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4 0

조선시대 궁중의례에서 사용된 차일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궁중의례에서 사용된 차일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Cha-Il(遮日)' through the Analysis of Royal Rituals(宮中儀禮) in the Joseon Dynasty : Focus on the Royal Banquets since 19C
Author
최지영
Alternative Author(s)
CHOI, JI YOUNG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조선시대는 강화된 유교적 질서로 사회가 예제화되면서 유교의례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궁중에서는 오례(五禮)를 기반으로 한 궁중의례가 빈번하게 행해지면서 의례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가설시설(假設施設)의 사용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조선시대 궁중의례와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 대표적인 가설시설로는 차일을 들 수 있다. 차일은 일사(日射)와 강우(强雨)를 차단하기 위한 가설시설로서, 일반적으로 무명(白木)으로 된 차일장(遮日帳), 대나무로 된 차일죽(遮日竹), 그리고 이들 부재를 연결시키고 차일장을 당겨서 지면에 고정시키는 줄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구조적으로는 장력막구조 된 일종의 막구조 시설이었다. 조선시대의 궁중의례를 기록한 사료와 기록화 등을 통해 살펴보면 차일은 궁중의례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필수적으로 사용된 중요한 시설이었음에도 기존의 연구 대상은 고정 건축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차일은 엄연히 건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궁중이라는 특수한 상활과 규범 안에서 나름의 특성과 기능을 가지고 활용한 전통건축의 한 요소로 파악해야한다. 더군다나 구조상으로 볼 때 목구조 중심의 전통건축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가변적인 막구조(幕構造)라는 점에서 충분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대상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된 차일의 기능과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이전 시기에 사용하였던 막구조 시설을 통하여 그 연장선상에서 차일을 파악했다. 또한 조선시대의 자료를 통하여 차일이 궁중행사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19세기 이후의 궁중연향을 중심으로 관련의궤와 궁중기록화를 통하여 차일의 종류·구성요소·재료·배설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궁중연향이 거행된 실제적인 공간에서 차일의 배설을 추정하여 복원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의 다양한 시각자료(宮中記錄畵, 風俗畵, 寫眞帖)와 문헌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차일은 오례(五禮)의 대표적인 의례는 물론이거니와 궁궐 내·외에서 거행되는 대부분의 의례에 거의 빠지지 않고 활발하게 사용되었음을 밝히고 이러한 활용의 배경에는 차일의 기능이 일차적으로 일사(日射)와 강우(降雨)와 같은 물리적인 위협요소를 차단하는데 그치지 않고, 신성한 의례에 혹시나 유입될 수 있는 액운 등과 같은 형이상학적 위협요소를 함께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사용된 차일을 배설하는 유형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전각에 직접 설치하거나 방식(殿閣附着方式)과 외부공간에 따로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방식(獨立設置方式)이 그것인데 이것들은 각각 의례가 이뤄지는 내부공간을 확장시키거나 구획하는 기능을 하였고 결론적으로 다른 공간과의 구별을 통하여 의례공간의 위계를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이후의 궁중연향을 통해보면, 조선시대에는 단순히 한 가지 종류의 차일만이 사용된 것이 아니라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차일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백목대차일(白木大遮日), 유둔차일(油芚遮日), 만전차일(滿箭遮日)이 그것인데, 백목대차일은 일반적인 차일과 같은 것으로 추정되고 궁중연향에서 상층보계처럼 주요공간에 사용되었다. 유둔차일과 만전차일은 비를 막기 위한 가설시설로 보조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유둔차일의 경우는 유둔(油芚)을 이용한 일종의 막구조 시설이고, 하층보계나 평보계처럼 그 위계가 떨어지는 곳에 설치되었다. 만전차일은 지붕 부분에 방수처리가 된 일반 목구조로 된 가설시설로서, 백목대차일 아래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방수기능이 없는 백목대차일을 보완하여 가설된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 궁중의례에서 사용된 차일은 막구조가 가진 특유의 보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의 나름의 역사적 전통과 건축 환경에 영향을 받아 형태, 재료, 배설방식 등에서 차별되는 나름의 고유성을 가졌다. 차일은 의례 운영으로 유기적인 공간 활용이 요구되었던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필수적인 시설이었으며, 오래전부터 가변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였던 전통 수법의 연장선상에서 사용된 고유의 전통을 가진 가설시설이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Confucianism settled as a strong social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fucian ceremonies got into stride at the time. Especially in the royal court, court ceremonies based on Oh-rye(五禮) took frequently place, and for a favorable progress of the ceremony, the usage of temporary structure increased very naturally. One of the typical temporary structure frequently used during the time was Chail. Chail(遮日) was a temporary structure designed to intercept isolation and precipitation, and generally consisted of Chail-Jang(遮日帳) which was made out of cotton, Chail-juk(遮日竹) which was made out of bamboo tree, and a string which bound other supplemental materials together and pulled the Chail-Jang up while it was fixed to the ground surface. Chail was a membrane structure using the tension of the membrane as its structure system. Studies of data and records show that Chail was an essential structure in royal court ceremonies; nonetheless, the pre-existing study subjects in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bound to ground-fixed structures. Without question, Chail had the element and function of a complete structure and had its unique role as a structure in the peculiar life and strict rules of the royal court in the Joseon Dynasty. And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Moreover, it has a membrane structure which is hard to find among wooden structures at the time and should be seen as an important study subject. This study was done to bring out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ail which was used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Dynasty and it was progressed as follows: As an extension of a traditional membrane structure which was used before the times of the Joseon Dynasty, Chail has been perceived and taken for study. It also has been studied focusing on how it was used for royal court ceremonies in the Joseon Dynasty. For this matter, references; such as, historical documents and royal court records which refer to royal banquets(宮中宴享) in the 19th century were taken to study the types, structure elements, and installation methods of a Chail. Lastly, an attempt to restore Chail at the actual place where it would had been arranged for banquets in the Joseon Dynasty was made for study. Visual and documentary records were assayed to prove that Chail was actively used for typical ceremonies during Oh-rye ceremonies and for most ceremonies held inside and outside of the royal court. It also has been assumed that the background on this common usage was not only to intercept physical threats; such as, isolation and precipitation, but it also had the role of intercepting metaphysical calamities; such as, bad luck during sanctuary ceremonies. In this study Chail has been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its installation method. The first type was directly installed in the royal palace and the second type was individually installed outside of the royal palace. They both functioned as an expansion or division of the interior space where each royal ceremonies were taking place. And it can be deducted that Chail also had the function of grading rank of the ceremonial place. Taking the royal banquet in the 19th century for study, you can tell that more than one type of Chail was used in the royal court varying on its purpose and usage. Baekmokdae-Chail(白木大遮日), Yudoon-Chail(油芚遮日), and Manjeon-Chail(滿箭遮日)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Chail. Baekmokdae-Chail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 Chail's and it was used in the main floor of the banquet like Sangcheung-bokye(上層補階: Floor for the high class). Yudoon-Chail and Manjeon-Chail were temporarily installed arrangements to intercept the rain. It was a curtain-structure making usage of thick oilpaper and was used for the less commanding areas; such as, Hacheung-bokey (下層補階: Floor for the lower class) or Pyung-bokye (平補階: Floor for the common class). Manjeon-Chail was a wooden structure with a waterproof roof which was installed underneath Baekmokdae-Chail. It was a temporary structure which functioned as a complement for Baekmokdae-Chail which was not a waterproof structure. And to conclude, Chail which was used for royal court ceremonies in the Chosun dynasty ha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ny curtain-structure, but influenced by our historical tradition and architectural circumstances, it developed itself into a differentiating construction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n its building materials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Chail was an essential facility for ceremonies which required an operation of organic spacial usage in the royal courts in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s have been made that it was a temporary structure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skill of traditional temporary spacial usag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