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0

한국 전통 연희를 활용한 Interactive Art의 방향 연구

Title
한국 전통 연희를 활용한 Interactive Art의 방향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Interactive Art using Korean Traditional Perfoming Arts
Author
오은정
Alternative Author(s)
Oh, Eun jung
Advisor(s)
손각중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아시아 현대 예술은 서구 열강과 일본의 오랜 지배 속에서 정치적 굴곡을 겪으며,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다. 해방 이후 권력과 지배의 고통스러운 여파가 남아있는 가운데, 과거 예술가들은 열등감의 망상을 떨쳐버리려 몸부림쳤다면, 현 세대의 예술가들은 탈식민주의를 외치거나 세계화, 혹은 전 지구화라는 커다란 소용돌이 속에 존재한다. 그와 동시에 다차원적 요구에 따라 세계 속을 자유롭게 왕래하고 절충하며, 혼성문화적 관점을 확장시키는데 새롭게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각 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방향이 제시 될 것이다. 이런 문화의 다각화를 통해, 서구문화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축소 혹은 왜곡되었던 지구촌 각 지역의 문화는, 결국 각자 나름의 목소리를 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곧 통섭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문화의 새로운 해석이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시점에, 우리는 우리 스스로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재해석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문화와 민족성이라는 무한한 콘텐츠와 캐릭터로 독특하고 유일무이하며, 현 시대에 걸맞은 한국 문화 흐름을 주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가능성의 중심에 무한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 연희에 초점을 두어 현 시대의 전통연희에 많은 장점과 특성을 부각시키고, 더불어 관객과 예술가 사이 소통의 거리를 좁혀 줄 수 있는 특성과 양방향 상호작용이 밀접한 한국인의 놀이문화와 유희성의 특성들을 예술을 통해 살리고자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앞으로의 미디어 예술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는 예술적인 표현에 디지털 미디어와 공학적인 기술을 함께 이용하고, 네트워크·모바일 통신기술 등의 최첨단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음악·소리·사진·동영상·컴퓨터 게임·가상현실이라는 도구를 통한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기존의 예술과 가장 크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다름 아닌 관객 참여에 있다. 이런 경우 관객의 취향에 따라 예술 행위에 변화를 줄 수 있고, 원하는 방향으로 결과를 바꿔나갈 수도 있다. 이것은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예술의 시작인 동시에 새로운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예술에서는 정보의 흐름이 수동적으로 예술가로부터 관객에게 전달되는 단방향(one-way)이었지만,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쌍방향 예술작품에 친숙해진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아트 시스템 일부분이 되어가고 예술가와 작품에 더욱 몰입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점은 한국 전통연희의 두드러진 특성중 하나다. 연희자와 관중이 상호작용하여 연희를 이끌어 가는 것 을 말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전통연희와 인터랙티브 아트의 공통되어지는 특성을 활용하여, 현재 인터랙티브 아트의 문제점을 보충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한국 전통 연희에서 나타나는 제한적이 않고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공간성, 놀이에서 나오는 유희성, 관중과의 상호 작용성을 인터랙티브 아트에 대입해 활용 방향성에 대해 논하였다. 첫 번째 로‘공간성’은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무한한 공간을 연출한다는 의미와 실제 존재 하지 않는 컴퓨터로 만들어진 가상공간속을 활용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다음 두 번째 로는 작가위주의 작품 제작으로 인해 관람자와의 소통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다루어 전통연희 ‘신명나는 놀이성’을 탐구하여 ‘놀이/유희’ 의 초점을 맞춘 인터랙티브 아트의 활성화를 요구하며, 마지막으로 관람자와의 즉흥적이고 창조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한 새로운 예술 창작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 외에도 앞으로 발견되어져야 할 발전 가능성 적인 특성들을 엿 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IT강국인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 가능성을 갖고 있는 요소들과 특성들을 연구해보았다. 그 결과 국내에서도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연구나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예술 표현의 장을 무한히 넓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가들이 우리만의 예술과 문화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고, 한국 전통 연희 안에서 나타나는 선조들의 창의력과 지혜 를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아트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에 대한 가치관이 뚜렷하며, 창조적인 사고를 했던 우리 민족의 창의성을 일깨우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세계적으로 IT강국인 한국임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아트에 대한 인식과 활동영역은 세계적이지 못하다. 앞으로는 다양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들’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한국의 세계화 실현의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거란 확신을 갖고 후속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4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