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 0

생활개선논의를 통해 고찰한 한인건축가들에 의한 주택개량론 연구

Title
생활개선논의를 통해 고찰한 한인건축가들에 의한 주택개량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ousing' of Korean Architects through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uthor
최소영
Alternative Author(s)
Choi, So Young
Advisor(s)
박용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개선논의가 어떠한 이념적 바탕 위에 전개되었으며, 직접적인 주택개량론과 한인건축가들의 주택계획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한국 주거의 근대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고, 주거 근대화 과정 속에 나타난 한인건축가들의 역할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생활개선과 주택개량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기는 문화통치 시대 이후, 즉 1920년대 이후였으며, 이 시기 신문과 잡지는 단순한 정보의 제공이라는 대중매체 본연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의식 전환을 위한 교육과 계몽의 수단으로서 역할에도 충실하였다. 당시 지식인들은 신문과 잡지에 자신의 의견을 논설과 기사로 게재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근대적 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행부수와 발행기간에서 타 신문과 잡지를 대표할 수 있는 일간신문과 대중매체에 게재되었던 생활개선 관련 기사를 발췌하여 주택개량론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한인건축가들의 주택계획안에 대입하여 근대 주거 내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생활개선논의는 과학지식의 보급과 위생이념의 확립을 위한 위생적 사고의 유입과 함께 합리적 생활 개선을 위한 경제적 사고의 유입, 개인의 인격 존중과 가족 간 사랑, 가족 단란을 도모하는 도덕적 사고의 유입을 그 정신적 이념의 바탕으로 하였다. 위생, 경제, 도덕 이 세 가지 개념의 도입은 근대적 인식을 통한 주거 공간의 변화의 기저에서 중요한 의식적 바탕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첫째, 주거 내 위생개념의 도입은 주택지 선정의 문제, 채광과 환기 문제, 청결 유지 문제, 부엌과 변소의 비위생적 생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자연적, 사회적 요건 동시 고려, 각 실의 재배치, 수납공간 설치, 선진화된 위생 설비 설치 등 점차 실질적 개량안으로 구체화 되어갔다. 둘째, 주거 내 경제개념의 도입은 소비절약, 계획적 지출과 같은 금전절약에서부터 생활단순화, 시간 절약, 규칙적 생활, 사회풍조개선 등 합리적 생활에 이르는 생활개선운동의 중심 문제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주생활 및 주거 공간에서 주택규모축소, 행랑폐지, 재료 규격화, 동선절약, 평면집약화 등의 개량논의로까지 이어졌다. 셋째, 주거 내 도덕 개념의 도입은 아동과 여성에 대한 재인식, 부부와 그 자녀를 중심으로 한 소가족제도의 확립, 가정 내 주부 역할 강조, 취미생활과 문화생활을 기반으로 한 가족 단란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아동실의 설치, 소주택의 경향, 주부동선의 축약화, 가족 단란을 위한 실 설치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생활개선 논의에서 발전된 주택개량론은 한인건축가들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각각의 한인건축가들은 저마다 특성을 가지고 논의를 게재해 나갔고, 그 논의에 따라 계획된 주택의 평면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한인건축가의 주택개량논의는 일제에 의한 피지배 상황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의 노력에 의한 주거 근대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과 주택 문제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 관심을 통하여 건축 기술자에서 건축가로 스스로 성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deological back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housing rightly by looking into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of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and how it was reflected into a direct housing improvement theory and Korean architects’ housing plan, and discuss the meaning and roles of Korean architects appeared in the course of housing modernization.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housing impr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rted to be discussed after the era of culture sovereignty, that is, after 1920s, when newspapers and magazines had a role of providing information, the basic role as a public media, as well as of education and enlightenment for the purpose of a shift of the public’s consciousness. At that time, intellectuals tried to implant modern consciousness to readers by inserting their articles and reports to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using improvement theory by extracting the reports concerning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appeared on daily newspapers and public media, which were representatives of other newspapers and magazines by a circulation and publication institutions, and examined the stream of changes of modern housing by substituting it for housing plan of Korean architects. The discussion of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as based on inflow of sanitary awareness for spreading of science knowledge and sanitary idea and inflow of economic awareness for rational life improvement, and inflow of moral awareness for individual personality respect and for love and happiness of the family. The inflow of these three ideas such as sanitation, economy, and morality had an important fundamental role in changing housing space through modern consciousness. First, the inflow of housing sanitation raised the issues of residential selection, lighting and ventilation, cleanliness keeping, unsanitary living conditions of a kitchen and a toilet room and they were substantially embodied into consideration of natural and social conditions as well, reallocation of each room, installation of collection space, and installation of the developed sanitary equipments. Second, the inflow of hosing economy raised the issues of from money savings such as economy in consumption and planned spending to rational life styles including simplification of life, time savings, regular life styles, and a social trend improvement reaching a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movement, which developed to the discussion of housing improvement including reduction of housing size, abolition of side rooms, standardizationof materials, reduction of circulation, and concentration of level. Third, inflow of morality in housing focused on new understanding of kids and women, establishment of a small family system centering on a couple and their kids, and emphasizing house wife’s role in the house, the pleasure of a happy home based on a dilettante life and cultural life, which, as a result, brought the installation of kids’ room, the trend of small sized houses, shortened circulation of house wives, and installation of living rooms for happiness of the family. The housing improvement theory developed from the discussion of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as embodied more concretely by Korean architects and each architect published his discussion with specification and used to announce their planned house according to the discussion. The discussion of Korean architects is meaningful because they tried to achieve housing modernization by themselves in spite of the period of rule of Japan and they developed themselves from architect and engineers to architects for themselves through consistent consideration on the solutions of housing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59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