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0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

Title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
Other Titles
Hope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hor
안지원
Alternative Author(s)
An, Ji Won
Advisor(s)
임난영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희망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여,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희망을 증진시키고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소재 대학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 입원치료 중이거나 외래를 방문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8년 8월 1일부터 2008년 11월 15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총 42명을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는 Nowotny(1989)의 암환자 희망 측정 도구를 최상순(1990)이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희망 측정도구와 이순교(2001)가 개발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를 김은지(2006)가 수정, 보완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 t-test, ANOVA 및 Duncan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희망은 평균 3.13(±.33)으로 중정도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는 가능한 미래 영역이 가장 높았고, 영적 신념 영역이 가장 낮았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는 터널의 마지막에 빛이 있다는 것을 안다’가 가장 높았고, ‘나는 힘을 얻기 위해 성경 혹은 불경을 사용한다’가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 3.78(±.51)으로 중정도 이상의 점수를 나타냈다. 하부영역별 순위는 신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영적 영역, 심리적 영역 순이었다. 3) 희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희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680, p=.000). 4) 희망은 종교(F=6.98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중 개신교가 가장 높았고, 결혼상태(t=4.307, p=.044)에서는 미혼, 이식유형(F=4.322, p=.020)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보다 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일 때, 이식 후 경과기간(F=4.242, p=.026)에서는 경과기간이 5년 이상에서 희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삶의 질은 연령(F=2.369,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 중 20-39세의 젊은 연령층이 가장 높았고, 종교(F=3.914, p=.016)에서는 개신교, 월평균 수입(t=6.819, p=.006)은 200만원 이상 일때, 이식유형(F=4.025, p=.026)에서는 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경우, 이식전 항암치료 횟수(t=8.101, p=.007)는 5회 미만인 경우에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희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게 희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제공한다면 삶의 질이 더욱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희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 때 종교, 결혼상태, 이식유형, 이식 후 경과기간에 대한 사정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is increasingly used as curative treatment for hematologic malignant & certain solid tumor. But, HSCT is high risk process, induces many complications due to high dose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hese problems influence negative i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SCT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ived hope and quality of life and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SCT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1, 2008 to November 11, 2008.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2 HSCT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Duncan test using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hope were 3.13 point. 'Future is possible' showed high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hope, followed by 'Confidence' and 'Comes from within'. 2)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ere 3.78 point. Physical domain showed high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quality of life, followed by social, spiritual, psycological domain. 3) The hop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r=.680, p=.000). 4) The ho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ligion(F=6.981, p=.001) marital status(t=4.307, p=.044), type of HSCT(F=4.322, p=.020) and time after HSCT(F=4.242, p=.026). 5)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F=2.369, p=.045), religion(F=3.914, p=.016), monthly income(t=6.819, p=.006), type of HSCT(F=4.025, p=.026), frequency of chemotherapy before HSCT(t=8.101, p=.007).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HSCT pati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ope. It was found that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hope was religion, marital status, type of HSCT and time after HSCT.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hope of HSCT pati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8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