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5 0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Pressure and Empathy Abi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
Author
김미라
Alternative Author(s)
Kim, Mi Ra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생의 공감능력을 상정하여 이들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들의 상호작용 효과로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학생의 공감능력에 따라 다르게 되는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라 다르게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에 있는 중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대한 지각과, 공감능력,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을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압력 및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긍정 정서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부정 정서와 정적 상관을 보여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하는 학생일수록 일상생활에서 부정적 정서를 많이 느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공감능력은 긍정 정서뿐만이 아니라 부정 정서와도 정적 상관을 보여 공감능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일상생활에서 긍정감과 부정감이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감에 대한 학업성취압력과 공감능력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던 바, 공감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공감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수준에 따른 부정 정서가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학업성취압력 및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여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공감능력과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서 공감능력 수준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이 크게 증가하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공감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친사회적 행동은 심리적 안녕감에서의 부정 정서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긍정 정서와 정적인 상관을 보여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하는 학생일수록 생활 속에서 긍정감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 확인되었던 바, 타인을 돕는 행동이 행위자 자신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 준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들의 의의를 관련된 선행연구와 교육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본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into the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and empathy ability under the assumption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 are the achievement pressure and empathy ability. The study was performed to find how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 and empathy ability had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such assumptions,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The first, how would achievement pressure and empathy ability b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cond, how would achievement pressure and empathy ability be correlated with prosocial behavior? The third, how would prosocial behavior b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tudy, total 387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1st grade and 3rd grade middle-school, who were all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for examination.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empathy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tudied, the result was that achievement pressur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higher achievement pressure negatively formed psychological well-being. Empathy 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ffect on negative by psychological pressure was increased higher level of empathy ability. Second, the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empathy ability and prosocail behavior was studied, the result was that achievement pressure had not correlation with prosocail behavior.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Accordingly, it can be found that the empathetic development is critical for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was increased lower level of achievement pressure. Third, the rel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tudied, the result was that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higher prosocial behavior positively forme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and empathy ability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