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7 0

도시 하천 워터프론트 경관이미지 및 선호요인 분석

Title
도시 하천 워터프론트 경관이미지 및 선호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image of landscape and the preference factor at the waterfront of the city : A case study of the Hangang Ichon waterfront
Author
임윤주
Alternative Author(s)
Lim, Yoon Joo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aterfront was positioned as the space of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s well as the urban image. Accordingly, due to the emphasis on the interest in waterfront with lots of attractions, our country was also started in earnest a plan for forming the differentiated space and for offering diverse spaces to citizens. Waterfront implies space that is situated on a boundary line between waters and landward. The waterfront in urban stream is the attractable space in a sense that can feel nature in a city and that can offer comfortable space to citizens. In case of our country, 12 citizen parks are formed in Han River. However, just a few sports facilities can be enjoyed including simple exercises like a walk and jogging at the waterfront park. Diverse facilities are lacking culturally or educationally. Thus, it became the background that came to start this study. Consequently, a research was seen to be necessary that grasps the preference and the preferential factors targeting users after analyzing the landscape image and eliciting the landscape elements in order to create space available for increasing value of waterfront.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order to transform it into the valuable waterfront by analyzing the preferential factors based on the derived landscape elements.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aim is to elicit the components in waterfront through analyzing a preceding research and to elicit the landscape adjectives and the landscape evaluation items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expert questionnaire. Second, the aim is to analyze the landscape image that users feel, and to elicit the character in landscape. Third, the aim is to examine about which elements are important in forming the waterfront landscape by analyzing the preference and the preferential factors in waterfront. As for the research progression and the research method, the landscape elements in waterfront were derived after defining a concept of waterfront and examining a basic theor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preference was surveyed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 by landscape element through carrying out questionnaire research targeting experts and general people based on this. The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in waterfront landscape can be classified into aesthetics, environment, and usability. Second, the landscape elements of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can be elicited through considering a preceding research. The evaluation items for aesthetics included landmark, design in waterfront, shape and color in signboard, landscape in the daytime and at night, water surface and sky, shape and color in architecture, modeling around, shape and lighting in a bridge, and skyline. The evaluation items for environment included pedestrian's stability, maintenance condition for a sidewalk, condition for the street facilities, comfortable road environment, clean water quality, richness in gardening, richness in waters, diversity in habitats and wild animals, access to the car lan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continuity with the surrounding region, parking facilities, and access to bicycle lane. The evaluation items for usability included security of water-friendly space, the rest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shopping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recreation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event and festival, and historical architecture. However, in order to be available for actually applying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realistic situation needs to be the research subject. Thus, the strict control was difficult like the laboratory experiment in physics & chemistry or psychology. Therefore, there is necessity of flexibly applying according to a situation whi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findings rather than strictly applying these findings. However, given continuing the properly experimental design and the repetitive research in the face of this fundamental problem about a research of application, it is expected to be probably conducive greatly to making a plan for landscape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워터프론트는 도시의 이미지 뿐 아니라 국가의 이미지를 높여주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볼거리 많은 워터프론트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차별화된 공간을 조성하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워터프론트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선에 위치한 공간을 말하며 도시 하천에서의 워터프론트는 도시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다는 점과 시민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있는 공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강에 12개의 시민공원이 조성되어 있지만 수변의 공원에서 산책과 조깅 같은 단순한 운동을 비롯하여 몇 가지의 운동 시설을 즐길 수 있을 뿐, 문화적으로 혹은 교육적으로 다양한 시설이 부족한 것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따라서 워터프론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기 위하여 경관이미지를 분석하고 경관요소를 도출한 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호도 및 선호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도출된 경관요소를 바탕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여 가치 있는 워터프론트로 변모시키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워터프론트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경관형용사와 경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이용자들이 느끼는 경관이미지를 분석하고 경관의 성격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워터프론트의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요소가 워터프론트 경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논문의 진행 및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워터프론트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초 이론을 살펴본 후, 워터프론트의 경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관요소별 성격을 분석한 후,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워터프론트 경관의 성격을 심미성, 환경성, 이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성격에 해당되는 경관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도출할 수 있다. 심미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랜드마크, 호안의 디자인, 간판의 형태 및 색채, 낮과 밤의 경관, 수면과 하늘, 건축물의 형태 및 색채, 주변의 조형물, 교량의 형태 및 조명, 스카이 라인이 포함되며 환경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보행자 안정성, 보도의 정비상태, 가로시설물의 상태, 쾌적한 도로환경, 깨끗한 수질, 식생의 풍부함, 수역의 풍부함, 서식처 및 야생동물의 다양성, 승용차로의 접근, 대중교통으로의 접근, 안내 기반시설, 주변지역과의 연속성, 주차시설, 자전거로의 접근이 포함되었다. 이용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친수공간의 확보, 휴게시설, 상업시설, 쇼핑시설, 운동시설, 문화시설, 레크레이션 시설, 교육시설, 이벤트 및 축제, 역사건축물을 포함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실제로 적용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제적 상황을 연구대상으로 하여야하기 때문에 물리·화학이나 심리학에서의 실험실 실험과 같이 엄격한 통제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보다는 연구결과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적용연구의 근본적인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실험설계와 반복적인 연구를 계속한다면 경관계획을 과학적 합리적으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6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조경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