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0

소아청소년에서의 지방간 발생과 IGF-Ⅰ, IGFBP-3, DHEA-S의 연관성

Title
소아청소년에서의 지방간 발생과 IGF-Ⅰ, IGFBP-3, DHEA-S의 연관성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IGF-Ⅰ, IGFBP-3 and DHEA-S in children and adolescence
Author
이세민
Advisor(s)
신재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청소년기의 비만환자에 비알콜성 지방간이 발생한 경우에서 다양한 임상적 요인 및 사춘기에 변화하는 중요한 호르몬들 중 혈청 IGF-Ⅰ, IGFBP-3, DHEA-S농도를 대조 군과 함께 비교분석 함으로써 소아 청소년기의 비알콜성 지방간 발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 발병기전과 관련이 있는 호르몬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비만, 간기능이상, 성장평가, 건강검진 등의 주소로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청소년 과를 방문한 소아청소년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환자를 1군 정상체중아군이면서 지방간이 없는 경우 18명, 2군 비만 군이면서 지방간이 없는 경우 14명, 3군 비만 군이면서 지방간이 있는 경우 11명의 세 군으로 나누어 신쳬계측치, 골연령, 사춘기 발현 등의 임상적 요소와 공복혈액 검사상의 혈청 인슐린, 혈당, 혈청 지질 농도 등의 검사치를 측정하고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서 HOMA-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FIGR (Fasting Insulin Glucose Ratio), QUICKI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을 계산하였다. 결과: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표준편차점수는 2군과 3군에서 1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2군과 3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연령, 역연령, 출생체중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지방간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에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사춘기군이 사춘기 전 군에 비해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공복 인슐린 농도와 혈당 및 3가지 인슐린 저항성 지표 중 FIGR, QUICKI는 3군에서 1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2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군과 2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OMA-IR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기능 효소 치 (AST, ALT)와 IGFBP-3는 3군에서 1군, 2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1군과 2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성지방과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IGF-Ⅰ, DHEA-S는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연령과 역연령의 차이는 체질량지수의 표준편차 점수 및 인슐린 저항성 지수 및 혈청 IGF-Ⅰ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소아청소년 비만 환자들에서 지방간의 발생과정에서 IGFBP-3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GFBP-3의 조절에 관여하는 다른 인자들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and IGF-, IGFBP-3, DHEA-S in children and adolescence. Subjects and Method: We enrolled 43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routine examination or obesity in our study. We measured their anthropometry, blood pressure, bone age and fasting insulin glucose, triglyceride, HDL, transaminase, IGF-Ⅰ, IGFBP-3, DHEA-S. Result: We classified subjects into 3 groups; Group 1 (n=18), No fatty liver with BMI less than 85^(th) percentile; Group 2 (n=14), No fatty liver with BMI higher than 85^(th) percentile; Group 3 (n=11), Fatty liver with BMI higher than 85^(th) percentile. Chronologic age, bone age and birth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M:F ratio was not significantly but the ratio of prepubertal/pubertal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atty liver group and non-fatty liver group. Weight, height, BMI SDS and WC S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and 3 than Group 1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2 and Group 3. Fasting insulin, glucose and FIGR, QUICKI were higher in Group 3 than Group 1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2 and Group 3. Plasma ALT and IGFBP-3 were higher in Group 3 than Group 1 and 2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Group 2. Plasma TG, HDL, LDL cholesterol, IGF-Ⅰand DHE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ΔBA-C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SDS, HOMA-IR and plasma IGF-Ⅰ Conclusion: We suggest that IGFBP-3 may have a role in development of NAFLD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ce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considering other factors that regulate IGFBP-3.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3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