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 0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영문초록에서 발견되는 영어오류에 대한 연구

Title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영문초록에서 발견되는 영어오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anguage Flaws in the English Abstracts of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Author
최원호
Alternative Author(s)
Choe, Won Ho
Advisor(s)
김신규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anguage flaws found in the English abstrac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KJLM), and to suggest the areas of improvement in writing English abstracts. Methods: Analyses were performed on 216 abstracts published in KJLM between 2000 to 2008. Except for years of 2002, 2006, and 2007, 5 abstracts from each subspecialty of diagnostic immunology (IM), clinical chemistry (CC), diagnostic hematology (HE), clinical microbiology (MB), and blood bank (BB) were used. Due to shortages of blood bank abstracts in 2002, 2006, and 2007, a total of 23, 23, and 20 abstracts were used respectively for those years. Language flaw analyses were done twice by flaw classification. Readability tests were also done. Results: Of 216 abstracts, 176 (81.5%) had at least one type of language flaw. Total number of flaws were 555, 2.57 flaws per abstract. Ortho-typographic errors were 84 (15.1%) and grammatical errors were 471 (84.9%). In the yearly analysis, the number of flaws per abstract per year was 3.75 in 2000, 2.92 in 2001, 2 in 2003, 2.48 in 2005 and 2.04 in 2008. In terms of the subspecialty, the number of flaws per abstract was 2.62 in IM, 2.84 in MB, 2.36 in CC, 2.64 in HE, and 2.33 in BB. For five readability tests, there were slightly increasing trends of readability level in past year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many ortho-typographic and grammatical errors were found to have existed in the English abstracts of the KJLM. For last nine years, the total number of flaws, and the number of flaws per abstract did seem to decrease. Currently it seemed that the level of those figures tend to remain in low numbers. Most of the errors were grammatical errors and more efforts would be needed to reduce such error in the future. Slightly increasing trend of readability level showed us a shift of the KJLM into a more specialized journal with professionalism. This is the first thesis of its kind to look for the language flaw spectrum in single medical journal,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better analysis for the quality of medical journals in the future.;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에 등제된 영문초록을 대상으로 문법적 및 기술적 오류를 검토하여 향상도와 경향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회지의 발전에 어떻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2.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에 등재된 진단면역, 임상화학, 진단혈액, 임상미생물 및 혈액은행 등 5개 분과의 원문들을 연도별로 각각 5개씩을 선정하려하였다. 그러나 2002년, 2006년 및 2007년도에는 혈액은행의 원문들이 부족하여 각각 총 23개, 23개 및 20개의 원문들만이 선정되어, 최종적으로 216개 원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오류분석을 시행하였다. 오류분석은 문법적인 오류와 기술적인 오류로 크게 분류되었고 세부적인 항목으로 추가 분류되었다. 영문초록은 각각 2회씩 검토하었으며 각각의 오류는 연도별 분과별로 기록하여 그 추의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문초록에 대해 가독성검사 (Readability Test) 5개 종류를 계산하여 영문초록의 읽기수준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조사대상 초록 전체 216개 중 오류가 포함된 초록은 총 176개로 81.5%의 오류양성율을 보였다. 문법오류 및 기술오류를 포함한 총 오류의 수는 555개로서 초록 1편당 2.57개의 오류를 보였다. 기술적인 오류가 총 84개 (15.1%)로 편당 0.39개의 오류을 보였고 문법적인 오류가 471개 (83.7%)로 편당 2.18개의 오류를 보였다. 연도별 결과를 보면 2000년에 편당 3.75개의 오류가 조사되었고 2001년에는 편당 2.92개, 2002년에는 2.91개, 2003년에는 편당 2개까지 감소되는 추세였으나 2004년, 2005년에 편당 2.48개로 증가한 후 최근에는 편당 2개의 오류를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야별로는 진단면역이 편당 2.62개, 임상미생물이 편당 2.84개, 임상화학이 편당 2.36개, 진단혈액이 2.64개, 혈액은행이 편당 2.33개 였다. 5가지 가독성검사(Readability tests - Flesch Kincaid Reading Ease, Flesch Kincaid Grade Level, Coleman-Liau Index, Gunning Fog Index, SMOG Index)를 통해 영문초록의 읽기수준을 계산하여 조사한 결과 해가 지날수록 대체적으로 모든 검사에서 읽기수준이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4.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에 등제된 영문초록에서 상당한 문법적 및 기술적인 오류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과거 9년간의 자료를 분과별로 분석한 결과 오류의 수는 의미있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근에는 그 오류수가 적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의 오류가 문법적인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향후 영문초록 작성시 문법오류의 감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가독성검사에서도 그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보다 전문화된 학회지로 전환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는 특정 의학학회지에 개제된 영문초록들에 대한 어문학적 오류를 연도별 및 특수 분과별로 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의 영문초록에서 발견되는 오류의 종류들을 파악함으로서 보다 더 전문적인 학회지로 향후 발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1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3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