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0

초등학생의 대인문제 해결을 위한 아우구스또 보알(Augusto Boal)의 메소드 활용 연구

Title
초등학생의 대인문제 해결을 위한 아우구스또 보알(Augusto Boal)의 메소드 활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Utilizing the ‘Augusto Boal Method’ of Theatre and Therapy to Resolve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
김유진
Alternative Author(s)
Kim, Yu-jin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begun in pursuit the necessity to further explore and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in regards to the intric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under an educational setting.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and by extracting the roles of theatre from Freud, Piaget, and Erikson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Researcher seeks methods to utilized drama effectively in an actual education institute environment; based on the Boal method of theatre which requires audience involvement to positively suggest future role models thought out the process. Boal focused on process-oriented treatment of the psychological state, 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rama and human beings' well-being. Boal suggested that the drama composition ability and the sense of genuine nature exist within all human beings. Through the drama therapy, participant experience 'commitment' and 'self-reflection' by positively involve in drama activities, suggesting future role models which allows them to apply in real life situations; thus, enhancing one'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therefore, enable one to overcome oppression.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Boal's theatre is that his theatre does not isolate audience from performer. It is Boal's theatre which allows all participants including both audience and performer to become heroes and heroines in a dramatic event, enable them to examine problematic situations with an objective mind and to propose alternatives by which they can resolve the situations. In Boal's theatre, stages become a rehearsal space for actual life. Boal induced the audience and performer altogether to discover future role models by which they can resolve existing problems, allow them to plant new behaviors and practice it in real life. Unsurprisingly, views on drama by Freud, Piaget and Erikson are coherence with Boal's. Freud also argued that unendurable events in one's early years could cause neurosis in later years, and this can be treated when one look at one's situations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and fully recognize the events by which one has been oppressed. Piaget also suggested that children can satisfy their desire and adjust better into the society b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help of drama. And Erikson stated that if children seek solutions with friends by expressing their problem situations on stages and have repeatedly experience success, they could expect positive changes in self-confidence. Freud, Piaget, Erikson and Boal consistently suggest that discovering future role models and inducing empower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changing one's psychological state. For that reason, this study extracts and utilizes Boal's 'image theatre', and 'discussion theatre' among his various drama techniques, then proceeded the study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providing theory and practice of the use of theatre. First, allowing children to fully express their inner oppression through warm up activities and image theatre, and second, develop programs with which they can incorporate social values and empower them to alter the situation which they could repeatedly apply it in actual life through discussion theatre.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as in a three months span, from April to July 2008, 90 minutes per week and 16 sessions in total. There were 32 participants whom are children between the age of 9 and 10. The result was promising, researcher found enormous potential of the theatre practice in both developi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bilities and overcoming their mental illness. In addition, through the 'assessment of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test of self-concept', it shown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developing positive and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regarding friends and mother, which was the theme of the particular program. However, researcher concludes that positive change in self-concept should not be expected due to the time constrain. As self-concept is a multidimensional matter where personality, living environments, believes and culture are involved. Children's self-concept should be able to modify with tremendous care and love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ith the help from their families. Nevertheless, this study is imperative since it proved the strong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eatre therapeutic technique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er has observed a definite change in behavior form participants throughout the program. At the end of the program, participants have much less fear in regard to decision-making and offer more creative ideas for problem solving.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require in quantifying the rate of change in behavior during a particular time frame, and additional on-going observation is needed to discover the real long term benefit; this study have definitely demonstrate an enormous power of the theater on young child. Consequently, the study leads to believe that if the program is able to apply consistently for more than one year, children would become more successful in finding solutions for their interpersonal issues through experiencing drama activities where they can overcome their oppression; and from accumulating all these experiences should result in forming a positive self-concept.;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로 과거에 비해 대인문제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이 늘어나고 있어 교육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극치료’가 아동의 대인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연극치료에 관한 논의를 실천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프로이트, 피아제, 에릭슨의 아동 발달에 따른 연극의 역할을 추출하여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방법적 측면에서 보알의 ‘이미지 연극’과 ‘토론 연극’이 실제 교육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보알은 연극의 궁극적인 목적을 인간의 행복에 두고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 내면의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는 연극이 인간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연극이 인간 속에 존재하는 적성이며, 인간이 스스로를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보알은 인간의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연극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몰입’과 ‘성찰’이 일어날 때 내면의 억압을 해소할 수 있으며 미래에 대한 행동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보알 연극의 가장 큰 특징은 관객과 배우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모두 극적 행동의 주인공이 되어 그 문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을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보알의 연극이다. 보알 연극에서의 무대는 실제 삶을 위한 리허설 공간이 된다. 이를 통해 보알은 연극 속에서 실천한 행동들을 실제 삶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미적 공간’이라는 무대가 주는 힘을 빌어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치료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프로이트 또한 어린 시절의 견뎌낼 수 없는 사건은 후에 신경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지켜보고 억압받았던 사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할 수 있을 때 치료가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견해는 보알의 연극적 전제인 인간이 자신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곧 치료의 출발점이라고 한 견해와 일치한다. 또한 피아제는 아동은 연극을 통하여 내면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세상과 소통하여 사회에 순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릭슨은 자신의 문제 상황을 무대에서 펼쳐 보임으로써 친구들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성공적인 경험을 되풀이 한다면 자신감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프로이트, 피아제, 에릭슨, 보알의 연극에 대한 견해는 연극이 미래의 행동 모델을 제시하며, 아동이 전(全) 단계를 향해 앞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행동력과 힘을 길러줄 수 있다는 견지에서 그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알의 다양한 연극 기법 중 ‘이미지 연극’과 ‘토론 연극’을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아동이 웜업과 이미지 연극을 통하여 충분히 내면의 억압을 발산하도록 하였다. 둘째, 토론 연극을 통하여 사회적 가치들을 내면화하여 실제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행동력을 부여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2008년 4월부터 7월까지 3학년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매 주 90분, 16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아동의 예술적 표현 능력을 발현시켜 줌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연극이 가지는 그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인문제 해결 능력 검사’와 ‘자아개념 검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실행한 프로그램이 친구, 엄마와의 긍정적 대안적 사고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아개념은 단 기간의 짧은 시간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자아개념은 개인의 성격, 생활환경과 신념체계 및 생활 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다층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가정과 연계하여 오랜 시간 아동에게 관심과 사랑을 쏟을 때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동이 실제 생활에서 경험해 보기 어려운 부모, 형제, 교사, 친구와 같은 타인들과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무대에서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은 곧 긍정적 자아개념으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객관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려웠지만 아동들은 연극을 통해 분명히 변하고 있었다. 아동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생각들로 결정에 대한 두려움이 없었으며 자신감이 넘쳐났다. 이것이 곧 연극만이 가지는 무한한 가치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년 이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면 아동들이 무대에서억압을 해소하는 경험을 통해 대인문제에서도 성공적인 해결 방법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험의 축적은 올바른 자아개념의 형성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신할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