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 0

워터프론트 디자인을 통한 한강 재활성안 연구

Title
워터프론트 디자인을 통한 한강 재활성안 연구
Other Titles
Design of the Waterfront Space for Han-river Revitalization : Focused on Banpo Hangang Park Area
Author
박경구
Alternative Author(s)
Park, Kyung-Ku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근대에 들어서면서 한 나라의 도시가 국가경쟁력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뉴욕, 파리, 런던, 동경, 등 많은 도시들이 그들의 만의 색을 가지고 국제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이런 도시들은 외부인들에게 관심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고, 또한 지속적인 관리로 도시를 가꾸어 나가고 있다. 선진 도시의 경우 수변이라는 요소는 도시 경쟁력뿐만 아니라 도시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징물로써 작용한다. 런던의 템스 강, 파리의 세느 강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도시에 있어서 수변이라는 요소는 매우 큰 자원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의 수도 서울에 있는 한강이라는 요소는 매우 큰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 수변공간인 한강지역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 되면서 2차례의 한강개발사업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에 따라 제방과 강변도로가 놓이고 토지이용의 경제성을 이유로 수면을 매립하여 아파트가 생겨나고, 한강시민공원에 의해 수변공간이 정형화되는 등 한강의 모습이 급변하게 된다. 과거 인간의 일상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다양한 행위들을 담았던 한강의 모습이 점차 일상생활과 멀어지면서 의미를 잃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도시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도시의 쾌적성에 대한 관심은 수변공간의 개발을 가져오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 서울시에서도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와 같은 도시 문제를 일찍이 경험하여 1960년대 중반이후 도시 수변 공간 개선에 박차를 가해 왔으나 우리나라는 근래에 들어서면서 한강 르네상스를 계획하면서 수변공간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 도심형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 및 개선 방안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서울의 대표적인 자원인 한강 수변공간의 획일화된 수역과 육역의 관계에 있어서의 변화와 수변공간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한강 수변공간에 대한 생태적 회복만 추구하는 계획이 아니라 도심형 수변공간으로서 자연과 어울릴 수 있고, 다양한 친수공간을 제공함으로서 도시민들에게 과거 수변에서 이루어진 행태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 조망하고, 도심형 수변공간에 적합한 건축물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포 한강 시민공원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수변환경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수변공간의 전반적인 이론과 선진 수변공간 이용 사례를 통해 수변환경의 특징을 인식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역과 육역의 다양한 방식의 관계를 가져오는 Waterscape를 제안, 프로그램 삽입으로 과거 일상과 함께 해온 한강의 모습을 찾고 한강변에 새로운 수변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ast, the meaning of a city was just a place which many people lived together. However, as time goes by the function of a city is changing. The meaning of city isn’t a large village anymore. It becomes the competitive power of a country because it is the center of economies, cultures and politics, and these factors complete the city finally. There are good examples that the cities which are New York, Paris, London, Tokyo and etc have their own characters, and they are attracted to people from other countries. Like this, the waterfronts are significant resourses in the developed cities such as Tems River in London and Seine River in Paris. Therefore, Han River which is located in the capital of Korea is also very important resourc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ere rapidly formed by the watersides of Han River in 1970s, and it formed Han River development venture; hence, there had a dike and a road along riverside. Moreover, the way of the efficient land using was that they filled the river with dirt, and the waterside of Han River was standardization by the Hangang Park. Comparing with 1970s, the function of Han River is changing. The level of people’s life is getting higher, so they start to car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erefore, the government of Seoul considers a measure that how to make a comfortable city and use the waterfront well. Some developed countries had already experienced this problem early in the middle of 1960s; they gave an impetus to the improvement of using of waterfront. Nevertheless, nowadays Korean government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using waterside so that they make a plan the Renaissance of Hangang. However, it still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for using and improving the waterside. This treatise explains the change of relation and the possibility between standardized territories of waters and lands of the waterside edge of Han River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of Seoul. This study not only shows the project that recovers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water’s edge of Han River but also offers new urbanized waterside model which is very friendly and harmonic for our environment. This new model makes it possible for us to interpret the process of old and false waterside edge model in modern point of view and provide appropriate architecture plans for urbanized waterside edge space. Through the study of Ban-Po Hangang Park, this treatise presents the main conditions and problems of Korea’s waterside environment. Furthermore, through the advanced theories and cases of other waterside edge models, we can recognize the main characteristic of our waterside environment. Based on these studies, we will propose new waterscape model which can make new relation between waters and lands, and through this new waterside edge model, we will recover beautiful environment of past Han Riv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