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 0

원조, 제도 및 사회적 자본 그리고 성장

Title
원조, 제도 및 사회적 자본 그리고 성장
Other Titles
Aid, Institutions, Social Capital and Growth : A Dynamic Panel Analysis
Author
박병주
Alternative Author(s)
Park, Byung-Ju
Advisor(s)
장형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대외 원조(foreign aid)가 수원국의 우수한 제도(institutions) 및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결합되었을 때 경제성장(economic growth)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일련의 주장을 동태패널모형(dynamic panel model)을 통해 검증한 실증분석 논문이다. Arellano and Bond(1991)의 1차 차분 GMM(first difference GMM)으로 추정한 결과, 원조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수원국의 우수한 제도 및 사회적 자본의 보유 여부에 의존한다는 주장(Baliamoune-Lutz and Mabrotas, 2008)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Baliamoune-Lutz and Mabrotas(2008)가 제시한 실증결과는 수원국의 경제제도와 결합된 원조의 효과를 논의함에 있어 ‘역인과성(reverse causality)’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한 오류를 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개발도상국에 대한 대외 원조가 수원국의 좋은 제도적 환경(good institutions environment)과 결합되어 높은 성장을 나타낸 것이 아니라, 높은 성장의 결과가 원조 대상국의 제도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원조가 개별 수원국이 보유한 특정 형태의 사회적 자본과 결합될 때에만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 역시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각 국가의 경제적 제도와 연결시킨 원조의 효과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발견된 역인과성의 오류가 사회적 자본에도 그대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설명변수들의 내생성(endogeneity) 문제를 일정부분 해결한 추정방법을 통해 나타난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는, 특정 조건(condition)이 결합된 상태에서 원조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신중해야 함을 말해준다. 이 분야의 많은 연구문헌들은 각각의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부문을 공유하면서도 실증분석을 위한 각종 정책변수의 선정과 자료의 취합 및 선택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원조를 통한 수원국의 경제성장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관련 연구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결론의 가능성을 염두해 둔 정책담당자의 신중한 정책판단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that tests a series of claims that foreign aid make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of recipient countries when it is associated with its good institutions and social capital, using a dynamic panel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first difference GMM estimation of Arellano and Bond(1991), and we cannot find a definite evidence that aid effectiveness depends on whether recipient countries have good institutions and social capital as suggested in Baliamoune-Lutz and Mabrotas(2008).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n discussing aid effectiveness associated with recipients' institutions, the study of Baliamoune-Lutz and Mabrotas(2008) missed the possibility of the ‘reverse causality’.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igh economic growth leads into good institutions in the recipient countries rather than foreign aid combined with good institutions environment increase growth. Also, regarding the claim that foreign aid can make favorable effect on economic growth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a certain type of social capital, we cannot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Therefore, just as in the process analyzing aid effectiveness associated with economic institutions, in the effectiveness considering social capital,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lso reverse causality. This analysis, using GMM through which it makes up for some weak points involved in endogeneity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ndicates the need of more cautious approach to estimate aid effectiveness when it is in a certain condition. Thus, policy makers should keep in mind in their policy making process that there can be a variety of results of studies estimating economic growth effectiveness aided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chosen estima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