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0

조경계획에 있어 갯벌 이용 및 관리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Title
조경계획에 있어 갯벌 이용 및 관리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Author
박주환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고 조석간만의 차가 크다는 특징으로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 꼽히는 국내의 갯벌은 육지와 바다의 추이대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로서 생물종의 다양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갯벌에 대해 1970년대를 정점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규모 간척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그렇게 갯벌의 면적은 점차 줄어들게 되었고 인간은 생태계의 한 구성요인으로 또 다른 생태계를 파괴시켜 가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은 2001년 정부차원의 「갯벌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종합 대책 수립」을 전환점으로 더 이상의 정복의 대상이 아닌 자연 생태계 보고로써 갯벌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갯벌에 대한 기초조사는 물론, 갯벌생태계 보전방안, 친환경적인 이용방안 등 갯벌의 이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안에서 아쉬웠던 점은 기존의 자료와 문헌들은 대부분 갯벌의 보존에 관한 사항들이었으며,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에 대해서는 다소 정책정인 부분에서의 접근들이 대부분 이었다는 것이다. 이제는 인간도 자연생태계의 한 구성으로 갯벌에 대해 보존의 계획을 넘어 인간과 갯벌이 공존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정책적인 접근에서 탈피하여 향후 실제 계획시 참고 할 수 있는 모델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과정은 기존 사례를 중심으로 도입된 시설 및 프로그램들을 조사하여 중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에 대해서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실제 조경계획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과 이용객을 고려한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SPSS Ver.17.0을 사용하여 빈도(frequency), 교차(Crosstabulation), T-검정(T-test), 평균(mean),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설로는 동일하게 ‘갯벌체험장’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사례 대상지에서 공통적으로 도입된 시설이며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시 우선적으로 검토되야 할 시설로 판단된다. 그 밖에 우선적으로 선정된 시설로는 휴게시설, 이동관찰시설, 생태전시관, 조류관찰 등이 있었다. 도입프로그램으로는 갯벌생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이 갯벌의 건강한 생태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체험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주요하게 생각하는 프로그램으로는 ‘해산물채취‘, ’해안정화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갯벌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도입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동일한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습지보호구역 지정, 관련전문가 양성에 대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는 전문가와 일반인 갯벌이라는 곳에 대해 생태적 보존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며, 이는 향후 관리단계 프로그램 도입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의 검증결과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관리단계시 도입프로그램의 선정에 있어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의견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일반인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라, 전문가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다. 향후 갯벌 계획시에는 이러한 차이점을 반영하여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인간의 이용을 고려한 갯벌 계획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시설물 및 프로그램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기존의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해오면서 아쉬웠던 점은 시설물과 프로그램들이 다소 일률적으로 도입되고 운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지역별 갯벌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의견수렴과 시설 및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상위단계인 정책적인 부분에서도 보다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어 제안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요어 : 갯벌, 이용 및 관리, 도입시설, 도입프로그램, 선호도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69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