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0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과 방문객 만족도와의 관계

Title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과 방문객 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 of Spatial Image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a Asahikawa Asahiyama Zoological Park and Wildlife Conservation Center
Author
요시다토모
Alternative Author(s)
Tomo, Yoshida
Advisor(s)
최승담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박물관은 중요한 관광대상이며 지역재생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박물관은 관광객 유발의 큰 집객요인이 되어 관광객 유치와 외화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동물원은 박물관의 한 종류이며 지역관광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이미지는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고 관광지의 유인력 증대 차원에서 관광학 분야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아직 이미지뿐만 아니라 관광의 관점에서 동물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관광지 이미지, 공간 이미지, 박물관 및 주제공원 등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별 이미지를 살펴보고,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별 이미지와 방문객의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는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항목을 전문가조사와 사전조사를 통하여 재정리하여 설계하였으며 아사히야마 동물원을 방문한 고등학생이상의 일본인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60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Cronbach's α 분석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공간이미지 구성요인 도출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은 다중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으로서 "매력성"요인, "쾌적성"요인, "충족성"요인의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가설의 검증결과,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별 이미지는 "매력성"요인과 "충족성"요인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목적에 따라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별 이미지는 충족성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경험에 따라 동물원의 공간이미지 구성요인별 이미지는 매력성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방문객들이 즐겁고 재미있으며 유쾌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그 동물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성이 중요하고 동물들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시설이나 공간을 만드는 궁리가 필요하다. 둘째, 즐기면서 배울 수 있는 자연환경이나 교육·학습시설의 충족성이 중요하다. 셋째, 동물들의 행복한 모습을 볼 수 있어야 관광객들도 즐거울 수 있고 환경보호, 교육, 자연적인 충족성의 면에서도 동물들의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동물원이 불편한 위치에 있더라도 동물원의 매력성과 충족성으로 쾌적성에 대한 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가 보여 주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기존 또는 앞으로의 동물원 공간계획 및 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와 방문객 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힌 연구와는 달리 동물원을 대상으로 한 공간이미지와 방문객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A Museum is one of the tourist attra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cal revitalization. A zoo is a kind of museums and helps activate the local tourism.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in the view of tour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image of a zoo and its components, which ar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of tourist sites' image, spatial image, museums, and theme park.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 components of spatial image of a zoo. Also,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corroborativ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verification. The corroborative survey was designed by rearrangement of the measuring items of existing researches through expert research and preliminary research. Main survey performed in the Asahiyama Zoo was intended for Japanese people at over high school ages who were visiting the zoo. And 260 reliable data except the insincere responses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validity and induction of the component of spatial images by Cronbach's α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nd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is was condu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Win Ver 16.0. The factors of attractiveness, comfortableness, and sufficiency were induced as the components of spatial image in a zoo.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t was shown that attractiveness and sufficiency have signigicant influences on overall satisfaction.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isiting, the difference of sufficiency was shown. Also, the difference of attractiveness was shown with the visit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thesis will be helpful in offering suggestions needed in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 of a zoo.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general tour sites and visitor's satisfaction, this thesis leads a significant meaning as an exploratory study casting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spatial image and visitor's satisfaction intended for a zoo.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