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0

보호관찰대상자의 효과적 처우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

Title
보호관찰대상자의 효과적 처우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 mobilization strategy of community resources for probationers and parolees : Focusing on rehab center
Author
손세헌
Alternative Author(s)
SON, SE-HEON
Advisor(s)
주성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보호관찰제도의 특징은 죄를 범한 사람을 사회와 단절시키지 않으면서 처벌과 교화개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범법자들도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하지 않는 한 결국에는 사회에서 일반시민들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사회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의 이념과 기능 등 이론적 측면에서 지역사회자원 활용 필요성을 조망하고, 갱생보호시설을 포함하여 현재 전국 보호관찰소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자원 등을 전체적으로 파악함과 함께 보호관찰 현장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사회자원활용 및 갱생보호시설의 활용 실태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보호관찰에 있어서 갱생보호시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자원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보호관찰사업에서의 바람직한 지역사회자원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관찰의 이념은 형사사법적 기능으로 재범의 억제를 통한 사회안정을 도모하는 기능과 사회복지적 기능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인 범죄인의 사회복귀·재통합적 기능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의 보호관찰은 제도의 실효성 확보 차원에서 준수사항위반자에 대한 재제조치를 강화하는 정책이 주류를 이루었고, 사회재통합을 추구하는 복지적 보호관찰의 실시는 아직까지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보호관찰에서 주로 활용하는 지역사회자원은 형사사법기관, 자원봉사자, 사회봉사명령 및 수강명령집행 협력기관, 전문처우를 위한 협력기관, 갱생보호시설 등이 있는데, 자원봉사자의 활용과 갱생보호시설의 이용은 다소 미흡하였다. 우리나라의 갱생보호시설은 공단과 민간법인이 있는데, 재정구조의 취약 등으로 시설이 열악하고 사업분야도 다양하지 못한 점이 있다. 보호관찰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일반적 사회자원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실제 이용 빈도와 만족도는 미흡하였다. 갱생보호시설의 활용에서도 재범억제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 이용 빈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적 지역사회자원 활용측면에서 정보제공 부족, 보호관찰소의 중개자 역할 미흡, 지역에 따라 가용자원의 심한 편차, 보호관찰소 및 자원봉사조직의 구조적 문제, 지역사회자원 간의 역할 미정립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갱생보호시설의 활용측면에서는 법제도적 미비점과 갱생보호시설의 역량 및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개선방안으로 첫째, 지역사회자원 DB를 구축하여 정보제공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보호관찰소에 지역사회자원 전담직원을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우수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범죄예방위원 관리업무에 있어서 보호관찰소의 권한과 자율권을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보호관찰소 및 지역사회자원 간의 역할을 정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갱생보호시설의 역할 강화를 위해서는 법제도적 보완장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여섯째, 갱생보호시설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대하고 운영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ed for community resources in the light of the rationales and functions with probation and parole, examines current status on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ing used in the probation and parole offices nationwide and finally analyze survey data of field probation officers concerning the perceive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with community resources being mobilized. So this study finally aims to put them under strict scrutiny the problems facing the current practice in mob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with probation and parole setting and come up with the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best summarized as below.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main community resources used by probation and parole offices are criminal justice agency, volunteers, community centers providing work place for community service order or counselling service and rehab centers accommodating ex-offenders. but some of the community resources, for example, volunteers and rehab centers have been little utilize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 poor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hab centers and the lack of diversity on the business of Korean rehab service for the purpose of making funding deteriorate the quality of service. And finally, survey data analysis showed that probation officers interviewed are of the same opinion that mob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in general is very urgent but the actual frequency in using them and degree of satisfaction was quite low. Same thing goes for rehab center accommodating ex-offenders, probation officers responded that they rarely utilized the facility while having their probationer live in the rehab center does have deterrent effects on recidivism.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pecific problems facing two domains - current practice at probation and parole setting with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in general and rehab centers in particular - have been found. The former involve lack of information with probation office on community resources, probation offices not being able to perform adequate resources brokerage role within community, uneven resources distribution among communities and organizational problem regarding volunteer group etc. Regarding the latter, a few legal and institutional pitfalls with National rehab service and probation officer's lack of knowledge with rehab center have been also foun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Ministry of Justice and field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1. Ministry of Justice should construct data base on community resources with each jurisdiction so field probation officers have a better knowledge of their community resources. 2. Ministry of Justice should establish the guideline for all probation and parole offices nationwide to designate a probation officer as a community resources brokerage officer and find a way to provide stable financial funds for resources mobilization. 3. Ministry of Justice should have field probation and parole offices excercise more power and autonomy on voluntary probation officers working in the field. 4. Adequate roles must be reshaped between field probation and parole offices and community resources as a whole. 5.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must be urgently needed for rehab center to play a major role in effective offender reintegration. 6. More financial support and diversification of rehab programs needed in rehab centers nationwid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