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4 0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연구

Title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Author
정우미
Advisor(s)
이신웅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1년부터 교육부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이하 TETE)' 정책을 발표, 시행하였다. 또한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영어교육 강화를 위한 전문 인력으로서 영어회화 전문 강사 5천명 선발 계획을 밝히는 등 새 정부가 들어섬에 따라 영어 공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교 영어교육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TETE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 교사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TETE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TETE에 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정도에 대한 조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TETE 실행 후 그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학업 성취도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희박하다. 더욱이, 더 큰 문제는 TETE가 정책적으로 도입되어 실행된 지 8년여 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TETE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TETE의 문제점을 고찰한 연구는 전무하다. 기존의 TETE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TETE 시행에 있어서 체계적인 촉진 요소들을 종합한 결과를 보여주는 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선행 연구들의 다양한 결과들을 분석하여 TETE 정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나아가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기초해 기존의 TETE 관련 연구 및 문헌 자료들을 수집하여 TETE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학교 급별, 교사 연령이나 경력, 성별, 학교 위치, 교실에서의 영어사용 정도, 그리고 수업 형태에 따라 나누었다. 그리고 TETE 실시 후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언어의 4가지 기능과 정의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현실적으로 나타난 TETE 시행의 문제점과 더욱 효과적인 TETE 실시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영어수업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영어로 수업을 해 본 경험정도에 따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사용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인식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실시가 바람직함을 보여준다. 둘째, TETE 수업 실시 후 학습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언어의 기능 향상 순서는 듣기-말하기-읽기 순이었다. 특히, 주목할 만 한 점은 전체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인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학습 동기가 상승했다는 것이다. 셋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효과는 긍정적이었으나, 많은 문헌에서 시행에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문헌들을 통해 정리한 TETE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영어능력 부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고, 진도 나가기에도 부족한 수업시수, 많은 학생 수나 학생들의 영어 능력 수준 차이, 의사소통 활동을 유도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교과서 구성과 평가 방식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TETE의 성공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위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ETE를 진행하는 영어교사들의 영어구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었으며, 이는 교사 각자의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교원양성기관이나 현직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고, 교사 스스로의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과 수업 시수 확충,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의 협동 수업, 의사소통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활동과 교과서 개정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인식하는 TETE의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중요 요인 등을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기 때문에 TETE의 실효성 있는 시행을 위해서는 TETE의 수혜자인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TETE의 체계적인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TETE의 효과측정에 대한 언어의 4가지 기능과 정의적 측면에 기반 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ETE의 시행 이후 실제 TETE의 학습 효과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매우 희박하였다. 마지막으로, TETE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 효과를 촉진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difficulties that in-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to make suggestions to tackle the problems in implementing TETE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TETE. Teachers' views of TETE will be compared in terms of their schools, what grade the students were in, th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gender, location of school, the amount of classroom English they use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agreed on the effectiveness of TETE. While most teachers agreed on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TE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ore positive and confident perceptions of TETE. Because the requisi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required to teach them is lower than other grades, so they appear to have less anxiety about using TETE in their classrooms. Also, women and younger teachers are less anxious about TETE, and most teachers believed team teaching with a native English teacher would b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 indicated that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TE are different based only on the frequency of English use in the class. Second, student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capabilities improved in TETE classes. Moreover, th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through TETE class. However, given the lack of research in the area, as well as the limited time in which to conduct research, it was not possible to conclude whether or not there was any significant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Therefore,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confid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ETE and adopt this methodology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students' English skill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English classes is highly recommended. The only limitation in this study is the lack of available research dealing with the four English skills. Third, there are some obstacles associated with the successful incorporation of TETE which are related to teachers' unique situations or experiences. Such examples include the teacher’s lack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y, the small number (or frequency) of English classes,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in classes, the fact that classes often contain students of varying levels of proficiency, unsuitabl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uninteresting teaching materials. Lastly,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where students lack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nglish skills outside the classroom, the classroom is the sole source of input for the target language. Teachers, therefore, should start making the maximal use of English in class so that students can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 To improve teacher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eachers' in-service training programs, both at home and abroad. Also, more authentic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maximiz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more practical teaching methods or approaches should be adopted which specifically target EFL students in Kore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2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5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