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0

소격동 도시형 한옥을 이용한 복합 문화시설 계획안

Title
소격동 도시형 한옥을 이용한 복합 문화시설 계획안
Other Titles
A Design of the culture-complex through traditional urban housing
Author
경광현
Alternative Author(s)
kyung kwang hyun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 조직은 시간 혹은 사용자 그리고 환경, 정책 등에 의해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 서울에 있어서 뉴타운, 재개발 등의 대규모의 개발의 흐름 속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은 기존 도시 조직과의 충돌 혹은 기존 도시 조직의 소멸 등으로 인하여 그 이점과 더불어 문제점들도 함께 불거져 나왔다. 특히 구시가지의 전면 철거 재개발 방식은 경제 지향적 개발주의와 맞물려 구시가지의 고유의 공간구조와 커뮤니티를 파괴하며, 획일적인 격자 블록 및 도로 중심의 도시 공간을 만들어 왔다. 또한 현대에 도시의 소조직은 주거 혹은 상업적으로도 불리한 공간으로만 인식 되어 급격히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단위 개발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있어서는 주변의 도시 조직까지 흔들리는 경우가 수없이 많이 생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의 형성이 주요 가로에 국한되어, 내부의 조직으로 확산되지 못하거나,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의 직접적 충돌로 인한 도시적 문제점들을 야기 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커다란 변화가 예측되는 지역인 소격동 일대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소격동은 인사동과 삼청동을 연계하는 북촌길, 화개길등 자신만의 장소성을 가진 지역임과 동시에, 기무사 부지와 미대사관 직원숙소 부지 등 거대한 변화요소를 가진 지역이다. 또한 도시 조직 내부로의 대형매스의 침투로 인한 골목길의 기능 및 의미 상실, 기존 프로그램인 주거의 이탈로 인한 새로운 도시 소조직의 요구 등 새로운 도시적, 건축적 해결 방안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과 더불어 기무사 부지의 현대미술관 건립으로 인한 도시 조직의 변화에 있어서 전통 건축의 공간 점유 방식에 따른 장소와 공간의 구축 방식을 이해하고, 이것을 선정 대지 내부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대지 내부에 남아있는 도시형 한옥과 비어진 땅, 그리고 주변 영역들 간의 관계를 맺고, 흐름을 형성하였다. 또한 인사동과 화개길, 그리고 삼청동 길까지 연계되는 상업지역과 가회동의 주거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Site가 서로 다른 공간의 중간 영역 혹은,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공공영역을 구축하였다. 이것은 상업과 주거 사이의 완충공간으로써 작용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조직의 구성을 위한 공공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결국, 도심 내부에 역사성 및 장소성을 지닌 이러한 소조직들이 기존의 가치를 지켜가면서, 새롭게 이식되는 새로운 도시 조직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적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Urban tissue constantly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user, environment or policy. Such transformation can be found clearly in Seoul which has currently been undergoing large-scale development like building a new town or redeveloping. However, this development raises several problems as it may cause a conflict with the existing urban tissue or destroy it. Besides, engaged with economic improvement, redevelopment through the overall demolition of an old city threatens the unique spatial structure and community of an old town and has created urban space on the basis of uniform latticed blocks and roads. Moreover, the subareas of the modern city are recognized as inappropriate space for residential or commercial use and are being seriously destroyed now. There also have been countless cases in the area where large-scale development is conducted that even surrounding urban tissue is placed in danger. This type of spatial formation is confined to main streets, so the development often fails in reaching the interior tissue. Besides, the direct collision of different programs results in another urban conflict. This article starts from looking into the area of Sogyeok-dong which is expected to experience tremendous alteration afterwards. While Sogyeok-doing is an unique place with Bukchon-gil and Hwagae-gil connecting Insa-dong and Samcheong-dong, it also has the great possibilities of change such as the site of the Defense Security Command and the employee housing of the U.S. Embassy. In addition, it also needs new urban and architectural solutions for the loss of significance and function in side streets by the infiltration of the large mass into the interior urban tissue and the demand for new urban subareas from the deprivation of residence, the previous program. Along with this situation, the urban tissue is chang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n the site of the Defense Security Command. In consideration of that, this paper first understands the building methods of place and space according to the space occup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induces this to the inside of the selected site. This study makes the connections and flows between vacant land, traditional urban housing left in the site, and nearby areas. It also establishes a public sphere so that the business area connecting Insa-dong to Hwagae-gil and Samcheong-dong and the site existing in the residential area of Gahoe-dong can be the midway or halfway of different spaces. This functions as a buffer zone between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and forms a public sphere for organizing sustainable urban tissue.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the urban tissue to be newly established and the architectural device allowing its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preserving the existing value of those subareas in the city with historicity and spa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9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5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