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0

학교부적응과 부모의 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Title
학교부적응과 부모의 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Other Titles
The Effect of School Maladjustment and Parent's Expectation on Suicidal Impulse in Adolescence: In Relation to Mediating Roles of Social Supports
Author
윤재원
Alternative Author(s)
Yun Jea Won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유명연예인의 잇다른 자살과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충동을 접하면서 청소년들이 심적압박감을 받고 있는 학업장면에서의 스트레스, 학교폭력, 집단따돌림 등 학교부적응적 요인이 자살충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출산기피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외자녀나 두자녀 세대가 보편적인 현상인 때에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수준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살충동성과의 관계를 확인하며 나아가, 학교부적응 및 부모의 기대수준과 관련한 자살충동에 사회적 지지가 보호기재로서 어떠한 완충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학교부적응과 청소년의 자살충동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1-1.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은? 1-2.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은? 1-3. 집단따돌림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문제2. 부모의 기대수준이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문제3. 부모의 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4.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5. 사회적 지지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6. 학교부적응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칠때,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로서 완충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본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유의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적에 따라서는 11~20등인 학생이 가장 높게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부모 기대수준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부모 기대수준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각은 성적이 가장 낮은 학생들이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종교적으로 불교인 학생들이 부모의 기대수준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학교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유의도P<.001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부모지지에 대하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지각하였고, 친구지지에 대하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교사 지지에 대하여는 유의미 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학업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상위인 학생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종교적으로는 불교인 학생이 사회적 지지에 대하여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넷째, 자살충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유의도 P<.001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부모의 지지가 높을 수록 더 낮은 자살충동을 보였다. 다섯째, 자살충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느끼고 있었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종교가 없는 학생들의 자살충동이 높았으며, 학업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중상위인인 학생들의 자살충동이 높았다. 학교부적응 하위변인중 자살충동에 가장 높게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스트레스였으며 유의도 P<.001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여섯째, 학교부적응과 자살충동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학교부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자살충동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학업장면에서 청소년들이 느끼는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집단따돌림 등 학교부적응적 변인들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나친 기대수준, 사회적 지지가 모두 청소년들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 상담과 교육장면에서 청소년들의 자살 및 자살충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8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