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 0

이승우 소설에 나타난 권력과 인물들의 반응 양상 연구

Title
이승우 소설에 나타난 권력과 인물들의 반응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ponse Patterns of Power and Characters appeared in the Novel of Lee Seung-woo
Author
이현희
Alternative Author(s)
Lee, Hyeon Hui
Advisor(s)
김미영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 졸업이라는 다소 특이한 약력을 지닌 작가 이승우는 1981년에 쓴 중편소설 「 에리직톤의 초상」 이 󰡔 한국문학󰡕 신인상에 당선되면서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처음 ‘종교’와 ‘초월’의 문제에서 시작되었던 그의 관심은, 점차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로 그 방향을 옮겨가게 된다. 그는 세상의 타락을 낳은 근본적인 원인으로 ‘권력’을 지목하면서, 작품 속에 이러한 권력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승우의 작품 중에서 권력 문제를 화두로 삼은 단편소설 「 선고」 , 「 해는 어떻게 뜨는가」 수상은 죽지 않는다」 동굴」 물구나무 서기」 사령」 그의 광야」 와 장편소설 󰡔 가시나무 그늘󰡕 을 대상으로 하여 그 안에 형상화 되어 있는 각 권력의 유형을 살펴보고, 그러한 권력에 대하여 인물들이 보이는 반응 양상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제 Ⅱ장에서는 소설에 나타난 권력 문제에 대한 문학적 논의를 위해 권력의 개념, 권력의 본질과 관련된 문제로서 실체설과 관계설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력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학자들이 권력에 대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견해들을 종합하여 보았을 때 결국 권력은 ‘다른 사람의 의지를 규제하는 힘’이자 ‘어떤 의사(意思)가 다른 의사를 지배할 수 있는 힘’, 즉 ‘다른 사람을 복종시킬 수 있는 힘’임을 알 수 있다. 제 Ⅲ장에서는 이승우 소설에 나타난 권력의 유형을 ‘강압적 권력’과 ‘공리적 권력’, ‘규범적 권력’으로 유형화하여 각 권력의 지배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특히 작가는 자신의 소설을 통해 강압적 권력의 억압과 횡포를 고발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 와 「 , 그리고 󰡔 은 불안을 매개로 사람들의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 내 권력을 획득하고, 신격화나 영웅화를 통해 자신들의 지배 메커니즘을 더욱 견고히 하는 강압적 권력의 모습을 매우 잘 포착하고 있다. 또한 「 물구나무서기」 는 규율화 된 ‘군대’라는 계급 집단을 통해서 강압적 권력의 실상을 파헤치고 있다. 「 사령(辭令)」 은 ‘합리’와 ‘효율’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권력을 정당화하는 공리적 권력의 지배 메커니즘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 는 ‘종교’를 통해 규범적 권력의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이제까지 살펴본 권력에 대한 인물들의 반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권력에 대해 인물들이 보이는 반응의 양상은 크게 동일시, 비동일시, 반동일시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권력 동일시 인물은 지배지향의 사디즘적 성향을 가진 인물과 복종 지향의 마조히즘적 성향을 가진 인물로 구분된다. 사디즘적 성향의 인물은 타인을 자기에게 의존시켜 타인을 절대적으로 지배하고자 한다. 「 의 주술사와 「 의 황 병장은 대표적인 사디즘적 동일시를 지향하는 인물들이다. 반면 복종지향의 마조히즘적 성향을 지닌 인물들은 다른 사람들이나 제도, 또는 자연에 의존하고 복종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 에 등장하는 ‘사회’의 사람들이나, 「 에 등장하는 ‘길을 만드는 사람들’은 모두 이 유형에 속한다. 비동일시 인물은 ‘앓고 있는 자’로서 이해할 수 있다. ‘앓고 있는 자’는 프롬의 ‘반란자’와 많은 부분 닮아 있지만, 권력의 전복을 꿈꾸지 못한다는 점에서 ‘반란자’와 차이를 보이는 인물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인물들은 권력의 부당함에 대해 자각하고 있지만, 실천적 행동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반동일시 인물과도 차이를 보인다. 한편, 반동일시 인물은 프롬이 명명한 ‘혁명가’적 성격에 가까운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스스로의 신념에 의해서 불복종하며, 불복종을 위한 실천적 행동을 보여준다. 이승우의 소설에 등장하는 ‘혁명가’적 성격의 인물들은 권력 현실을 비판하고, 개혁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들을 펼쳐 나가며, 권력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는 등의 실천적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반란자’와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이승우의 작품 중에서도 권력을 다룬 일곱 편의 단편과 한 편의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작품에 나타난 권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권력의 지배메커니즘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권력에 대해 인물들이 보이는 반응의 양상을 동일시, 반동일시, 비동일시의 세 가지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승우가 다루는 폭넓고 다양한 작품 세계를 고려할 때, 앞으로도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다양한 조명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견한다. 종교와 초월, 그리고 권력과 욕망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관심을 보였던 그가 어떠한 방향으로 그 관심의 방향을 전환하게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 졸업이라는 다소 특이한 약력을 지닌 작가 이승우는 1981년에 쓴 중편소설 「 에 등장하는 ‘길을 만드는 사람들’은 모두 이 유형에 속한다. 비동일시 인물은 ‘앓고 있는 자’로서 이해할 수 있다. ‘앓고 있는 자’는 프롬의 ‘반란자’와 많은 부분 닮아 있지만, 권력의 전복을 꿈꾸지 못한다는 점에서 ‘반란자’와 차이를 보이는 인물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인물들은 권력의 부당함에 대해 자각하고 있지만, 실천적 행동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반동일시 인물과도 차이를 보인다. 한편, 반동일시 인물은 프롬이 명명한 ‘혁명가’적 성격에 가까운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스스로의 신념에 의해서 불복종하며, 불복종을 위한 실천적 행동을 보여준다. 이승우의 소설에 등장하는 ‘혁명가’적 성격의 인물들은 권력 현실을 비판하고, 개혁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들을 펼쳐 나가며, 권력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는 등의 실천적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반란자’와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이승우의 작품 중에서도 권력을 다룬 일곱 편의 단편과 한 편의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작품에 나타난 권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권력의 지배메커니즘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권력에 대해 인물들이 보이는 반응의 양상을 동일시, 반동일시, 비동일시의 세 가지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승우가 다루는 폭넓고 다양한 작품 세계를 고려할 때, 앞으로도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다양한 조명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견한다. 종교와 초월, 그리고 권력과 욕망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관심을 보였던 그가 어떠한 방향으로 그 관심의 방향을 전환하게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A writer, Lee Seung-woo, who has a little unusual brief personal history like graduation of school of theology an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as started work activities since he won a Newcomer Award of 『Korea Literature』 with a medium-length story named「Portrait of Erisichton」written in 1981. His interest that first started from the issues of 'religion' and 'transcendence' gradually becomes transferred to issues of the concrete reality. He points out 'power' as a fundamental reason that brings out corruption of the world, and progressed work for figuration of the shape of power like this inside his work.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examine types of each power being figured inside with the target of his short stories such as「Sentence」, 「How the Sun rises」, 「Prime minister doesn't die」, 「Cave」, 「 Handstand」, 「Written Order(辭令)」,「His wilderness」, which selected problems of power as a topic, and his full-length novel named『Shade of Thornbush』, and to investigate response patterns that characters show about such power in depth.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substantiality theory and relation theory as issues related to a concept of power and essence of power for literary discussion on power problems appeared in the novel in the Chapter II. There is difference in definition on the power concept according to a scholar, but it can be known that when common opinions of most scholars on power are generalized, the power is 'strength regulating a will of other people' as well as strength that any intention can govern other intention, namely, strength that can bring other people under control.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type of power appeared in the novels of Lee Seung-woo into ‘coercive power’, ‘utilitarian power’, and ‘normative power’, and examined the governance mechanism of each power in the Chapter III. Especially, the writer concentrated on accusation of suppression and violence of coercive power through his own novel. 「Prime minister doesn't die」,「How the Sun rises」, and 『Shade of Thornbush』are very well catching the shape of coercive power that acquires power through their voluntary submission with the medium of uneasiness of people, and more strengthens their own governance mechanism through deification or heronization.「Handstand」is disclosing the actual condition of coercive power through the rank group called the disciplined Army.「Written Order(辭令)」is a work that well shows the governance mechanism of utilitarian power that justifies their own power in the name of 'rationality' and 'efficiency'.「His wilderness」is efficiently showing the mechanism of normative power through 'religion'. This research examined response patterns of characters on power examined until now in the Chapter IV. The patterns of response that characters show on power can be largely understood in three kinds of aspects identification, non-identification and semi-identification. In case of power identification, characters are divided into characters with a governance-oriented sadistic propensity and characters with an obedience- oriented masochistic propensity. Characters with a sadistic propensity try to absolutely govern other people by making other people depend on oneself. A shaman of「How the Sun rises」and sergeant Hwang are characters aiming typical sadistic identification. On the other hand, characters with an obedience-oriented masochistic propensity show a trend that tries to depend on and obey to other people or a system or the Nature, so all the people of a "society' appearing in the「Written Order」or 'people making a road' appearing in the「Sentence」belong to this type. In case of non-identification, a character can be understood as a 'sick person'. The 'sick person' resembles with a "rebel' of Fromm in many parts, but it is a character type that shows a difference in a point that the person cannot dream overturn of power. Although characters belonging to this type realize unfairness of power, they show a difference from characters in case of semi-identification in a point that their practical action lacks. On the other, a character in case of semi-identification is a character close to 'revolutionist'-like personality named by Fromm. They disobey according to their own belief and show practical action for disobey. Characters with 'revolutionist'-like personality appearing in the novel of Lee Seung-woo have difference from a "rebel' in a point that criticize the reality of power and spread out active actions for reform, and shows practical action such as opposing to power. As shown in the above, this research classifies a type of power appeared in these works with the target of 7 articles of a short story and a full-length novel that dealt with power among works of Lee Seung-woo, and considered on the governance mechanism of each power. And this research divided patterns of response that characters show about this power into three kinds of attitudes such as identification, semi-identification and non-identification and examined it. When considering the wide and diverse work world that Lee Seung-woo handle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lluminations on his literacy world w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trend on whether he, who has interest in various aspects from religion and transcendence to issues of power and desire, would change the direction of his interest to any direc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7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