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9 0

총정맥영양을 받았던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에서 아미노산 제제의 농도 (6% 및 10%) 에 따른 합병증의 비교

Title
총정맥영양을 받았던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에서 아미노산 제제의 농도 (6% 및 10%) 에 따른 합병증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complications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amino acid mixtures (6% vs 10%)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uthor
최재형
Alternative Author(s)
Choi, Jae Hyung
Advisor(s)
설인준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미숙아 및 고위험군 신생아 치료에 있어 총정맥영양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은 필수적이다. 특히 출생체중이 적은 미숙아에 있어서는 수액 양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이전의 저농도 (6%) 의 아미노산 제제로는 충분한 단백을 공급하지 못하였다. 최근 들어 사용이 늘고 있는 고농도 (10%) 아미노산 제제는 목표한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과거 흔히 사용되었던 저농도 제제에 비하여 담즙정체, 패혈증 등 합병증의 증가가 우려되는 바,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2004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및 고위험군 신생아 중에서 7일 이상의 총정맥영양을 받았던 13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저농도 아미노산 제제를 사용하였던 군 (제1군, 6% AMINOSTERILE PED, 78명) 과 2006년 7월 이후 도입된 고농도 아미노산 제제를 사용한 군 (제2군, 10% PRIMENE, 55명) 으로 나누었다. 두 군에 투여된 아미노산 제제의 조성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각각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적 인자로 재태 연령, 출생체중, Apgar score, 주산기 합병증을 비교하였으며, 총정맥영양에 관한 인자로 총정맥영양 시작시기와 지속기간, 단백량과 지질량을 비교하였으며, 담즙정체에 대한 인자로 담즙정체의 빈도, 직접 빌리루빈 농도의 최고치, 지속기간을 비교하였고, 그 외 간효소치 등의 생화학적 인자 및 패혈증의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제1군과 제2군에서 인구학적 및 주산기적 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아미노산 제제는 주로 단백량의 차이가 있었고 조성 상 2군의 제제에 taurine, glutamate 가 추가되어 있었다. 두 군 간의 정맥영양 시작시기, 지속기간, 지질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 >0.05), 투여된 평균 단백량은 각각 0.93 ± 0.20 g/kg/day, 2.02 ± 0.66 g/kg/day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0.05). 담즙 정체의 빈도는 각각 21.8% (12명), 39.7% (31명)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0.05). 최고치의 직접 빌리루빈 수치는 각각 4.6 ± 3.2 mg/dl, 3.6 ± 2.0 mg/dl, 담즙정체 지속기간은 37.0 ± 35.2 일, 29.5 ± 28.1 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05). 생화학 인자의 경우 각각 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56.5 ± 42.1 IU/L, 45.8 ± 40.7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52.1 ± 49.5 IU/L, 38.4 ± 50.4 IU/L, alkaline phosphatase (ALP) 551.1 ± 316.3 IU/L, 378.0 ± 128.0 IU/L, blood urea nitrogen (BUN) 6.5 ± 4.6 IU/L, 8.4 ± 5.9 IU/L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05). 패혈증 동반의 빈도는 각각 5.5% (3명), 29.5% (23명)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p <0.05). 결론: 고농도 아미노산 제제 사용은 충분한 단백 공급이 가능하나 본 연구 결과 담즙 정체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즙정체를 예방하는 성분으로 알려진 taurine 등이 고농도 아미노산 제제에만 포함되어 있었음에도 상기 결과가 나온 것은 아미노산 투여량과 축적량이 담즙정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일 단백 섭취량 및 질소 평형 등의 분석을 통한 고농도 제제의 적절한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아미노산 조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mino acid concentration on incidence rate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associated complications, especially cholestasi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ubject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133 infants who received total parenteral nutri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08 was don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I (n=55, January 2004-June 2006) received low concentrated (6%) amino acid mixtures and Group II (n=78, July 2006-June 2008) received high concentrated (10%) amino acid mixtures. High concentrated amino acid mixtures combined taurine, glutamate, aspartate as well as all of the composition of low concentrated amino acid mixtures. TPN associated cholestasis was defined as serum direct bilirubin level greater than 2.0 mg/dL. The incidence rate of TPN associ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amino acid concentration was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1. The differenc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natal period, birth weight, apgar score, perinatal complication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ere not significant. 2. Mean protein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0.93 ± 0.20 g/kg/day vs 2.02 ± 0.66 g/kg/day, p <0.05) and the incidence of TPN associated chole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39.7% vs 21.8%, p <0.05). Sep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29.5% vs 5.5%, p <0.05). 3. Biochemical factors (highest level of direct bilirubin, AST, ALT, ALP, BUN)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Conclusion: Although the higher concentrated amino acid mixtures could offer the larger amount of amino acid, this study shows that the incidence rate of TPN associated chole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er concentrated amino acid mixture. Taurine and glutamate are known as protective materials against cholestasis, but this result shows that the amount of amino acid has a close relation to TPN associated cholestasi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ideal amount and concentration of amino acid mixture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PN associated cholestas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7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