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0

청소년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Author
김정은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 Eun
Advisor(s)
이희선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은 사회 문제로 심각한 수준이다. 자살은 사회적으로 인간생명에 대한 경시풍조를 반영하는 것이며 청소년들이 어렵고 힘든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자기 통제력의 부족으로 비추어 진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최근 청소년 문제에 관한 연구 및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가정환경과 개인 성격적 특성인 자기 통제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자살생각에 가장 결정적 역할을 하는 개인 심리적 요인인 우울을 통해 각 변수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으로는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에 의거 서울시 강남과 강북의 중학교과 고등학생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인구학적 속성과 일반적인 사항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거주 지역, 성별, 학력별, 성적, 종교 등에 따라 자살생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점수를 산출하여 회귀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가정환경과 자아통제력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들 중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는 강남이 강북보다 높은 자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과 학년별에서도 남자, 고등학생이 자살생각이 높았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성적별로 살펴보면 하위권이 자살생각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환경을 살펴보면 사별과 이혼가정의 청소년들이 자살생각이 높았으며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 환경적 변수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각 요인별 회귀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의 화목도는 통계적으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뿐만 아니라 우울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아통제력 변수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한 결과 자아통제력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우울을 통하여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결합효과도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넷째,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변수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우울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은 단일요인도 영향을 미치지만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우울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강력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에서 부모는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이며, 사회적 역할의 모델임을 인지하고, 서로 화목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함께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서적 유대 관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은 적절한 자기 통제력으로 충동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 Study on Determinants of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Kim, Jeong Eun Major in Social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y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ee, Hee Su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which continue to increase rapidly is a serious social problem. Suicides reflect the social tide scorning the human life. And suicide is deemed caused by lack of juvenile's self-control given up because of their inability to overcome difficult and hard situations. In such a social tide, various researches into and discussions about the juvenile problems have been active l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pression or the most decisive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this study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family environment affecting juveniles much and the self-control or the personality factor.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quota sampling to sample 320 body and girl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Gangnam and Gangbuk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subject to the frequency analysis for juveniles' demographic variables and other characteristics. And the data were subject to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differences of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depending on their residential areas, gender, grades, academic performances and religion. Furthermore, the data were subject to factor analysis to test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nd calculate the score of each factor for the regression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juveniles' family environment and self-control on their thinking about suicide. SPSS Win 16.0 program was used for such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living in Gangnam had thought about suicide more than those living in Gangbuk, but such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boys or high school students had thought more about suicide than girls 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either. On the other hand, those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performances, those students living in bereaved or divorced families and those students with their parents' academic background poorer had thought about suicide more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it was found tha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amily concord had direct negative effects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statistically. In addition, such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via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elf-control variables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had not only direct negative effects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but also indirect effects on it via depress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had positive effects on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After all, depress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As discussed above,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seems to occur through some complicated processes, although it may be affected by a single factor. In particular, depression is the strongest parameter of juveniles' thinking about suicide. Accordingly, parents are deemed obliged to spare time for family concord and form an emotional relationship of solidarity reducing their children's thinking about suicide, being aware that they are their children's emotional supporter as well as the models of the social roles. On the other hand, some measures need to be arranged to help juveniles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 with appropriate self-control at an impulsive moment, being aware of dignity of human being and valuable life to reduce their thinking about suicid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7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7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