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0

전시체제 하의 조선영화, 일본영화 연구 (1937~1945)

Title
전시체제 하의 조선영화, 일본영화 연구 (1937~1945)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cinema and Japanese cinema from the Chinese-Japanese War to the Pacific War (1937~1945)
Author
함충범
Alternative Author(s)
Ham, Chungbeom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orean cinema and Japanese cinema from the Chinese-Japanese War to the Pacific War. Korea and Japan wer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The Chinese-Japanese War occurred in 1937. All the abilities Japan and Korea concentrated on the war at that time. However, this was not reflected in a Japanese cinema and a Korean cinema at once. The Japanese movie put the war by various methods. And, the Korean movie showed the distinctive trend in association with export in Japan. Japan invaded Southeast Asia in 1940. All political organization in Japan and Korea was unified. And, the low of cinema was introduced, new system of the cinema was established in Japan and Korea. As a result, a Japanese movie and a Korean movie positively reflected the policy of the nation. The Japanese movie emphasized the Japanese spirit and concentrated on the military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 A Korean movie reflected the child policy, cinema policy, military policy, migration policy etc. All groups in Japan and Korea were unified with the Pacific War. All structures and resources were mobilized to the war accomplishment. The system of three production companies was established in Japan and the system of the production unification was established in Korea. The Japanese movie described a brave war hero in the combat of the sky or sea. A Korean movie set man hero's enlistment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ing history is to see the past and to make the better future. Therefore, researching a Korean cinema and Japanese cinema under the system of the war has a meaning a not little.; 본 논문은 중일전쟁이 발발한 1937년부터 태평양전쟁이 종료된 1945년까지 시기 전시체제 하의 식민지 조선의 영화와 제국 일본의 영화에 관한 연구이다. 당시 조선영화와 일본영화는 전시상황-전시체제-영화정책-영화제작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특징화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과 함께 일본과 조선에서 전시체제가 구축되었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과 국가총동원법이 일본과 조선에 똑같이 적용됨으로써 일본과 조선의 정신적, 물리적 차원의 모든 역량이 전쟁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일본영화와 조선영화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지는 못하였다. 당시 일본과 조선은 각각 발성영화의 발전 및 정착 단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통제가 강화되고 영화활용이 적극화되기는 하였지만, 이것이 영화계에서의 전시체제 수립으로 연결되지는 못하였다. 이에 일본영화와 조선영화는 시국을 반영하면서도 전시상황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게 되었다. 일본영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을 담았고, 조선영화는 일본수출과 결부되어 특정한 경향을 보였다. 1940년 일본의 동남아침략을 전후하여 일본과 조선에서 전시체제가 확립하였다. 대정익찬회를 중심으로 일본의 모든 정치조직이, 국민총력조선연맹을 중심으로 조선의 모든 정치조직이 일원화되었다. 이에 따라 1939년 일본영화법이, 1940년 조선영화령이 도입됨으로써 일본과 조선에서 ‘영화신체제’가 수립되었다. 이로 인해 일본영화와 조선영화는 국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영화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전쟁에 임하는 일본인의 자세나 정신을 강조하였다. 그러면서도 일본정부의 군사정책에 집중하였다. 반면 조선영화는 얼마 되지 않는 작품 안에서도 조선총독부의 아동, 영화, 군사, 이주 정책 등을 골고루 반영하였다. 태평양전쟁을 계기로 일본과 조선에서 전시체제가 강화되었다. 1942년부터 일본과 조선의 모든 단체는 전시(戰時)조직으로 일원화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든 인적 구조와 물적 자원은 전쟁수행을 위해 동원되었다. 영화 역시 마찬가지였다. 일본에서는 다이에(大映), 도호(東寶), 쇼치쿠(松竹)의 제작 3사 체제가, 조선에서는 사단법인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의 제작 일원화 체제가 수립되었다. 그럼으로써 영화의 역할과 기능이 전쟁수행에 맞추어졌다. 그리하여 일본영화는 용감한 전쟁영웅과 항공 및 해양 전투 장면을 통해 일본정신과 극미(克美)의지를 드러내었고, 조선영화는 남자 주인공의 입영상황을 설정함으로써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과정 및 흐름 속에는 한국영화의 역사적 치욕과 아픔이 존재한다. 그러나 역사연구의 목적이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반추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도모하는 데 있는 것과 같이, 영화사연구 역시 이러한 견지에서 이루어져야 함은 마땅하다. 그러기에 전시체제 하의 조선영화와 일본영화를 연구하는 일은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0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6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