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8 0

학교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학교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School 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uthor
정진희
Alternative Author(s)
Jung, Jing Hui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목적을 위해 분석한 문헌들과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학교폭력에 대한 정의는 '학교내 · 외에서 학생간에 일어나는 피해자의 의사를 反하는 모든 행위'이다. 이 법률의 적용에는 대상과 장소, 폭력의 종류는 물론 기간과 원인에 대한 성립조건이 필요하다. 학교폭력의 유형은 크게 신체폭력, 금품갈취, 집단따돌림, 언어폭력, 성폭력, 사이버폭력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학교폭력의 새로운 유형은 기기 및 매체를 이용한 폭력으로써, 시대의 흐름과 함께 진화하며 또 다른 유형을 재생산되고 있어, 전문적이며 적극적인 예방프로그램의 개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학교폭력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단일하지 못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러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인들은 첫째, 가정환경 요인, 둘째, 학교환경 요인, 셋째, 사회 · 문화적 요인, 넷째,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띄고 있는 학교폭력의 감소가 장기적으로 학교폭력의 근절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장기적인 기대효과이다. 그러므로, 학교폭력이 가해 · 피해 학생은 물론, 그들을 둘러싼 가정 · 학교 ·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수록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학교폭력이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가해학생에게는 상습범죄자가 될 확률이 증가를 부축이고, 피해학생에게는 정신적 · 신체적 외상과 후유증을 남긴다. 또한 학생주변 및 사회에는 폭력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 불안감을 조성하는 등 그 파급여파가 크다. 그러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역할은 학교폭력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키기에 충분한 이론적 근거와 효과성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해학생에게는 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와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통해 학교폭력이 감소될 수 있다. 둘째, 피해학생에게는 폭력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전반적으로 폭력 피해 경험이 감소될 수 있다. 셋째, 학생주변인 교사 및 학급 환경의 변화로 폭력에 대한 저항감의 증가가 폭력의 확산효과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학교폭력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장기적으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불러일으키게 되어 사회복지 차원에서 꼭 필요하다. 현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교폭력을 실태를 바탕으로 한 세분화된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폭력의 경향성을 비교해본 결과, 15년의 간극이 있음에도 60%의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음으로 비교되었다. 이는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태도가 미온적이었으며, 예방프로그램이 기능적이지 못했다는 결과이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예방프로그램을 일반학생, 가해학생,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프로그램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평가 기준은 외국의 성공한 예방프로그램의 공통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공통점이 성공한 예방프로그램이 가지는 기본요건으로 보고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예방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 그 개선안을 제안했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단계에 따른 접근과 개입, 둘째, 조기개입, 셋째, 다중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넷째, 개입기간과 개입강도이다. 현재, 국내의 예방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는 : 첫째, 대상에 따른 접근으로 예방프로그램이 진행되고는 있으나, 발달단계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전무하다.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초 · 중 · 고등학생에게 의무화 되어 있으나, 학령별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초등학교에 있어서는 발달단계가 전혀 고려되지 못한채, 전학년이 공통된 예방프로그램의 수용대상이 되고 있어 그 효과성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둘째, 예방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목적이 조기개입을 통한 사례의 감소인데 현행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사건 발생후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특별교육 형태나, 사건수습의 처리과정에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예방프로그램이기보다는 사후프로그램의 모습을 띄고 있어 문제가 된다. 셋째, 현행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학생을 대상으로만 표적화 되어 있다. 학교폭력이 발생하게 되는 복합적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매우 미비하며, 미봉책에 가깝다. 넷째,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현행상 학기별로 1회씩 규정되어 있으나, 학교폭력 발생의 빈번함과 그 심각함을 고려해 볼 때 프로그램의 시간과 강도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효과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위와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함이 옳다. 다음은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거두기 위한 제안이다. 첫째,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분화된 접근과 개입으로 개별적이고 한층 더 다양화 되어야 한다. 둘째, 사례 발생의 감소를 위해 더 적극적인 예방프로그램의 개입을 위해, 사례의 연결성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폭력의 발생에 기여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대상을 학생으로만 한정짓지 말고, 가정과 지역사회에 대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확장된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 학기별로 1회씩, 1년에 2회의 예방프로그램이 진행되고는 있으나, ‘시간 때우기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효과성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학기별로 1회씩의 의무적인 예방프로그램의 시행형태에 대한 세부사항이 프로그램 전문가에 의해 짜여지고, 명확히 규정화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of school violence preventive programs and propose better solutions. The summary of the literatur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by the law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preventive measures is 'all behaviors that occur between students contrary to the victim‘s will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violence, the pest to the group of classmates, shakedowns, language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The new type of school violence is the violence by tools and media evolving within the stream of times which reproduce another types of the violence. This violence acquire professional and active preventive program intervention. The causes that influence 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are not simple but rather occur by interaction of complex causes. Therefore, the viewing school violenc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se causes is needed. These causes are home environment factors, school environment factors, social/cultural factors and personal trait factors. Generally, the long term expected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is the decline of steadily growing school violence in multiple types leading to eradication of school violence. Hence, the necess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s crucial when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is greater to harmers and victims as well as surrounding family, school and society.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s is as followings. The chance of harming students becoming habitual criminals may be increased and victim may end up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uma and aftereffect. Also, the ripple effect will be created by the diffusion of violence and social unrest However, the rol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has adequate theoretical rational and effectiveness to offset negative effect of school violence, and followings are details. First, the school violence will be decreased by changing harming students' insight and attitude of violence and by improving social skills Second,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will be decreased in general by improving coping ability of victims. Third, the increased resistance of violence by changing teachers and class environment surrounding students may prevent the diffusion of violence. Currently, the segmented preventive approach based on actual school violence status is need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ccordingly, the trend of school violence was compared and the result revealed 60% common denominator even with 15 years of gap. The current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were classified by targeting groups and examined; general students, harming students and victimized students. also, successful internation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the implication was viewed as the problems of current domestic prevention programs. The evaluating criteria were cited from common features of successful international prevention programs. These common features were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factors of successful prevention programs and provided improved solutions by comparing with ongoing domestic prevention programs and finding problems of current domestic prevention programs. The evaluating criteria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pproach and the intervention by developmental stages, Second, the early intervention, Third, the comprehensive intervention for multiple factors, Fourth,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intervention intensity. The current problems of domestic preventive programs are First, the preventive programs are provided based on the target population, but the segmented program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were non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re obligated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but not segmented by different grades. Especially, the developmental stages are not considered in elementary schools, and all students are receiving common prevention programs. H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evention programs is hard to expect. Second,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prevention programs is to decrease the number of cases through early intervention. The curr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re given to general students, but the programs are given to harming students post-event in the form of special education or given as the part of settling the event. Therefore, the prevention programs are more like post-event programs and becoming problems. Third, the curr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re targeting only students.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complex factors that causes school violence is very insufficient and more closed to temporary solution. Fourth, the current policy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is regulated to once each semester, but the period and the intensity of programs are inadequate considering the frequency and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erefore, these problems must be settled in order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to succeed. The followings are proposal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effectiveness. First, the segmented approach and the intervention usi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to provide individualized and more diverse programs Second, the connection between cases is needed to decrease the number of cases and to intervene more actively. Third,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multiple factors causing school violence is needed. Especially, the target group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should not be limited to general population of students, but also expand the target groups to homes and communities. Fourth, the current prevention programs are given once a semester, twice a year but given as 'killing times' which can hardly produce the positive effect. Hence, the detail of the enforcement forms of the prevention program that is obligated to provided once a semester should be made by the program professionals and clearly made as regul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