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7 0

가곡 거문고 선율의 문현과 청현용법 연구

Title
가곡 거문고 선율의 문현과 청현용법 연구
Other Titles
Usage of Geomungo Munhyeon and Cheonghyeons in Gagok Accompaniment
Author
이보현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본고에서는 가곡 거문고 반주에서 문현과 청현이 어떠한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를 남창가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문현과 청현의 주법을 정리하고 이어서 실제 악곡에서 어떠한 용례로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주법과 용례를 바탕으로 하여 문현과 청현의 구체적인 용법과 역할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악곡에서 사용되는 문현과 청현의 주법과 용례를 보면, 먼저 문현 주법 중에서 살갱ㆍ슬기둥ㆍ싸랭 주법은 가곡 6대강 중에서 3정간 대강의 첫 박에 해당하는 제1박, 제6박, 제9박, 제14박에 주로 위치하여 해당 박의 강세를 표시한다. 흥 주법은 2정간 대강의 첫 박에 해당하는 제4박과 제12박에서 주로 등장한다. 청현은 주로 강약보다는 악곡의 변화나 종지를 위한 지점에 사용되며, 때로는 음색과 강약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른바 개청(皆淸)은 1장과 중여음 및 5장의 종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가곡 반주에서 문현과 청현은 그것들이 아무 곳에서나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하는 위치가 정해져있으며, 주로 문현 주법은 강세와 관련이 있고 청현 주법은 형식과 관련이 있다고 정리된다. 이와 같은 문현과 청현의 주법과 용례를 바탕으로 이를 유형화하고 보다 세분화된 쓰임새와 역할들을 확인하였는데, 문현과 청현의 단독주법과 복합주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현 단독주법은 강약뿐만 아니라 ‘살갱ㆍ슬기둥→싸랭→살(분박하지 않음)’의 순서로 악곡 템포와 관련이 있으며, 살갱의 분박 주법은 장구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악곡의 한배를 주도한다. 즉 장구가 박(拍) 단위의 한배를 이끈다면, 거문고의 살갱 분박 주법은 소박(小拍) 단위의 한배를 주도한다. 흥 주법은 특정음을 길게 뻗고 있는 사이에 간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문현주법은 주로 강약을 규정하며, 가곡을 8박단위로 구조를 이루게 한다. 청현 단독주법은 강세 및 음색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문현과 청현 복합주법은 현들의 조합과 리듬유형에 따라서 2형, 3형, 2+3형, 3+2형, 3+2+3형으로 나누었다. 이들은 대부분 종지와 관련되어 사용된다. 여기서도 청현의 사용은 음색과 강약을 변화시키는데, 음색만 바꾸거나 음색과 강약을 함께 바꾸기도 한다. 2장과 4장 종지구와 초장 내드름에서는 음색만 변화시키고, 1장, 중여음, 5장 종구 예시지점에서는 음색과 강약을 모두 변화시킨다. 결국 이 연구를 통하여 가곡 거문고 선율에서 문현은 강약과 관련되어 가곡을 8박 단위로 규정짓는 역할을 하고, 소박 단위의 한배를 주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반면에 청현은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강세와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복합적으로 사용될 때는 주로 종지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여 악곡의 형식을 정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usage of geomungo munhyeon and cheonghyeons in gagok accompaniment was examined in this paper. For the sake of this, the examples of the uses of munhyeon and cheonghyeons in gagok male songs, relations between text-setting and the uses of these strings, and peculiar roles of them in connection with the melodies of songs were investigated. The salgaeng, sheulgidung, and saraeng, which are the playing techniques of geomungo munhyeon, usually appear at the first, sixth, ninth, fourteenth jeongan in the rhythmic pattern of gagok, which means that these techniques show dynamics of music. The pluckings of cheonghyeons sometimes appear in the eighth or sixteenth jeongan, or usually indicate the end of each section of songs, which means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musical form. They also alters the timbre and dynamics of songs The uses of munhyeon and cheonghyeons are also related to the setting of gagok texts, the three-verse form shijo, to melodies. The appearance positions of munhyeon and cheonghyeons are in accord with those of text syllables, even though some exceptions are shown. The further investigations show that, besides indicating dynamics, the salgaeng, sheulgidung and saraeng techniques play a role in following or foreshadowing the tones of vocal melodies. They also indicate a tempo. The munhyeon and cheonghyeons are sometimes used together, when there are 5 patterns of mixing these strings according to the rhythm; the 2 pattern, 3 pattern, 2+3 pattern, 3+2 pattern and 3+2+3 pattern. These patterns are usually related to cadence, in which the cheonghyeons occasionally alter the timbre and dynamics of songs. In conclusion, the munhyeon and cheonghyeons in gagok accompaniment have regulations in their appearance positions and roles in the texture of music. The usage of munhyeon is mainly related to dynamics and that of cheonghyeons to musical form. The cheonghyeons perform their roles by altering the dynamics and timbre of songs. The pluckings of these strings lead music with tensions against vocal melodies, so that increase the beauty and refinement of gogak.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0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1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