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 0

집단미술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미술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Author
이은영
Alternative Author(s)
Lee Eun Young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기의 가출은 정서적인 안정과 신뢰감을 주는 환경을 제공받지 못하게 하여 청소년에게 심리적인 불안과 낮은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출이 청소년 개인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아개념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출청소년의 정서적 성장과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K청소년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여자 가출청소년 4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여 21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와 그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심리, 환경적 특성, 자아개념과 불안 수준이 유사한 여자청소년 4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전 1회의 사전검사와 종결한 후 1회, 10주후 1회, 총 2회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매회 녹음을 통하여 행동관찰을 하였고, 자아개념과 불안수준이 개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고, 그림검사의 변화를 연구하여 집단미술치료가 개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은 집단미술치료 실시 이후 향상하였으며, 이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이었다. 즉,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일반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신체자아개념에서 각각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고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정서자아개념도 평균점수가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즉, 집단미술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과 그 하위 영역인 일반, 사회, 신체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출청소년의 불안은 집단미술치료 실시 이후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의 하위요인인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항목에서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에도 지속되었다. 즉, 집단미술치료가 가출청소년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전체 과정 중에 나타난 개별 청소년들의 행동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초기에는 자신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며 집단원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보였으나 회기가 진행 되면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출하였으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집단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보였다. 넷째, 가출청소년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림검사(HTP)에서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사후, 추후의 그림은 크기가 커지고 선의 질과 형태가 안정적이며, 내용상 긍정적인 연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개별 청소년의 전반적인 행동 변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출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과 불안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쉼터 이외의 다른 기관, 시설 등에서 청소년의 정서적 문제예방 및 치료를 위한 중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e case of running away during adolescence, teenagers can not live in good circumstances which offer emotional stability and trust, and they may form unstable emotion and low self-concept. In addition, runaway teenager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to individuals, home and the society as a whole. Against this backdrop,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one of the intervention methods to contribute to emotional growth and social adaptation of runaway teenagers by verifying the effects of group art-therapy treatment for runaway teenagers on the self-concept and anxiety. To achieve this, four female runaway teenagers in K Youth Shelter of K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a experimental group and they underwent 12 sessions of the group art-therapy. Four female non-runaway teenagers similar to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aspects of emoti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elf-concept and anxiety level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group art-therapy and the sustainability. The non-runaway teenagers took 2 follow-up tests in total including one time before the group art-therapy, one time after the group art-therapy and one time 10 weeks after the group art-therapy. Their behaviors were observed each time through recording, how their self-concepts and anxiety levels were changed was analysed respectively and the effects of the group art-therapy on individual changes through reviewing changes in picture tes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s of runaway teenagers were improved after the group art-therapy and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ener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concept of sub-scales of self-concep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average values of emotional self-concept increased, though not significant. These changes went on despite of the end of the program. Shor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group art-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not only the self-concept but also the sub-scales such as gener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concept. Additionally, anxiety of runaway teenagers was reduced after the group art-therapy and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state-anxiety and trait-anxiety out of sub-scales of anxie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group art-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of runaway teenagers. Thirdly, the analysis of changes in all the behaviors of individual teenagers in the progress of the group art-therapy showed that they were not able to express themselves or their emotion, and the members of the group had negativ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cluding outcast but as the sessions proceeded, they recognized and expressed their emotions, positively evaluated themselves, and had positiv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group. Finally, observations taken from the HTP after group art-therapy program showed that pictures of post-test and follow-up test are larger in size, stabler in texture and shape of lines and more positive in associations of contents than those of pre-test. The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therapy reinforces positive self-concepts of runaway teenagers, reduces their anxiety, and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general behavior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group art-therapy program is effective to help runaway teenagers improve their self-concepts and reduce their anxiety, and can be used as a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and treat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7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2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