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무지 외반증의 중증도에 대한 전산화 영상 계측

Title
무지 외반증의 중증도에 대한 전산화 영상 계측
Other Titles
The computerized measurement for the radiological severity of Hallux Valgus
Author
최경진
Alternative Author(s)
Choi, Kyoung Jin
Advisor(s)
성일훈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 무지 외반증 환자의 족부 디지털 영상에서 무지 외반각(hallux valgus angle)과 제1, 2 중족골간 각 (Intermetatarsal angle)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관찰자간(interobserver) 및 관찰자내(intraobserver) 측정의 신뢰성 (reliability)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무지 외반증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중 수술 전 방사선학적 분류 상 중등도 이상의 변형을 보인 환자 20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체중 부하 족부 전후면 디지털 영상에 중족골과 근위지골의 중선(bisecting line)을 생성하여 각도 측정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무지 외반각 및 제1, 2 중족골간 각을 두 명의 관찰자(A, B)가 각각 2회 반복 측정하였다. 관찰자간의 계측 결과와 동일 관찰자내의 계측 값 각각을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수작업에 의하여 보고된 기존 연구의 계측 오차 범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관찰자내의 반복 측정 차이는 관찰자 A의 경우 무지 외반각(평균 ± 표준편차)은 32.5°±6.9과 33.1°±6.8로 신뢰성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p<0.05), 제1, 2 중족골간 각은 16.9°±2.8와 17.1°±2.8로 신뢰성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관찰자 B의 측정 결과에 따른 무지 외반각은 평균 35.7˚±7.6과 36.2˚±7.7이었으며 제1, 2 중족골간 각은 17.0˚±0.8과 20.8˚±1.5이었고 모두 재현성의 신뢰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관찰자간의 반복 측정차이는 관찰자 A와 관찰자 B의 차이 값으로 분석한 결과 무지 외반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측정에서 각각 3.2˚±3.6과 3.1˚±3.1로 95% 신뢰구간으로 검정 시 신뢰성이 있으나(p<0.05), 제1, 2 중족골간 각의 측정값은 각각 0.1˚±1.9과 3.7˚±1.3로 분석되어 95%의 신뢰구간에서 신뢰성이 유의하지 않았다(p>0.05). 기존에 보고되었던 관찰자간의 신뢰성 있는 계측 차이인 무지 외반각 5˚ 및 제1, 2 중족골간 각 3.6˚와 각각 본 연구에서의 1.8˚ 및 3.4˚를 비교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보다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수작업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무지 외반증의 방사선학적 중증도 측정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무지 외반각 및 제1, 2 중족골간 각을 디지털 측정하여도 관찰자내 반복 측정에 대한 재현성에는 통계학적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 없었다. 관찰자간 반복 측정의 신뢰성은 무지 외반각은 유의하지만 제1, 2 중족골간 각은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의 경우에서도 계측 방법과 전산화 측정 도구의 개발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전의 수작업으로 얻은 결과에 비하여 본 연구의 디지털 측정 결과는 관찰자간 측정에 있어서는 보다 향상된 범위 내에서 신뢰성을 보이고 있다.; Purpose : To study the reliability of intra-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hallux valgus deformity, measuring of hallux valgus angle(HVA) and the 1st to 2nd intermetatarsal angle(1-2 IMA) by using computerized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20 cases of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 the anteroposterior view, taken preoperatively, the HVA and 1-2 IMA were calculated by computerized measurement system of Infinity cooperation, called π-view��. As bisecting the metatarsal bones and proximal phalanx, the angles were produced by means of software tool. Two observers (A and B) participated in of two times’ measurements independently. Results were interpreted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SPSS (version 12th).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manual measurement study. Results : In the intraobserver measurement, the result of observer A has shown its reliability as 32.5°±6.9 and 33.1°±6.8(p<0.05). 1-2 IMA in observer A was not regarded as reliable(16.9°±2.8 and 17.1°±2.8)(p>0.05). As in the case of observer B, HVA were measured as 35.7˚±7.6 and 36.2˚±7.8, respectively, only to fail to prove their reliability(p>0.05) In the interobservers measurements, differences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trials were 3.2˚±3.6 and 3.1˚±3.1, which were reliable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p<0.05), 1-2 IMA were excluded as "not-reliable", because the results were 0.1˚±1.9 and (p>0.05). Compared with previous manual measurement study, intraobservers' reliability was identified within the limits of 5° and 3.6°, each representing HVA and 1-2 IMA. The intraobserver's results were obtained as HVA 1.8° and 1-2 IMA 3.4°, which were superior to the previous study. Conclusion : In the measuring of HVA and 1-2 IMA by computerized methods, HVA and 1-2 IMA were not as “statistically reliable”. The interobserver’s HVA measurements were proved as reliable, but 1-2 IMA wasn’t. From our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new methods and computerized tools of angular measurements should be needed for the reliable results. But we can obtain the improved results from our methods than the previous manual on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9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