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0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지도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영어 학업몰입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지도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영어 학업몰입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ffects that Students' Recognition of Teaching Sty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on English Immersion and Achievement
Author
이향지
Alternative Author(s)
Lee, Hyang Ji
Advisor(s)
이영자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지도유형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몰입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몰입 및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초등 영어교사 지도유형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지역 남녀 초등학생 4, 5, 6학년으로서 각 변수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최종 262부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지도유형의 측정을 위하여 훈련 및 지도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민주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권위적(전제적) 행동 등의 5개 하위요인으로 요인화하였다. 또한, 학업몰입도의 경우 영어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영어교과에 대한 학업태도, 영어교과에 대한 학업습관 등의 3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5% 범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성별, 학년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교사에 대한 지도유형별 인식과 학업몰입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영어교사에 대한 지도유형과 학업몰입도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지도유형 가운데 사회적 지지행동 요인은 초등학생들의 영어교과 학업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권위적 지도행동 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초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지도유형 가운데 사회적 지지행동 요인은 초등학생들의 영어교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권위적 지도행동 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업몰입도 요인인 영어 학업 자아개념 요인과 영어 학업태도 요인, 영어 학업습관 요인 모두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업 자아개념 요인과 학업태도 요인, 그리고 학업습관 요인들이 좋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that teaching sty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on English immersion and achievement, and also to clarify the teach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is desirable to improve English immersion and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boys and girls in 4th,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Gyunggi area, questionnaire made up with Likert 5-point scale was used for each variable as a measuring tool, and then finally total 262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To measure the teach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5 subordinate factors; training and guiding behavior, social support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compensating behavior, and authoritative(absolute) behavior. Also the immersion was constructed with 3 subordinate factors; self-concept of English, learning attitude toward English, and learning habit toward English.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ollected data was verified within 5% of significance level with using SPSS 13.0. Firstly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teaching styl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nd the immersion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of Pears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style of English teachers, the immersion, and the achievement. Conclusions deduce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ing behavior factor from among teaching styl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has positive influence on English immer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as authoritative guiding behavior factor has negative influence. Second, social supporting behavior factor from among teaching styl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student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nglish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as authoritative guiding behavior factor has negative influence. Third, all factors of English self-concept, English learning attitude, and English learning habit which are the factors of immers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leads to the result that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omes higher as their English learning self-concept and attitude factor, and learning habit factors are bett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3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