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 0

통근통행행태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분석모형의 개발 및 적용

Title
통근통행행태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분석모형의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Model for Analysing the Effect of Commuting Behaviors on Obesity
Author
신기숙
Alternative Author(s)
Shin Ki Sook
Advisor(s)
노 정현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Walking activity as oneself becomes the means for a movement and also be able to use a different trans mode assisting. The technical development developed mobile means like as the passenger car, the subway and the bus, and people use them plentifully. But, using trans mode accompany by walking activity to approach toward the parking lot or the metro station/bus stop. The Walking activity is still very important in trip. Also walking is most basic thing while the human being moving, walking is possible without technique or facility which is special and is easy, economic and safe. Walking will be a good exercise form, there is a health maintenance from busy daily life. This study aims that if we use pedestrian friendly transport modes like as public transportation, walking activity and so on, it is same doing a physical activity on everyday, systematically, and steadily. So theses commuting behavior affects on obesity. This study is aimed at analysing the effect of commuting behaviors on obesity for workers in the Korea Capital Region. The study surveyed total 1,285 commuters whose their major affairs are deskwork-oriented so that we obtained their obesity status on Body Mass Index as well as their commuting behavior, exercise characteristic, lifestyle, eating, and genetic factor. The measures of the commuting behavior was comprised of a main commuting mode, in-vehicle time, out-vehicle time, transit transfer in order to identify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btained through commuting behavior. The measures of socio-economical index was comprised of gender, age, marriage, income, vehicle use frequency and do on. The measures of exercise characteristic was whether exercise or not. The measure of lifestyle was smoking, smoking period, drinking capacity, and sleeping time and so on. The measures of eating characteristic was meal quantity and the number of midnight snack. Last, the measures of genetic factor was disease of immediate family and mother's weight. Analysis model was classifies with transportation mode by all modes, passenger car vs. metro, passenger car vs. bus, and passenger car vs. walking activity, and with gender & age unit by 20∼30 men, 20∼30 women, 40∼50 men, and 40∼50 women. In order to analysis the effect between commuting and obesity, this study desig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ath analysis and the program was amos 7.0. The results indicate prominent causality. First, In the analysis result classified by trans mode, gender, age, meal quantity, drinking capacity, mother's weight, and out-vehicle time et al. were affected plentifully in obesity. Especially In the analysis models classified by passenger car vs. bus, passenger car vs. walking, out-vehicle time influence on reducing their BMI, and the other way in-vehicle time influence on increasing their BMI. The effect of out-vehicle time is lower than gender, age, drinking capacity and meal quantity, but it is similar with the effect of sleep time or mother's weight. The foremost in the analysis model of passenger car vs. walking, out-vehicle time influence more on BMI, the trans mode whose walking quantity is much influence more on BMI. Second, in the analysis result classified by gender & age unit, the meal quantity, the drinking capacity, mother's weight, and out-vehicle time were affected plentifully in obesity. Especially in the analysis models classified by 20∼30 men, out-vehicle time influence on reducing their BMI, and the other way in-vehicle time influence on increasing their BMI.; 도보활동은 자체로서 이동을 위한 수단이 되면서 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데 보조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기술개발에 의해 승용차나 지하철, 버스와 같은 이동수단이 개발되었고 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각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하여 주차장이나 지하철역/버스정류장으로 접근할 때 반드시 도보활동을 수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행에 있어 도보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또한, 도보활동은 인간의 움직임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 중의 하나로서 특별한 기술이나 시설이 없어도 할 수 있고, 가장 쉽고 경제적이며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신체활동으로, 요즘과 같이 바쁜 일상생활에서 이동 목적 이상으로 건강유지와 증진을 위한 하나의 운동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퇴근 시 대중교통, 도보 등의 보행 친화적 교통수단을 이용한다면 매일 규칙적으로 꾸준하게 신체활동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운동효과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통근통행행태가 개인의 비만, 즉 체질량지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2008년 6월∼7월에 수도권에 거주하는 행정·사무·관리·연구직 통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유효한 1,285개 자료를 중심으로 통근통행행태, 개인 및 가구특성, 운동특성, 생활습관, 그리고 식습관 등 환경적 요인과 어머니의 체중 등 유전적 요인이 상호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모형은 교통수단별로 승용차와 지하철, 승용차와 버스, 그리고 승용차와 도보 등으로 정하고, 성별·연령대별로 20∼30대 남성, 40∼50대 남성, 20∼30대 여성, 그리고 40∼50대 여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교통수단별 분석결과는 통근통행특성인 걷는 시간, 개인특성인 성별과 연령, 식습관인 식사량, 생활습관인 주량, 그리고 유전적 요인인 어머니의 체중 등이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승용차와 버스, 승용차와 도보를 이용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모형은 걷는 시간이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는데, 성별, 연령, 주량, 그리고 식사량에 못 미치지만, 수면시간이나 어머니의 체중과 비슷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엇보다 승용차 vs. 도보의 분석에서 걷는 시간이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회귀계수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출퇴근 시 보행량이 많은 교통수단이 체질량지수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연령대별 분석결과는 교통수단별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식사량, 주량, 어머니의 체중, 그리고 걷는 시간 등이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30대 남성 직장인의 통근통행행태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모형에서 걷는 시간이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4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7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SOC AND TRANSPORTATION(SOC·교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