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0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s of Stroke Patients'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Quality of Life
Author
김형선
Alternative Author(s)
Kim, Hyung Sun
Advisor(s)
황영옥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관여하는 의료인과 사회복지관련 종사자들에게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14개의 종합병원, 2개의 재활전문병원, 1개의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입원,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 Mini-Mental State Exam(Korea) [MMSE-K] 24점 이상인 환자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BDI,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MBI, SS-QOL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직종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재활동기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발병기간과 발병횟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동작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주 간병인, 주 치료비 부담자, 마비부위 그리고 동반질환의 유무였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교육수준과 월수입이었다. 다섯째, 우울과 삶의 질은 유의미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우울과 일상생활동작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월수입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삶의 질을 47.9% 설명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급성기가 지난 2개월 시점부터는 우울과 불안등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정기적으로 확인, 조기에 발견하여 개입함으로써 삶의 질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강화하여 각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사례 회의(case conference) 때마다 사회복지사의 참석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경제적 지원, 장애인 등록과 같은 모든 복지행정에 관한 제반사항등을 의료 재활팀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가져 뇌졸중 환자의 삶 전반에 걸친 욕구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뇌졸중 환자는 신경학적 장애로 인해 일차적으로 신체적인 제한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그간 독립적으로 해오던 일상생활을 타인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현실로 인해 이차적으로 심리적인 위축과 자신감 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대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조도구의 사용을 독려해야 한다. 입원기간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각종 보조도구를 통한 일상생활동작 훈련(ADL Training)을 실시하며 퇴원 후에는 사회복지사와 연계하여 재활보조도구의 구입과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한 가옥구조 개선사업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와 연계된 환우모임을 통해 환자들을 격려해 주고, 심리적인 안정을 찾아 주며, 질환에 대한 정보 획득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집안에만 머물러 있는 뇌졸중 환자를 지역사회로 끌어들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할 것이다. 다섯째, 뇌졸중으로 인해 직업을 잃은 환자를 위해 일방적인 경제적 지원이 아니라 직업재활의 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일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이차적으로는 환자 스스로 내재적, 목표지향적 동기를 세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줘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stroke patients'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on quality of life and thereby, provide clinical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or staffs helping the stroke patients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social welfar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123 stroke patients who obtained 24 points of MMSE-K and above: some of them were being hospitalized or treated as outpatients at 14 general hospitals, 2 hospitals for rehabilitation and 1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n the region of Seoul, Kyunggi and Incheon area. In order to measure stroke patients'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er used BDI,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MBI and SS-QOL respectively.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program, SPSS Win 12.0.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tem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e stroke patients was the kinds of occupation. Second, the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e stroke patients were onset period and the number of outbreak. Third, the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for stroke patients were main care-giver, main fee provider, hemiplegic side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complication. Fourth, the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e stroke patients were the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Fifth, the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depressio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DL. Sixth,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were depression, ADL and monthly income among their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47.9% of their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above suggest the following alternatives to improve the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First,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re necessary for their rehabilitation in 2 month after their first stroke so we need to make efforts to eliminate negative factors for their quality of life. Second, we need to facilitate medical social workers to attend to a case conferences for stroke patients to reinforce their roles. This can help to improve the stroke patients' desire of life effectively by sharing various issues concerning welfare such as economic support and registration for the disabled. Third, we need to facilitate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for stroke patients to perform ADL independently.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to educate ADL training with the assistive devices when they are hospitalized and medical social work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remodeling their houses and help them to purchase the assistive devices for their convenient and safe life when they are discharged. Fourth, we need to encourage stroke patients to feel comfortable about themselves and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by holding patients' meetings so we can embrace them in our community. Fifth, we have to give not only direct financial support but also chanc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patients. These administrative support can solve economic difficulties primarily and can provide various programs which help them to make goal-directed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hemselves secondarily as wel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6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