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1 0

경관생태학이론을 적용한 도시생태네트워크 설정 연구

Title
경관생태학이론을 적용한 도시생태네트워크 설정 연구
Other Titles
Establishing an Urban Eco-network System : based upon the Landscape Ecology
Author
김기돈
Alternative Author(s)
Kim, Ki Don
Advisor(s)
오규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1970년대 도로건설과 시가지개발은 국토 곳곳에 산재해 있는 생물서식지를 단절시켜 왔다. 일반적으로 서식지의 감소는 도로와 거주지의 증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생태적인 파괴를 막기 위하여 정책적인 변화를 시행하였지만, 녹지의 질 상승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기 위해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선정과 연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도시의 구조와 생태적인 과정을 고려할 수 있는 경관생태학을 적용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을 기초하여 도시 생태네트워크의 방향성과 연결성 설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례 대상지는 생태적으로 기회요소가 많지만 생태적 파괴가 이루어지고 있는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한다. 사례대상지의 선정 이유는 도시환경의 질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으며, 생물종 다양성의 감소도 일어나고 있어 생태적 관리가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경관생태학을 이용하여 경관을 분석하며, 네트워크 모형을 통해 생태네트워크 구축 시 구제적인 조성 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생태네트워크의 구조 중 핵심지역의 연결을 통해 도시의 생태공간을 살펴보고자하는 것으로 녹지와 야생동물의 서식공간을 고려하였다. 핵심지역 설정은 현 법제상의 절대보전지역을 이용하였다. 연결녹지는 시가지역과 상충을 줄이기 위하여 토지피복을 고려하였으며, GIS의 최소경로를 이용하였다. 이것의 결과 도입되어야 하는 경관조각과 그 공간적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완충지역의 설정은 선행연구의 항목과 지표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의 대안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보다 실질적인 연결을 위하여 도시 외부의 대규모 경관조각과 도시 내부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녹지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시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도시의 생태공간을 네트워크 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도시 내 복원, 복구, 대체가능한 지역의 최적구간을 선정에 도움을 주고, 녹지의 연결성으로 인한 도시 생태의 자연성, 안전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기존의 녹지의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경관구성간의 연결을 시도함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