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2 0

주거지 계획 이론의 변화에 따른 국내 생활권 계획의 특성 분석

Title
주거지 계획 이론의 변화에 따른 국내 생활권 계획의 특성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community units and the transition of the multi-family housing theory in Korea
Author
이종화
Alternative Author(s)
Yi, Jong Hwa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고 성장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계획적 접근방법은 그 시대적 상황과 계획 이론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게 된다. 우리나라 도시계획상의 생활권 계획은 1960년대 이후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 등 서구의 주거지 구성이론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계획기법과 계획요소도 변화하였다. 국내에 근린주구론과 단계구성론 등의 이론이 도입될 당시에는 양적공급과 계획기준 충족을 위한 이론의 원칙적 적용에 그쳤으나, 소득수준 향상, 이동성 증가, 주민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질적 요구, 커뮤니티 의식, 시설이용패턴의 변화 등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주거지 생활권 계획에 대한 개념도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New Urbanism, Urban Village, Compact City 등 도시계획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개념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계획이론의 변화와 그에 따른 계획요소의 특성이 국내의 실제 계획 사례에서 어떤 연계의 틀을 가지고 진전되어왔는가를 밝히고자, 우리나라 주거단지 계획사조의 시기별 특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새로운 계획 개념과 기법이 어떻게 창출되었으며 이들의 적용이 과거의 계획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외국의 주거단지계획 관련 제반 이론과 기법 및 국내 주거단지 계획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생활권 계획의 계획개념과 기법상의 경향과 특징,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도면분석을 통해 주거단지계획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였다. 문헌연구는 주로 근린생활권의 개념, 우리나라에서의 근린생활권 계획의 변화과정 등과 관련된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수집, 분석하고, 최근의 이슈 및 계획적 패러다임과 제도상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 등을 검토하여, 시대별 근린생활권 계획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토대로 국내 근린생활권 계획 사례 대상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계획 개념의 시대별 흐름을 파악하였다.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생활권의 개념을 이해하고, 선행연구와 계획이론 검토를 통해 유형별 특징과 시대별 흐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는 19세기의 이상도시론부터 Howard의 전원도시(1898), Perry의 근린주구(1929), Fedder의 일상생활권(1932), 일본의 단계구성론(1959) 등 지금까지 주거단지 계획에 많은 영향을 미친 주요 계획이론들과 1980년대 이후 Urban Village, New Urbanism과 TOD, TND 등 최근에 반영되고 있는 계획이론까지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국내 주거단지 계획의 변화과정과 시대적 흐름을 파악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도시계획사조의 흐름과‘생활권’관련 이론을 분석하고 생활권을 구성하는 공간구성요소들을 조사하여, 이를 대상으로 분석요소를 도출하고 분석의 틀을 작성하였다. 생활권 계획의 분석 항목으로서 생활권 공간구조, 가구 규모와 형태, 인구 규모와 밀도, 지원시설, 동선체계 등 다섯 가지 항목을 도출하였다. 대상지는 국내 주거지의 생활권 계획개념의 흐름을 대표할 수 있고, 공간구성이 구체적·발전적으로 나타나는 신시가지 계획 사례로서, 잠실(1975), 과천(1980), 목동(1983), 상계(1985), 일산(1989), 동탄(2001), 운정(2003) 등 7곳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대등한 규모와 위계에서 생활권 계획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대상지에서 지구중심을 형성하는 소생활권 규모의 생활권 영역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생활권 계획 항목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생활권의 공간구성방식은 점차 가구 완결적인 생활권에서 벗어나 중첩과 연계를 중요시하며, 도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계획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생활권의 규모는 보행권 내에서 유지되며, 계획 밀도는 도시가 요구하는 밀도와 쾌적한 생활환경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밀도 수준으로 계획되었다. 시설계획에서는 시설 이용권과 기능적 변화에 따라 종류 및 규모, 배치계획 개념이 변화하였으며, 휴먼스케일의 보행권은 중요한 배치기준이 되어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상업, 교육, 공공시설을 보행동선 및 녹지체계와 연계하여 전체 생활권을 구성하고, 보행환경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중교통 중심으로 도시조직을 구성하여, 친환경적 도시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생활권 계획은 공공공간과 주거단지를 독자적으로 이해하던 단계에서, 단지간의 연계와 중첩을 중시하며,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현대 도시인의 생활 활동 범위가 늘어나고 다양해져감에 따라 생활권 계획 개념도 도시적인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생활권 계획은 지역 주민 중심의 계획으로서 다양한 활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계획적 요소를 도입하고, 도시공간을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친환경적인 생활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A planned access method on constantly-changing-living space also changes and develops based on the periodical circumstance and plan theory. Our city life plan has been affected by western residential composition theory since 1960's and as time changes the planning method and factors have changed as well. When neighbourhood unit theory and phase composition theory were adopted in Korea, it was only a theoretical plan of quantitative supply and fulfillment of plan. However, as average income increases, mobility enhances, need of nature-friendly space arises, community mind changes and facility usage changes the plan of living space has changed as well. Especially, recently new urbanism, urban village, compact city etc and new city plan and theories are coming out and efforts to apply in reality is on stage. In this research, it is to present the link between the theory of complex city change and the plan factor of it, and to show how Korea's residential complex plan has changed as time passed and how new concept of city plan came up and by applying new methods how can this affect our real world and the past plan. Also, by refering to foreign residential complex plan and looking over domestic residential complex examples, it analyzed domestic living plan, trend of techniques and developing process. For this research I went through documentary records and blue print analyzation to figure out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In documentary records, I checked the concept of neighbourhood living area, the process of change in our country's neighbourhood living area and theoretical, experimental research. Also by investigating latest issue and regulation paradigm I built up a theoretical frame.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eriodical flow of neighbourhood living area by analyzing domestic examples. For the theoretical phase, I investigated past studies and understood the concept of living space. By doing this I could understand the features of each type and periodical flow. I started from 19century's theory of ideal city, Howard's garden city(1898), Perry's neighbourhood village(1929), Fedder's everyday life area(1932), Japan's phase composition theory(1959) to the latest plans that affected today such as Urban village, new urbanism, TOD and TND. Also, the plan of domestic residential complex and the process of change I also understood. In the phase of analysis, I analyzed the flow of 'living space' and its theory and investigated the factor of compositional space and built a analysis frame from it's result. The factors of living space plan are space structure, size and shape of furniture, number of populat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upport and movement system. The selections of the research are the place that can represent the flow of living space and that indicates the obvious development leading to Jamsil(1975), Gwa Chun(1980), Mok Dong(1983), Sang Ge(1985), Ilsan(1989), Dong tan(2001) and Eun Jung(2003) total of 7 places. And to compare a similar size of the city, I selected a small town living space.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study and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composition style has change from a whole complete complex area to a linked-cross over living space and the access of urban level was on set. Also, a pedestrian walking area was secured and the dense of building structure and pleasant environment wanting need was in balance. For facility plans, the usage of facility and functional change brought change of type, size and disposition. The walking area for pedestrian became a huge matter. Therefore, market, education, public facility and green system collaborated to co-build a whole living space and activated the walking environment. Also, starting from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friendly city organization was built. As it is seen, the community unit plan has changed from a individual understood environment to a linked, co-living city, activated the community and pursuing a constant developing system. Also modern city citizen has broaden their activity and the living space plan has expanded as well. Therefore, the plan of living space will change to fulfill the need of locals and will on go with environment friendly effor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