, the tendency to transcend the reality through art, and the expression of his poetic self. Through this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we can find his struggling efforts to transcend his reality and go to another world by contrastingly creating his poetic self against his personal self, unlike his contemporaries who tended to represent realities through naturalistic realism based on the aesthetics of the Taisho period when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9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일어일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