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0

전문대학 웹사이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전문대학 웹사이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for Identifying User's Needs and Improving College Website
Author
이세진
Alternative Author(s)
Lee, Sejin
Advisor(s)
김동식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특성화된 전문대학에 대한 웹사이트 수준과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사례연구로서, 전문대학 웹사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교수와 학생의 관점에서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에 대한 기대수준과 현재수준을 규명하여 향후 전문대학에서 웹사이트를 개발,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성공요인들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나 웹사이트 평가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웹사이트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웹사이트의 일반적 특성 차원과 교육적 특성 차원 측면에서 전문대학 웹사이트를 평가하는 프레임웍을 구성하였다. 평가프레임웍은 일반적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요소로 1) 콘텐츠 2) 인터페이스 3) 디자인 4) 테크놀로지로 분류하였고, 교육적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요소는 1) 대학정보화 2) 대학행정정보화 3) 교육자원 4) e-커뮤니티 5) e-러닝체제 지원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평가요소별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요소들을 설정하였다. 도출된 일반적 특성 관점과 교육적 특성 차원의 관점에서 학생집단과 교수집단을 대상으로 해당 전문대학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과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를 규명 하였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 관점에서의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사용자 평가를 중심으로 수행하되, 전문가 평가를 반영하여 조사결과의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문대학 웹사이트 구성요소의 기대수준과 현재수준에 대한 평가는 웹사이트의 주요 사용자인 재학생 및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형태로 실시하였다. 웹사이트 평가를 위해 5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이 305명, 교수가 35명이 참여하였으며, 컴퓨터 전문가, 디자인 전문가, 웹 개발전문가, 교육공학 전문가 등, 6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서면 인터뷰 방식으로 웹사이트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적 특성 차원을 분석하였는데 전문가 집단의 심층 서면 인터뷰는 각 평가요소의 결과 분석시 상세히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 결과분석은 SPSS 17.0 버전을 사용하였다. 우선, 전문대학 웹사이트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 및 하위 요소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하고 있는 기대수준과 현재수준 등, 자료의 전체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분석을 하였고, 단순 반응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유의미한 자료들이 학생 및 교수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웹사이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 특정 요소와 전문대학 웹사이트 수준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의 경우, 학생집단은 콘텐츠 요소 중의 최신성, 신뢰성, 인터페이스 요소의 사용용이성, 디자인 요소 중의 독창성 그리고 테크놀로지 요소 중 안정성과 접근성에 대한 기대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집단의 경우에는 콘텐츠 요소 중 최신성, 신뢰성, 충실성과 인터페이스 요소 중 사용용이성 그리고 디자인 요소 중 독창성과 테크놀로지 요소 중의 안정성과 접근성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기대수준에 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이 중요성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 요소는 콘텐츠 요소의 신뢰성과 충실성이었으며, 교수집단에서 이 요소들의 중요도를 더욱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요소의 독창성 요소에서도 교수집단이 해당 웹사이트가 더욱 독창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특성의 경우, 대학정보화 요소 중 입학정보, 학사정보, 취업정보와 행정정보화 요소 중 인트라넷에 두 집단의 기대수준이 다른 요소들에 비해 높이 나타났고, 교수집단의 경우는 교육자원 요소의 중 도서관과 e-커뮤니티 요소 중 교내 네트웍에 대한 기대수준이 학생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은 대학정보화 요소 중 입학정보, 학사정보, 취업정보, 알림정보의 기대수준이 큰 반면,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위 요소들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에서도 취업정보에 대해 학생들의 기대수준은 높으나 실제 인지하는 웹사이트 상에서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바, 여전히 많은 대학들이 학생들의 미래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대학 웹사이트를 분석해 본 결과, 학생집단과 교수집단 모두 콘텐츠가 가장 중요한 웹사이트의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거의 선행 연구를 뒷받침해 주는 결과로서, 웹사이트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콘텐츠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육적 특성 차원에서도 대학은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학정보, 학사정보, 취업정보 등 해당 대학만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지속적이고 신속하게 발굴, 제작하여 사용자들의 필요와 요구가 충족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college websit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s, students and faculty, in order to present useful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college websit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presented diverse criteria for website evaluation, the framework of criteria for the study was set up in two different aspects, general and educational functions. For evaluating the general function, 4 different criteria were used. They were, 1) contents, 2) interface, 3) design, and 4) technology.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1) college information, 2) administrative information, 3)educational resources, 4) e-community, and 5) e-learning support system were set up. Each criterion was specified by a several sub-criteria.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criteria to investigate which criteria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by student and faculty, their satisfaction of the websit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rty five professors and three hundred five students of the colleg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ix professionals in the area of computer technology, design, website development, education technology were interviewed for in-depth evaluation of the website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urve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identified currency, reliability in contents, usability in interface, uniqueness in design, and stability and accessibility in technology for the general function of the website. The faculty group indicated not only more importance of reliability and coverage in contents, but also of originality of the website, compared to the students group.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websi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for student recruitment, academic affairs, job recruitment in the criteria of college information and intranet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by both groups, while faculty group indicated the importance of library information in the criteria of the educational resources and networking system in e-community compared to student group. In the satisfaction analysis, the student group showed low satisfaction in the information of student recruitment, academic affairs, job recruitment, bulletin board of their website despite the fact that they identified them as important factors of their website. It support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means that the websites of a number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still fail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providing with diverse and useful information demanded by the users in colle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th groups identified the contents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developing effective and useful website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y also indicated that information of student recruitment, academic affairs, job recruitment needs to be created in more diverse and unique ways to meet the students' various need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9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1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