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0

중학생에서의 여드름의 역학과 임상적 특성 및 인식도에 대한 통계적 고찰

Title
중학생에서의 여드름의 역학과 임상적 특성 및 인식도에 대한 통계적 고찰
Other Title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Perceptions of Acne i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
신혜원
Alternative Author(s)
Shin, Hye Won
Advisor(s)
노영석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however, current sites tended to involve the trunk along with the face (p=0.009, p<0.001, respectively). In 2008, the most commonly involved first site in the face was the forehead occupying over 70% in both boys and girls. The students thought high stress (64.5%, 42.0%, 51.2%), lack of sleep (33.8%, 35.7%, 40.2%), and lack of cleansing (26.6%, 35.7%, 45.7%) were the most common aggravating factors of acne for the girls in 2004, and for the boys and girls in 2008, respectively. In both 2004 and 2008, only about 10% of all acne patients had any kind of treatment for acne, and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of acne mostly from the Internet (45.2% in 2004, 34.4% in 2008). The survey showed that 'broadcasting' was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onsider in choosing a hospital and 'efficacy' in choosing a treatment option. Conclusion: We evaluated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acne in adolescents, and learned that despite the high prevalence of acne among adolescents, only a few had actually had any treatment.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better inform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acne and the necessity for treatment to reduce acne severity and its impact on those affected.; 여드름은 매우 흔한 피부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사춘기 청소년의 85%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남자는 16세와 19세 사이에, 여자는 14세와 16세 사이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국내 피부과 문헌상 여드름에 대한 역학 연구는 대부분 병원에 내원한 여드름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로 사춘기 여드름의 실제 유병율을 알기 힘들고, 일반적인 사춘기 여드름 환자들의 임상양상이나 여드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8월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중학교 한 곳을 직접 방문하여 여드름의 유병율과 그 중증도를 평가하고, 여드름의 임상적인 특성과 그 악화와 호전에 관련된 여러 요인 및 치료와 관련된 사항에 대한 환자들의 주관적인 인식과 각 항목들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를 2004년 10월 동일한 중학교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던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2004년도에는 2,3학년 여학생 629명을, 2008년도에는 1,2,3학년 남학생 435명, 여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드름의 유병율은 2004년에는 66.1%, 2008년에는 62.6%로 나타났으며, 2008년도의 유병율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전반적인 한국형 여드름 중등도 시스템(Korean Acne Grading System, KAGS) 등급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드름의 평균 초발 연령은 2004년에 12.40세였으며, 2008년에는 여자가12.30세, 남자가12.78세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늦었다. 2008년 전체 여학생의 평균 초경 연령은 12.18세로 여드름이 없는 학생에 비해 여드름이 있는 학생에서 더 일찍 시작하였으며, 여드름의 초발 연령은 초경 연령이 낮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여드름이 처음 발생한 부위는 2004년과 2008년 모두 얼굴 단독이 98% 이상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현재 침범된 부위는 얼굴과 몸통 병변의 동반 발생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여드름의 악화 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수에서 스트레스가 여드름을 악화시킨다고 하였고, 그 외 수면, 세안 부족도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2008년 여드름이 있는 전체 학생들 중 여드름의 치료력이 있는 경우는 2004년과 2008년 모두 10% 정도에 불과하였다. 학생들은 여드름 치료와 관련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얻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병원을 선택할 때는 방송을, 치료방법을 선택할 때는 치료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여드름 유병율과 중증도 및 임상적인 특징을 평가해 보았으며, 이와 아울러 조사한 사춘기 여드름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다수의 사춘기 환자들이 여드름의 높은 유병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드름에 대한 시기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여드름의 악화나 후유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Acne is one of the most common dermatologic disorders of adolescence. However, there have been a few epidemiolog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sever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ne and the perceptions regarding acne causation, exacerbating factors, treatments and sources of inform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In a middle school in Seoul, Korea, 629 students (all girls) in 2004 and 832 students (435 boys and 397 girls) in 2008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perceptions of acne. Results: The prevalence of acne was 66.1% for the girls in 2004, 57.9% and 67.8% for the boys and girls in 2008, respectively and the severity of acne evaluated with Korean Acne Grading System (KAGS) showed 38.2%, 38.2% and 49.1% for grade 1, 21.6%, 15.2% and 16.1% for grade 2, 5.7%, 4.1% and 2.3% for grade 3, 0.3%, 0.2% and 0.3% for grade 4 and 0.3%, 0.2% and 0% for grade 5 for the girls in 2004, and for the boys and girls in 2008, respectively. In 2008, the prevalence of acne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p=0.004) and overall KAGS grades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p=0.034). In 2008, an earlier onset of clinical acne was shown in girls (age 12.08) than boys (age 12.78) (p<0.001). The age of onset of clinical acne tended to be younger in girls with an earlier onset of the first menarche (p<0.01). In over 98% of the students, the first involved site of acne was face alone in both 2004 and 2008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