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0

만성피부홍반루푸스에서의 병변 발현양상 및 이환경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Title
만성피부홍반루푸스에서의 병변 발현양상 및 이환경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Other Titles
Clinical features of skin lesions in chronic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and examinations of the factors relevant to its transformation to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uthor
김용석
Alternative Author(s)
Kim, Yong Seok
Advisor(s)
이창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만성피부홍반루푸스(chronic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CCLE)는 홍반루푸스(lupus erythematosus, LE)에서의 피부병형(cutaneous LE) 중의 하나로서 대부분 피부에 국한된 LE 병변을 가지며 수 년 또는 그 이상의 만성 경과를 취하는 경우이다. 이들 CCLE 환자에서는 대개 내부장기 침범의 소견은 발견되지 않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다발성 피부병변을 가지며 LE 관련 혈액 및 혈청학적인 이상소견을 나타냄과 함께 SLE로 악화 또는 전환될 수도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CCLE의 임상연구는 소수 보고되어 있으나, CCLE의 병변발생 양상과 함께 악화인자 또는 SLE로의 전환과 관련되는 인자에 대하여 추적 관찰한 임상연구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7년간 한양대학교병원 피부과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보아 CCLE로 진단된 40명의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피부병변의 임상양상과 동반된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성적을 검토하며, 병변의 악화 및 전신병형으로의 전환여부 및 그 배경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병변의 형태로 볼 때 CCLE의 피부병변은 원반모양의 홍반으로 나타나는 원반모양홍반루푸스 (discoid lupus erythematosus, DLE)로 발생함이 가장 흔하였고, 대부분의 경우 두경부에서의 다발성 병변으로 발현되었다.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로의 악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시행한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소견과 동반 전신증상은 SLE의 분류/진단기준에서의 11개 항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국소형 DLE에 비하여 다수의 병변을 가진 범발형 DLE에서 검사상 이상소견 및 동반 전신증상의 발현빈도가 더 높았다. 또한 4년에 걸쳐 추적관찰한 기간의 이환경과를 볼 때, 이들 CCLE환자에서 SLE로 악화 또는 전환된 경우는 3명(7.5%)의 경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CCLE의 피부병변을 악화 또는 유발하는 인자들로는 자외선(22.5%)이 가장 흔하였고, 그 외 외상(5.0%), 한랭에의 노출(5.0%), 임신(2.5%), 흡연(2.5%) 등이었다. 또한 SLE로의 전환 시기에 발견될 수 있었던 추가적 검사실 양성소견으로서는 백혈구감소증, 항핵항체 역가의 상승, 항DNA항체의 출현, 그리고 적혈구침강속도의 상승 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CCLE 환자에서 가장 흔한 임상병형은, 병변의 모양을 중심으로 볼 때 서구인에서와 같이 두경부의 국소형 DLE의 경우이었고, 이들 중 신체 여러부위에서 범발형으로 다발성의 CCLE병변을 가진 경우에서는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소견과 전신증상에 대한 신중한 진찰과 검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CCLE환자에서 백혈구감소증, 항핵항체와 항DNA항체의 출현이나 역가 상승 그리고 적혈구침강속도의 현격한 상승과 같은 소견은 전신병형으로의 전환 또는 악화의 전조가 될 수도 있기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Chronic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CCLE) is a well-known autoimmune cutaneous disease in the lupus erythematosus (LE) spectrum. There have been only one or two study reports published in reference to the topographic features of skin lesions among patients with CCLE in connection with possible transformation to systemic disease.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and possible factors relevant to aggravation of CCLE, as well as the possible precipitating factors for the transformation of cutaneous LE to multi-organ systemic disease. Methods: A total of forty Korean patients with CCLE were selected, and clinical examinations for the lesion-morphology and topographic distribution, as well as LE-related laboratory abnormalities, precipitating factors for aggravation, and relevant factors to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were performed. Prognostic considerations regarding possible transformation into systemic disease were also examined with these patients with cutaneous disease. Results: Among these forty patients of CCLE, thirty-two patients (80.0%) had lesions of discoid erythema (DLE); there were also one case each of palmoplantar DLE, hypertrophic DLE, mucosal LE, and chilblain LE, and four cases of LE panniculitis. Thirty-nine cases (97.5%) had cutaneous CCLE lesions appearing on the head and neck areas. Twenty-nine (72.5%) had more than 3 CCLE lesions. During a 4-year follow up period, there were one (2.5%) with renal disorder, ten (25.0%) with hematologic disorder, seven (17.5%) with immunologic disorder, seventeen (42.5%) with abnormal titer of antinuclear antibody, nine (22.5%) with photosensitivity, two (5.0%) with oral ulcers, three (7.5%) with arthritis and one (2.5%) with serositis. All of these feature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of widespread DLE with multiple lesions than those cases of localized DLE. The most frequent aggravating factors recognized among these forty patients with CCLE were UV light, cold-exposure, physical trauma, pregnancy, and smoking. Transformation to SLE developed in three patients (7.5%) during the 4-year period, and the most relevant findings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into SLE were positive findings for leukopenia, antinuclear antibodies, anti-DNA antibodies, and increase of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onclusions: Among the forty cases of CCLE, multiple lesions of DLE on the head and neck areas were the most frequent clinical form, and this pattern is similar to those seen in Caucasian people. The most frequent aggravating factor observed in individual patients was UV light. Patients with a widespread form of CCLE may have some laboratory findings of SLE, such as leukopenia, antinuclear antibodies, anti-DNA antibodies or an elevat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These patients should be observed closely, because these cases might be transformed to SL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