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0

벌룬 스커트의 외관 형상 및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Title
벌룬 스커트의 외관 형상 및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earance Shape and Visual Image of Balloon Skirt
Author
차정하
Alternative Author(s)
Cha, Jung Ha
Advisor(s)
서미아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의류학 분야에서는 의복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의복을 제안하기 위하여 의복의 외관과 동작 기능성 및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벌룬 스커트는 형태에 있어 다른 스커트와 달리 헴라인 부분에서 안감과 겉감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특성이 있어 심미성이나 기능성 및 시각적 이미지가 다른 스커트에 비해 매우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벌룬 스커트의 구성 요인으로 벌룬 스커트의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안감 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벌룬 스커트의 외관형상과 동작 기능성, 시각적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의복 생산 시 패턴 설계 단계에서 완성된 벌룬 스커트의 외관형상과 시각적 이미지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벌룬 스커트의 개더량을 2단계,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를 3단계, 안감의 폭을 2단계로 하여 총 12벌의 벌룬 스커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벌룬 스커트는 사진촬영을 통하여 컴퓨터 모니터 상에 제시하고 의류학 석사 이상의 전문가 집단 28명을 대상으로 벌룬 스커트의 외관 평가와 시각적 이미지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피험자 5명을 대상으로 동작 기능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요인 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삼원분산분석,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다중분류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안감 폭에 따른 벌룬 스커트의 외관형상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개더량 1.5배와 개더량 2배인 벌룬 스커트의 외관 형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더량 2배의 경우가 다소 나은 외관 형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가 외관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면보다는 측면과 후면의 경우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가 10cm일 때 즉, 겉감이 안감 쪽으로 10cm 정도 말려 올라간 스커트가 좋은 외관형상으로 지각되었다. 안감 폭이 외관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면과 후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모두 타이트한 안감 폭이 A라인 안감 폭보다 더 좋은 외관평가를 얻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개더량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및 안감 폭의 변화가 벌룬 스커트의 전면, 측면, 후면의 외관형상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 결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는 모든 평가 방향에서 영향을 미쳤고, 특히 후면 외관에 그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개더량은 후면에서, 안감 폭의 영향력은 전면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의 효과는 전면과 측면에서 개더량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2. 개더량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및 안감 폭이 동작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개더량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는 동작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안감 폭이 동작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안감 폭이 A라인일 경우가 타이트 폭의 안감에 비해 동작 기능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립시나 평지 보행시보다 계단 오르기, 버스 오르기 같은 큰 동작에서 안감 폭에 따라 불편함의 정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부위별 동작 기능성을 살펴보면 엉덩이와 헴라인 부위로 내려 갈수록 안감 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특히 헴라인 부분은 안감이 타이트 폭인 경우 부위별 만족도가 낮아 착용 시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더량과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와 안감 폭이 동작 기능성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동작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안감 폭이었으며,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는 정립 시에만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의 효과는 정립 시에는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와 안감 폭의 상호작용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 부위별로 살펴보면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와 안감 폭이 동작 기능성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안감 폭이 주효과로 영향력이 가장 컸고 개더량은 허리부위에서만 주효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는 부위별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3.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안감 폭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이미지를 요인분석한 결과 매력성 요인, 신체 보정성 요인, 율동성 요인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더량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는 매력성 요인과 신체 보정성 요인의 경우 개더량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가 확연히 구분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개더량이 1.5배인 경우에 매력성과 신체 보정성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율동성 요인은 개더량이 2배인 경우에 율동성 있는 이미지가 높게 지각되었다.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는 매력성과 신체 보정성 요인은 대체로 안감길이 차이가 10cm, 15cm 인 경우에 즉, 겉감과 안감 길이 차이가 10cm 이상 말려 올라간 벌룬 스커트가 매력성과 신체 보정성 이미지가 크게 지각됨을 알 수 있었다. 율동성 요인은 안감 길이가 15cm 인 경우 율동성 있는 이미지의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안감 폭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는 매력성과 신체 보정성, 율동성의 모든 요인에서 안감 폭이 타이트인 경우에 대체로 매력성, 신체 보정성, 율동성 이미지가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룬 스커트의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안감 폭이 시각적 이미지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더량은 율동성 요인에서,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와 안감 폭은 모든 요인에서 주효과로 작용하였다. 또한 겉감과 안감 길이 차이는 개더량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력성, 신체 보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안감 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신체 보정성에 영향을 미쳤다. 삼원상호작용의 효과는 매력성에서만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벌룬 스커트의 시각적 이미지는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차이, 안감 폭에 따른 독립적인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고 더불어 상호작용의 효과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벌룬 스커트의 시각적 이미지는 하나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관계 속에서 그 이미지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의복 생산 시 디자이너나 패터너들이 미리 완성된 벌룬 스커트의 외관 및 이미지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벌룬 스커트의 디자인과 패턴 제작 및 생산시 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착용자는 벌룬 스커트에 대한 외관 형상과 이미지를 미리 추정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선호와 체형에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대 표준체형의 여성을 기준으로 벌룬 스커트의 개더량, 겉감과 안감의 길이 차이, 안감 폭에 따른 외관평가와 동작기능성, 시각적 이미지만을 분석하였으므로, 다양한 체형이나 소재, 시대별 유행경향 등에 따라 벌룬 스커트의 형상이나 시각적 이미지에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것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벌룬 스커트의 소재나 디자인을 다양화하거나 헴라인의 주름 처리 방법의 변형, 헴라인 형상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벌룬 스커트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recent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s, an active analysis has been progressing on the appearance shape and the visual image of clothing for the proposition of garments that consider both the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The shape of the balloon skir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skirts in a formation that the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are connected at the hemline. For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the balloon skirt were set on the gathering amount,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s. In accordance, the purpose is placed on providing the initial data to predict the appearance shape and visual images of the completed balloon skirt at the pattern designing phase at the time of clothing produ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pearance shape, movement functionalities and visual images of the balloon skirt. As the method of research, a total of 12 balloon skirts were produced with 2 kinds of gathering amount, 3 kinds of differences between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and 2 kinds of the lining fabric’s width. The produced balloon skirts were presented on the computer monitor screens through taking photographs. The evaluations of the appearance and visual image were carried out on group of 28 professionals with either the master degree or higher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evaluations of the movement functionality were carried out on a subject of a 5 people group.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three-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were used with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allows; 1.The analyzing results of the appearance shape of the balloon skirt in accordance to gathering amounts, differences in length of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and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gathering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1.5 folds and 2 folds however the 2 folds showed to form better appearance shaping. For the appearance shape followed by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rather than the front, it perceived to have the best appearance shape when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were 10cm for the lateral and back sides of the skirt. It could be seen that for the appearance shape in accordance by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s, the front and back tight width of lining gained greater appearance evaluation than the A-line lining widths. The appearance shape of the balloon skirts were closely observed by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in accordance to the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lining width. The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the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were influential in all assessment directions and it especially showed great influence to the back side appear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the gathering amount was seen in the back while the influence of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s could be seen in the front both significant. As for the interaction effects, only the interaction of gathering amounts and differences in length of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in the front and sides showed to be significant. 2. The results for analyzing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of balloon skirt according to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and the lining width are as follows. The gathering amount and the length difference of the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did not have great influences on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When looking closely at the influences that the lining width has on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the A-line lining showed to have greater movement functions when compared to the tight lining. Also in large movements such as climbing stairs or onto buses rather than walking plaine grounds, the degree of discomfort may expand according to the width of lining fabrics. When looking at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for each parts, as the lining drops from the hip to the hem-line, it receives much influence of the lining width and the discomfort of the tight lining width was raised. When observing the results for analyzing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influenced on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by the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lining width, the largest variable with the greatest influence was the lining width and while the length difference of the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showed significance during still position, the effect was minimal. Also the effect of interaction only appeared significant for the interaction of length difference of lining fabrics and outer fabrics and lining width while standing still. Also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lining width has upon the movement functionalities, the lining width had the greatest influence as the main effect. And the gathering amounts only showed main effects around the waist area.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ities. 3. The visual image of the balloon skirt according to the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width of lining fabric are as follows. Through factor analyzing the visual images, it was composed of 3 factors of attractiveness, body-shape compensation and rhythmic factors.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gathering amount for the cases of attractiveness and body-shape compensation factors, the differences of images according to the gathering could not be certainly sorted but in general, for cases where the gathering had 1.5 folds, the attractiveness and body correcting images showed high. For rhythmic factors, it was perceived to have the rhythmic image when the gathering amount was 2 folds. The visual image in accordance to the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 and lining fabric were known to be perceived as having great images of both attractiveness and body-shape compensation when the length difference was 10cm and 15cm. The rhythmic image of the skirt was highly perceived when the lining length was 15cm. The visual images according to the width of lining fabrics appeared to have highly valuated attractiveness, body-shape compensation and rhythmic images in general in factors for the cases when the lining widths were tight. The visual image of the balloon skirts were closely observed by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in accordance to the gathering amount,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lining width. The gathering amount functioned as the main effect in the rhythmic factor. The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 and lining fabric and lining fabric’s width functioned as main effects in all factors. Also,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gathering amount, it influenced the factors of attractiveness and body-shape compensation. An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 and lining fabric and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 it influenced on the body-shape compensation factor.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ppeared to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the factor of attractiveness. When combining all of the results above, the visual image of the balloon skirt appeared to show significant main effects according to the gathering amounts, length difference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width of the lining fabrics. In addition, there also existed the effects of interaction. Therefore the visual image of the balloon skirt is not fixated into one but changed within the relationship of one another.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pattern production and manufacture are increased by presuming the image of the already completed balloon skirt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clothing. Also, by presuming the appearance shape and image of the balloon skirt in adv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selection the bodily appropriate garment and the individual’s preference. This study analyzed appearance shape, movement functionalities and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gathering amounts, difference in length of outer fabrics and lining fabrics and the width of lining based on the standard body type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due to various body types, materials and fashion trends, there may exist differences in the shape or the visual images of the balloon skirt and therefore may limit towards overly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the follow-up researches, it shows the necessity for verifying the image that shows on the balloon skirt objectively through the studies related to diversifying the materials or designs, modifications of the wrinkle processing methods of the hemline or the shape of the hemlin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