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0

사용자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한 휴대폰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 연구

Title
사용자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한 휴대폰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gration Plan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Focused on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Author
이진이
Alternative Author(s)
Lee, Jin Yi
Advisor(s)
김성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휴대폰은 디지털 컨버전스 디바이스로써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개인의 필수적인 정보·멀티미디어 기기로써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휴대폰이 제공하는 정보의 양은 점점 다양해지고 방대해지고 있지만, 이렇게 확장되는 기능과 휴대폰 기기의 소형화는 사용자에게 작은 인터페이스 안에서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하게 되기 때문에 휴대폰 사용을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할 때 휴대폰에서 정보 디자인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많은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 디자인의 기준은 아직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폰이 제공하는 수많은 서비스와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못하며, 때로는 원하는 기능을 찾기 위해 모든 메뉴를 살펴봐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휴대폰에서 다른 제조사 휴대폰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정보 디자인이 달라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사용 방법에 대한 학습에 시간과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부정적 전이를 경험하게 된다. 휴대폰 정보 디자인이 단순히 기능과 서비스를 제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에서 그친다면 사용을 유도하기 어려우며, 그로 인해 정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방법으로 휴대폰 특징에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접목하여 정보 디자인이 단순한 정보의 메시지로써가 아닌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기능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사용자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한 휴대폰 정보 디자인의 통일화 방안은 제조사별로 다른 휴대폰 정보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현재와 같이 잦은 휴대폰 교체와 통신사 이동에도 혼란을 겪지 않고, 쉽고 효율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휴대폰의 정보 구조, 내비게이션, 레이블링 시스템을 디자인 할 때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 연구를 통해 정보 디자인의 이해를 도모하고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와 정보 구조, 레이블링과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모바일 미디어와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휴대폰 특징에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인 ‘이동성, 즉시성, 개인화’를 도출하고 이를 정보 디자인에 접목하였다. 사례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할 때 느끼는 문제점과 휴대폰을 교체했을 때 경험하는 부정적 전이의 경험 유무와 이유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가 부정적 전이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콘텐츠 분류의 기준과 메뉴 명칭 레이블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과 동일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의 아이콘 레이블링을 위한 메타포가 제조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혼란이 증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조사 결과 도출된 내용과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제시한 휴대폰 특징에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국내 휴대폰 제조 3사의 메뉴 정보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사례 연구 결과 도출된 각 제조사별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장 인지하기 쉽고 적합하다고 여기는 1Depth에 해당하는 최상위 메뉴 명칭 레이블과 아이콘 레이블링을 위한 아이콘 메타포를 도출하였으며, 2Depth에 해당하는 세부 메뉴 명칭과 콘텐츠 분류, 향후 새로운 기능 및 서비스가 탑재되어 정보 구조를 만들거나 레이블링 시스템을 디자인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른 메뉴 정보 구조 순서를 제시함을 통해, 본 연구 결과 도출한 휴대폰 특징에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 중 ‘즉시성’을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에게 좋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메뉴 및 기능 검색 메뉴와 도움말 그리고 최상위 메뉴로의 항시 이동성에 대한 제안을 통해 ‘이동성’을 만족시키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메뉴 구조와 레이블링의 사용자 설정 및 참여 가능성에 대한 제안을 하여 ‘개인화’를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사용자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한 휴대폰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은 휴대폰 정보 디자인의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특징에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도출하고, 최상위 메뉴를 중심으로 1~2Depth에서의 휴대폰 정보 디자인 통일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나, 향후 3Depth이상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급변하는 사용자 니즈에 따른 휴대폰의 기종과 정보 디자인 형태가 매우 방대해지고 있으며, 사용자 경험 요소도 접근하는 측면에 따라 다양한 견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다양한 방면에서 휴대폰의 사용자 경험과 정보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해 지기를 기대한다.; Mobile phones are a part of our everyday life remarkably and are going to be a personal and necessary device of information and multimedia as a digital convergence device. Depending on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mobile phones provide users with more diverse and extended inform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mobile phones to have extended functions and information because mobile phones are miniaturizing and their interface is very limited. When these symptoms are reflected by mobile phon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esign is very significant. But the substantial standard of information design for using many functions of mobile phones effectively has not been settled yet. Even though users sometimes should look at all the menus to find what they want, users cannot use functions and services well through mobile phones. Especially, when users replace their mobile phone from the specific manufacturer to the others, users experience negative transference. The users have to spend time and a lot of cost to learn how to use it, because information design was changed by manufacturers. If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simply provides functions and services to give users a chance to use, it will be hard to communicate with information effectively and induce use. According to that point, this study intended that information design performs the role as the function of creating user experience not just passing information massages, through one of information design methods applying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The integration plan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that focused on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presented b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standard guideline for designing information architecture, navigation, labeling system and using mobile phones easy, efficiently without confusion through minimizing negative influence, even if users often change manufacturers and transfer telecom compan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mote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design and research information architecture, information classification, labeling, navigation and interface through theoretical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drew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Mobility, Immediacy, Personalization’ and applied these elements to information design through the study on the mobile media and user experience. The case study investigated the user research to find out realized problems when users use their current mobile phone, users’ negative transference experience and the specific reason why users experience negative transference when they replace their mobile phone. In the results of survey, most of the user experienced negative transference such as confusion, because the standard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and the label of menu name are unclear, the difference of the icon metaphor of menus contain same contents for icon labeling by manufacturer. After the case study for information design of the three domestic mobile phone’s manufactures focused on the results of survey and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which are based on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plan to improve problems which are drew from the case study.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integration plan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focused on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through the end-user research. The integration plan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focused on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Firstly, to satisfy ‘Immediacy’,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this study drew name labels and icon metaphors for icon labeling in 1st depth menu, name label and the content classification in 2nd depth, the standard guideline related to design of information architecture and labeling system in order to equip new functions or services in mobile phones and the menu order for information structure according to user’s frequency of use. Secondly, to satisfy ‘Mobility’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this study proposed the searching menu which can search functions and menus and the mobility to the top menu all the time. Thirdly, to satisfy ‘Person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er participation and setting for the menu structure and labeling that reflected a variety of user needs. The integration plan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which this study proposed is expected to do a role of the standard guideline for information design of mobile phones. This study drew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phone features and proposed the integration plan in 1st and 2nd depth focused on the top menus, but the study more than 3rd depth will be required additionally. In addition, information design forms and mobile phone models are going to be various and exten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rapidly changing user needs. Moreover,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indicate the various opinions by access of the diverse view point, and so the study on information design and user experience for mobile phones in various aspects which reflects this phenomenon are expected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