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0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관계

Title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 Death and Burnout of Hospice staff
Author
윤영주
Alternative Author(s)
Yoon, Young Ju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의 정도를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호스피스를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과 비의료기관을 포함한 전국의 호스피스 전문기관 중 설문협조를 수락한 18개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성직자, 기타 전문가(물리치료사, 상담사 등), 기타 비전문가(간병인, 요양보호사 등) 247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1월 30일까지 2개월간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설문지를 우송하여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는 Thorson & Powell(1988)이 만든 죽음의식 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했던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와 Maslach와 Jackson (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노일래(2004)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했던 소진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가 Cronbach‘s α=.82, 소진 척도가 .86이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1.5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는 4점 척도의 기준에서 평균 2.19±.439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개인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학력(F=4.400, p<.01), 종교(F=6.719, p<.001), 혼인여부(F=3.797, p<.05), 직업(x²=18.085, p<.01)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 연령, 근무경력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요원의 전체 소진 평균은 2.42±.480이며, 하위영역별로는 성취감 저하 영역(2.57±.586)에서 소진 정도가 가장 높고, 비인간화 영역(2.12±.730)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전체 소진 분석결과 학력(F=7.011, p<.001), 직업(x²=13.139, P<.05), 근무경력(F=5.319, p<.001) 에 따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종교, 혼인여부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r=.439, p<.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죽음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호스피스 요원들이 느끼는 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소진 하위 영역에서도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감정적 고갈 및 비인간화 영역의 소진과 상대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호스피스 요원들의 소진과 관계가 있으므로 호스피스 요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 death and burnout of hospice staff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47 doctors, nurses, social workers, volunteers, religious professionals, professional others(physical therapist, counselor, etc.), care workers from 18 hospice agencies and teams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conduct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2008. Research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Death Scale developed by Thorson & Powell(1988) and modified by Park(1992) and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Maslach & Jackson(1981) and modified by No(2003).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Win. 11.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of attitude to death is 2.19±.439. It means the attitude to death is norma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marrital status and profession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and the length of work was insignificant. 2. The mean of burnout is 2.42±.480, the mean of personal accomplishment part of burnout is the highest(2.57±.586), and the mean of depersonalization part of burnout is the lowest(2.12±.730).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profession and the length of work is significant.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 death and burnout is significant(r=.439, p<.001). It means the more negative the attitude to death is, the more serious burnout syndrom is. The results of three subordinate parts of burnout are same as the above.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 death and emotional ex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part of burnout was stronger than that of accomplishment part. In conclusion, because the attitude to death of hospice staff is related to burnout, we need to find means to bring a positive attitude to death in order to decrease burnou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