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 0

뇌졸중 시기와 편마비 방향에 따른 골밀도 변화

Title
뇌졸중 시기와 편마비 방향에 따른 골밀도 변화
Author
노성원
Advisor(s)
장성호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론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골다공증이 발생한다. 이 중에서 마비로 인한 부동과 불용이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졸중의 이환 기간이 골다공증의 발생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뇌졸중의 발생 시기와 편마비 방향에 따른 종골의 골밀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재활 전문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79명(남39명, 여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인구학적 자료와 골다공증 및 낙상의 과거력을 조사 하였고, Hologic Sahara?? Calcaneus(Heel) Densitometry System을 사용하여 환자의 양측 종골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뇌졸중의 이환 기간은 이환측 종골의 골밀도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정상측 종골의 골밀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환측과 정상측 종골의 골밀도 차이는 좌측 편마비 환자에서는 뇌졸중의 이환 기간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우측 편마비 환자의 경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군의 뇌졸중 시기에 따른 각 군 간의 골밀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뇌졸중의 이환 기간에 따라 이환측의 골밀도 뿐 아니라 정상측과의 차이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좌측 편마비 환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재활치료 시에 이환측 상하지의 골밀도 감소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좌측 편마비 환자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Stroke patient are prone to fall and, therefore, frequently get fractures, especially at the hip joint of the hemiplegic side, which is often osteoporotic. So osteoporosi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 of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nd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duration, affected side and bone mineral densities (BMDs). Method: The subjects were 79 hemiplegic stroke patients, 39 men, 40 women, age 61.9±13.6 years and 79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We measured BMDs in patients, and compared BMDs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s,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s with stroke duration and direction of affection. Result: The reduction of BMDs in the affected side well correlated with duration of hemiplegia, but not in the unaffected side. The difference of BMDs between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orke duration in left hemiplegia but not in right hemiplegia. Conclusion: Stroke patients have high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this findings are prominent in left hemiplegia. Therefore early rehabilitative care, including weight-bearing and outdoor ambulation, is essential for left side hemiplegic patients in order to prevent possible complica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28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5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